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통에서 꺼낸 콘티 또는 때가 되면 꽃이 피니라
시니
2025-04-13 21:35
1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쓰레기통에서 꺼낸 콘티

도서명 : 쓰레기통에서 꺼낸 콘티
저자/출판사 : 장원석, 아이스토리
쪽수 : 192쪽
출판일 : 2019-01-01
ISBN : 9791188227099
정가 : 12000
작가의 한마디 11
1. 가죽클리너_15
2. 갱년기약_21
3. 냉장고_31
4. 닭갈비_39
5. 변비약_43
6. 아웃도어1_49
7. 아웃도어2_55
8. 영화관_69
9. 온라인게임_73
10. 와이퍼_79
11. 유기농마트_83
12. 증권1_93
13. 증권2_101
14. 체험전_107
15. 치킨1_111
16. 치킨2_119
17. 침대_127
18. 카드_137
19. 태블릿PC_143
20. 테마파크_159
21. 홍삼믹스_165
22. 휴대용게임기_171
★ 특별부록 _ 쓰레기통으로 안들어간 콘티_181
때가 되면 꽃이 피니라

도서명 : 때가 되면 꽃이 피니라
저자/출판사 : 이양신, 배문사
쪽수 : 252쪽
출판일 : 2018-09-13
ISBN : 9788987643663
정가 : 12000
1강 법회인유분 法會因由分
법회가 열리게 된 사연 _ 13
2강 수도인의 참모습이요, 여래행 _ 16
3강 선현기청분 善現起請分
선현이 일어나서 법을 청하다 _ 19
4강 어떻게 항복받아 이겨나갈 것인가 _ 22
5강 피할 수 없는 재색명리의 경계 _ 25
6강 대승정종분 大乘正宗分
대승의 바르고 으뜸되는 가르침 _ 28
7강 일체 중생의 아홉 가지 _ 31
8강 대승 수행의 으뜸되는 공부 _ 34
9강 묘행무주분 妙行無住分
좋은 보시는 주함이 없이 베푸는 것이다 _ 37
10강 육근동작을 베풀어 쓰는 법 _ 40
11강 여리실견분 如理實見分
이러한 이치로 그 실다움을 보라 _ 43
12강 여래의 상 없음을 보라 _ 46
13강 정신희유분 正信希有分
바르게 믿기가 참으로 어렵다 _ 49
14강 《금강경》의 진리는 영생의 보배 _ 52
15강 물이 흐르면 도량이 생긴다 _ 55
16강 무득무설분 無得無說分
얻을 것도 없고 설할 것도 없음 _ 58
17강 부족함도 남김도 없는 바로 그 자리 _ 61
18강 일체의 법과 성인이 나온 자리 _ 64
19강 의법출생분 依法出生分
진리로 다시 태어나는 새 생명 _ 67
20강 형상 있는 복덕보다 법보시가 중요 _ 70
21강 일상무상분 一相無相分
부처는 일원상을 알았으나, 그 알았다는 상이 없다 _ 73
22강 성자의 네 가지 지위 성문사과(聲聞四果) _ 76
23강 사다함과 아나함 _ 79
24강 일원상만 남는 바로 그 자리 _ 82
25강 장엄정토분 莊嚴淨土分
장엄을 해야 값진 인격 _ 85
26강 본래 마음 바탕이 불토 _ 88
27강 불토 장엄과 청정심 _ 91
28강 무위복승분 無爲福勝分
함이 없는 복의 우월함 _ 94
29강 무진장의 보고가 샘물처럼 솟아날 일 _ 97
30강 존중정교분 尊重正敎分
바른 가르침을 존중히 하는 대문 _ 99
31강 여법수지분 如法受持分
법과 같이 받아 지녀라 _ 102
32강 순경이나 역경은 자기 그림자 _ 105
33강 32상은 32청정행을 나타내야 _ 108
34강 감사하는 마음이 큰 복덕 _ 111
35강 이상적멸분 離相寂滅分
형상은 실상(實相)이 아니다 _ 114
36강 일체 상을 여의면 부처 _ 118
37강 참다운 인욕수행 _ 122
38강 주한 바 없는 마음 _ 126
39강 일체중생을 이롭게 하는 보시 _ 130
40강 천만 번 바뀌어도 바뀌지 않는 진리의 말씀 _ 134
41강 주착 없이 보시하라 _ 138
42강 지경공덕분 持經功德分
큰 서원 세운 사람을 위하여 _ 142
43강 널리 사람들을 위하여 설하라 _ 146
44강 능정업장분 能淨業障分
삼세의 업장을 소멸하는 경 _ 150
45강 자비 무량공덕 _ 153
46강 구경무아분 究竟無我分
일체 중생을 멸도하리라 _ 157
47강 4상이 있으면 보살이 아니다 _ 161
48강 여래는 모든 법이 여여하다는 뜻 _ 165
49강 큰 몸이 아닐 새, 큰 몸 _ 169
50강 무아법을 통달하면 참 보살 _ 173
51강 일체동관분 一體同觀分
여래의 오안(五眼) _ 177
52강 과거심, 현재심, 미래심도 얻을 수 없나니라 _ 180
53강 법계통화분 法界通化分
법계를 다 교화하다 _ 184
54강 이색이상분 離色離相分
색과 상을 떠나다 _ 188
55강 비설소설분 非說所說分
설한 바가 없나니라 _ 192
56강 무법가득분 無法可得分
법 아님을 가히 얻는다 _ 196
57강 정심행선분 淨心行善分
깨끗한 마음으로 선을 행하라 _ 198
58강 복지무비분 福智無比分
복과 지혜를 비교할 수 없다 _ 201
59강 화무소화분 化無所化分
교화한 바가 없다 _ 205
60강 법신비상분 法身非相分
법신은 상이 아니다 _ 209
61강 무단무멸분 無斷無滅分
끊을 것도 멸할 것도 없나니라 _ 213
62강 불수불탐분 不受不貪分
받지도 않고 탐하지도 않는다 _ 217
63강 보살은 복덕을 받지 않는다 _ 221
64강 위의적정분 威儀寂靜分
행주좌와가 고요하다 _ 224
65강 일합이상분 一合理相分
한 덩어리의 이치 _ 227
66강 일합상, 하나의 자리 _ 231
67강 지견불생분 知見不生分
지견을 내지 말라 _ 234
68강 법상도 내지 말라 _ 238
69강 응화비진분 應化非眞分
응화신은 진신이 아니다 _ 242
70강 관조로써 깨쳐 얻으라 _ 246
71강 《금강경》을 마무리 지으며
일원상 게송, 6단계 공부 _ 250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