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과 겨울 길목에서 너를 그리다 또는 우리나라 구석구석 지도 위 한국사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가을과 겨울 길목에서 너를 그리다 또는 우리나라 구석구석 지도 위 한국사

시니
2025-04-13 21:35 4 0

본문




가을과 겨울 길목에서 너를 그리다
9791196567910.jpg


도서명 : 가을과 겨울 길목에서 너를 그리다
저자/출판사 : 이동준, 개미
쪽수 : 96쪽
출판일 : 2018-12-31
ISBN : 9791196567910
정가 : 10000

발간사 005
머리말 009

1부
길 위에서 016
바다의 마음 017
새치 018
천둥 019
향수 020
용기 021
가을의 유전 022
세상이 아무리 023
My Friend 024
무제 025
죽을 때도 웃으며 가야지 026
화두 027

2부
화두 2 030
나의 사랑은 031
파랑새 1 032
파랑새 2 033
파랑새 3 034
정화작용 035
묵은 사랑이야기 036
친구의 생일을 축하하며 쓴 시 037
바보 같은 놈 038
비가 내리고 있었다 039
사랑은 미련이 시작점이다 040
모성애 041

3부
고백 044
디딤돌 045
할미꽃 046
짝사랑 047
밀월의 끝 048
가슴 깊이 묻어둔 사랑 049
간보기 050
창가 051
원망 052
너를 향한 생각 053
겨울비 054
담담한 사랑 055
스무 살의 초상 056

4부
푸념 058
먼 길 059
내 의지 060
안팎 061
물아일체 062
사랑 063
스무 해의 바람 064
새벽 065
반응 없는 고백 066
몽유도원도 067
결혼의 유혹 068

5부
마음의 문자 070
넋두리 071
봄에 안기어 072
봄비 073
나의 길 074
추억 075
그 자리에 076
당신의 기억 077
황금충 078
마음의 창 079
반추 080
자화상 081

해설
풀꽃이 그러했듯이 그는 바람보다 먼저 일어섰다
박재홍 시인·《문학마당》 발행인 082




우리나라 구석구석 지도 위 한국사
9791186222232.jpg


도서명 : 우리나라 구석구석 지도 위 한국사
저자/출판사 : 정일웅 , 표정옥, 이케이북
쪽수 : 216쪽
출판일 : 2019-05-01
ISBN : 9791186222232
정가 : 15000

들어가는 글

1부 문명의 시작과 고대사
구석기 시대 | 신석기 시대 | 청동기 문화와 고조선 | 부여와 고구려 | 옥저, 동예, 삼한 | 가야 | 고구려의 광개토 대왕 | 장수왕과 고구려의 명장들 | 연개소문과 고구려의 멸망 | 백제의 전성기 | 백제의 불교문화 | 백제의 웅진 시대 | 백제의 사비 시대 | 황산벌 전투와 백제 멸망 | 박혁거세 | 지증왕과 법흥왕 | 진흥왕과 화랑 | 신라의 신분 제도, 골품 제도 | 선덕 여왕 | 신라 불교의 스타들 | 삼국 통일과 그 주역들 1 | 삼국 통일과 그 주역들 2 | 장보고 | 후삼국 시대 | 해동성국 발해와 대조영
못다 한 이야기 ① 삼국 시대의 전투 3

2부 고려 시대
고려 건국과 후삼국 통일 | 태조 왕건의 부인이 29명인 이유 | 광종의 개혁 정치 | 개방적인 나라, 고려 | 성종의 개혁과 최승로의 시무 29조 | 거란의 1차 침입과 서희의 외교 | 거란의 2~3차 침략과 강감찬 장군 | 여진족 정벌과 윤관 장군 | 서경 천도 운동과 묘청의 난 | 무신의 난 | 만적의 난 | 몽골의 침입과 고려의 항쟁 | 〈팔만대장경〉 | 삼별초 | 고려는 불교의 시대 | 원나라의 간섭 | 벽란도 | 고려청자 | 실패로 끝난 공민왕의 개혁 | 《직지심체요절》 | 고려를 괴롭힌 왜구 | 역사 속으로 사라진 고려
못다 한 이야기 ② 고려의 못생긴 불상들

3부 조선 시대 전기와 중기
조선을 세운 이성계 | 조선의 수도 한양과 사대문 | 조선의 5대 궁궐 | 종묘 | 강력한 왕권을 확립한 태종 | 과거 시험 | 파발과 봉수 | 《조선왕조실록》 | 세종 대왕 | 훈민정음 | 장영실 | 이종무의 대마도 정벌 | 단종 | 선비의 시대와 서원 | 임꺽정 | 허난설헌 | 임진왜란 | 이순신의 활약 | 《하멜 표류기》 | 대동법 | 광해군의 중립 외교 | 병자호란과 남한산성 | 통신사 | 역관 | 영조와 정조의 개혁 정치
못다 한 이야기 ③ 제주 여인의 금강산 여행과 홍어 장수의 표류

4부 조선 후기부터 일제 강점기, 그리고 근대로의 움직임
강화도 조약과 조선?일본?중국의 개항 | 흥선 대원군 | 갑신정변 | 배재학당과 이화학당 | 동학 농민 운동 | 을미사변 | 아관 파천 | 우리글과 우리 역사 지킴이 |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전기?전차 | 을사조약 | 의병운동과 애국 계몽운동 | 파란만장한 1907년, 국채 보상 운동?헤이그 특사 파견?대한제국 군대 해산 | 안중근 | 대한제국의 수도 한성, 조선의 경성부로 바뀌다 | 대한독립 만세 운동 |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세우다 | 김구 | 청산리 대첩 | 동학과 천도교 | 6?10 만세 운동과 광주 학생 항일 운동 | 구인회와 《상록수》 | 민족 말살 정책 | 8.15 광복과 모스크바 삼국 외상 회의 | 남북 분단과 대한민국 수립
못다 한 이야기 ④ 청산해야 할 역사와 기억해야 할 역사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