젊은이에게 전하는 열린 한국사 또는 미불(이소경)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젊은이에게 전하는 열린 한국사 또는 미불(이소경)

땅끝
2025-05-09 07:09 95 0

본문




젊은이에게 전하는 열린 한국사
9788981337087.jpg


도서명 : 젊은이에게 전하는 열린 한국사
저자/출판사 : 서의식 , 안지원 , 이원순 , 정재정, 솔
쪽수 : 212쪽
출판일 : 2012-08-01
ISBN : 9788981337087
정가 : 20000

| 1부 |
한국의역사와문화

제1편·문명의발생과국가의등장
<개관>
1­ 비파형동검 문화권 속에서 고조선이 건국하다
2­ 고조선의 문화가 발전하다
3­ 위만 조선이 중국 세력에 밀려 무너지다
4­ 고조선 유민이 동·남진하며 여러 나라로 분립하

제2편·여러나라에서통일국가로
<개관>
제1장 신라, 고구려, 백제 가야
1­ 여러 나라가 3국으로 통합되다
2­ 3국의 사회와 문화가 발전하다
3­ 3국이 서로 겨루며 통일을 지향하다
4­ 백제와 고구려의 유민이 국가의 부흥을 꾀하다
제2장 통일신라와발해
1­ 남북국 시대가 열리다
2­ 남북국의 사회와 경제가 발전하다
3­ 남북국의 문화가 발전하다
4­ 해외로 나가 활발하게 활동하다
5­ 신라가 후삼국으로 분열하고 발해가 멸망하다
6­ 고려가 후삼국을 재통일하고 발해 유민을 받아들이다

제3편·통일국가의안정과문화의발전
<개관>
제1장 고려의발전과번영
1­ 한층 강화된 집권적 관료 국가로 자라나다
2­ 거란을 물리치고 여진과 겨루다
3­ 문벌들이 귀족 사회를 이루다
4­ 거국적으로 팔관회와 연등회를 열다
5­ 고려가 세계에 알려지다
6­ 무신이 정변을 일으켜 집권하다
7­ 몽골이 침입하자 맞서 싸우다
8­ 40년간의 대몽 항전을 접고 원과 강화하다
9­ 사회의 동요 속에 신진 사대부가 등장하다
10­ 귀족 문화가 융성하고 불교문화가 꽃피다
11­ 과학과 기술이 발달하다
12­ 침입하는 왜구를 물리치며 무장 세력이 성장하다

제2장 조선의성립과발전
1­ 유교 민본 정치를 지향하다
2­ 세종 대왕이 한글을 창제하다
3­ 조선 문화가 활짝 피다
4­ 유교 양반사회가 정립하다
5­ 조선 성리학이 발전하다
6­‘ 왜란’과‘호란’의국난을극복하다
7­ 평화와 신의를 지키는 외교 활동을 펴다
8­ 국가 중흥을 위해 노력하다
9­ 향촌 생활이 변화하고 서민 문화가 자라나다
10­ 실용적 학문이 일어나다
11­ 국학의 꽃이 피어나다
12­ 과학과 기술을 연구하다
13­ 서학을 익히고 천주교회를 세우다
14­ 조선 사회가 격변하며 농민이 요동하다

제4편·구미歐美와의만남과근대사회
<개관>
제1장 근대화의시련과주권수호운동
1­ 서양 세력의 침입을 막다
2­ 일본과의 갈등 속에 정변이 일어나다
3­ 서양 문물을 받아들여 제도를 개혁하다
4­ 동학을 펼쳐 백성을 구하려 하다
5­ 청·일 전쟁에 승리한 일본이 내정을 간섭하다
6­ 대한제국이 수립되고 민중 운동이 일어나다
7­ 일본이 러·일 전쟁을 일으키고 통감 통치를 자행하다
8­ 국권회복을 위한 항일 투쟁을 전개하다
9­ 근대 문물이 수용되고 사회 생활이 바뀌다
제2장 일본의통치정책과국가독립을위한항쟁
1­ 조선 총독이‘무단 통치’를 하다
2­ 3·1운동이 일어나다
3­‘ 문화정치’를표방하여한국인을분열시키다
4­ 한반도를 병참 기지로 만들다
5­ 황국 신민을 육성하고 전쟁에 동원하다
6­ 일본인이 몰려오고 한국인은 밀려나가다
7­ 한국의 문화와 정신을 지키자
8­ 나라의 독립을 위해 투쟁하다
제5편·남북분단과대한민국의발전
<개관>
1­ 광복을 맞았으나 남북으로 분단되다
2­‘ 한강의기적’을이룩하다
3­ 민주주의가 발전하다
4­ 가족 규모가 줄고 도시 인구가 늘다
5­ 문화 역량이 증대되다
6­ 남·북한이 교섭하며 갈등하다

| 2부 |
한국과일본의문화교류
문화교류의역사를바르게이해하자

제1장·원시시대, 동북아대륙과일본열도의문화교류
1­ 육지와 해양을 통해 문화 교류가 진전되다
2­ 선사 문화가 교류하고 벼농사를 전하다

제2장·삼국에서일본열도로향한사람들, 그리고문화
1­ 삼국이‘왜’와 교류하다
2­ 일본 열도로 집단을 이루어 이주하다
3­ 야마토가 도항 이주민 문화를 수용하다
4­ 학식과 기술 문화를 전하다
5­ 일본이 견수사·견당사를 파견하고 백제·고구려 유민을 받아들이다

제3장·통일신라및고려의대일통교경색과민간의문화교류
1­ 통일 신라와 일본이 소원해진 가운데 문화 교류를 이어가다
2­ 발해와 일본의 교류가 빈번해지다
3­ 고려에 들어와서도 일본과의 소원한 외교 관계가 지속되다
4­ 왜구를 둘러싸고 고려와 일본의 대립이 심해지다

제4장·조선에서일본으로향한문화의흐름
1­ 조선 문화가 일본으로 흐르다
2­ 조·일 간의 무역 활동이 활발히 전개되다
3­ 일본 사신이 조선의 문물을 청해 가져가다
4­ 전쟁 중에도 문화가 건너가다
5­ 통신사행이 문화 교류에 이바지하다
6­ 통신사의 단절로 문화 교류가 옹체되다

제5장·일본의근대화와문화흐름의역전
1­ 근대의 서양 문명이 동양으로 밀어닥치다
2­ 한국이 근대 문화를 수용하려고 노력하다·174
3­ 일본 문화가 한국으로 전해지다·176
4­ 한국인과 함께 살아가려는 일본인도 있었다·178

제6장· 한국과일본의새로운관계와문화교류
1­ 일본에 살고 있는 한국인·180
2­ 국경을 넘나들며 문화가 서로 영향을 주고 있다·182
3­ 미래 세대에 바라는 교류의 자세·185 개관> 개관> 개관> 개관> 개관>




미불(이소경)
9788981458485.jpg


도서명 : 미불(이소경)
저자/출판사 : 배경석, 서예문인화
쪽수 : 153쪽
출판일 : 2012-02-25
ISBN : 9788981458485
정가 : 14000

이 책은 목차가 없습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