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한자입문 또는 산업안전공학
시니
2025-04-13 21:35
4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2회 연결
본문
불교한자입문

도서명 : 불교한자입문
저자/출판사 :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조계종출판사
쪽수 : 189쪽
출판일 : 2018-10-25
ISBN : 9791155801123
정가 : 10000
머리말ㆍ5
01 글자 수로 보는 불교한자... 8
-한 글자 ... 9
-두 글자 ... 15
-세 글자 ... 36
-네 글자 ... 47
-다섯 글자 ... 53
-여섯 글자 ... 55
-일곱 글자 ... 57
02 불교한자 쓰기 연습 ... 60
산업안전공학

도서명 : 산업안전공학
저자/출판사 : 임준식 , 최태준, 일진사
쪽수 : 448쪽
출판일 : 2019-01-10
ISBN : 9788942911493
정가 : 22000
제1편 산업안전관리론
제1장 안전관리
1. 안전관리조직
1-1 안전조직 3가지 유형
1-2 안전조직 3가지 장 단점
2. 안전관리계획 수립 및 운용
2-1 안전조직의 책임과 직무
2-2 산업안전 보건위원회
2-3 산업안전 보건관리 규정
2-4 안전보건관리 계획
2-5 안전관리 계획의 운영방법
3. 산업재해발생 및 재해조사 분석
3-1 산업재해조사
3-2 산업재해의 분석
3-3 산업재해사례 연구방법
3-4 산업재해 통계
3-5 산업재해율 계산법
3-6 산업재해의 강도
3-7 산업재해 발생모델
3-8 사고 예방대책
4. 안전점검 및 진단
4-1 안전점검
4-2 자체검사
4-3 작업시작 전 점검기계?기구
4-4 파괴검사와 비파괴검사
5. 보호구 및 산업안전표시
5-1 보호구의 개요 및 특성
5-2 각종 보호구의 분류
5-3 눈 및 안면보호구
5-4 산업안전 표지
5-5 색채조절(color conditioning)
6. 무재해운동 및 안전활동기법
6-1 무재해운동
6-2 무재해운동의 안전활동기법
제2장 산업심리
1. 직업적성과 인사심리
1-1 산업심리학 및 안전심리
1-2 직업 적성
2. 인간의 특성과 안전의 관계
2-1 인간의 특성 및 착오 요인
2-2 간결성의 원리
2-3 의식수준과 정보처리기능
2-4 주의와 부주의
3. 인간의 행동성향 및 행동과학
3-1 인간의 행동
3-2 동기부여이론 및 동기부여방법
4. 집단관리와 리더십
4-1 욕구저지와 적응
4-2 방어기제(적응기제)
4-3 프로이드(Anne Freud)의 대표적인 적응기제
4-4 집단행동에서의 방어기제
4-5 직장에서의 적응
4-6 인간관계 및 집단관리
4-7 리더십(leadership)
5. 노동과 피로
5-1 피로의 정의 및 증상
5-2 스트레스(stress)
5-3 에너지 소비량(RMR;relative metabolic rate)
5-4 작업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5-5 작업강도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
5-6 생체리듬(bio rhythm)
제3장 안전교육
1. 교육의 개념
1-1 안전교육의 기초
1-2 안전교육의 특징
1-3 안전교육의 운영
1-4 학습평가
2. 교육심리학
2-1 학습의 여러 학설
3. 교육의 종류 및 내용
3-1 사업장 안전보건 교육내용
3-2 표준작업안전
4. 교육방법
4-1 교육훈련의 형태
4-2 교육훈련방법
4-3 교육방법 및 수업매체
4-4 프로그램 학습법(programmed self-instructional method)
4-5 시범 교육법
4-6 실연 교육법
4-7 반복 교육법
5. 수업매체별 교육의 특징
5-1 학자에 따른 수업매체 정의
5-2 수업매체의 특징
제2편 인간공학 및 시스템 안전공학
제1장 인간공학
1. 인간기계체계
1-1 인간공학의 개요
1-2 인간-기계체계(man-machine system)
1-3 인간-기계 통합체계의 형태
2. 인간요소와 휴먼에러
2-1 에러(error)의 분류
2-2 에러의 발생과정
2-3 에러의 요인
2-4 에러별 작업분석
3. 설비의 신뢰성
3-1 인간-기계(man-machine) 시스템의 신뢰도
3-2 신뢰도 유지대책
4. 인간-기계의 통제
4-1 통제방법
4-2 표시장치의 구분
5. 인간과 환경
5-1 온 도(temperature)
5-2 조 명
5-3 시 각(visual sense)
5-4 색 각(色覺, color sense)
5-5 소 음(음향조절:sound conditioning)
6. 작업과 인간공학
6-1 작업공간 및 배치
6-2 기계설계의 개선
제2장 시스템 안전공학
1. 시스템 안전기법
1-1 설비도입 및 제품개발 안전성 평가
1-2 안전성 평가(safety assessment)
2. 결함수 분석
2-1 시스템 안전 분석기법 및 분류방법
2-2 FTA(fault tree analysis)
2-3 ETA(event tree analysis)
2-4 FMEA(failure modes and effects analysis)
2-5 결함수 분석법(FTA)의 순서
2-6 결함수 분석의 기대효과(FTA 효과)
2-7 확률사상의 적(績)과 화(和)및 미니멀 컷과 패스
3. 위험관리
제3편 기계위험 방지기술
제1장 기계의 안전조건
1. 기계시설의 배치 및 안전조건
2. 기계의 방호
3. 구조적 안전
제2장 공작기계의 안전
1. 선 반(lathe)
2. 밀링머신(milling machine)
3. 셰이퍼와 플레이너
4. 드릴머신
5. 연삭기(grinding machine)
6. 목재가공용 둥근톱
제3장 프레스 및 전단기 안전
1. 프레스 재해 방지의 근본적인 대책
2. 금형의 안전화
3. 수공구의 활용
제4장 위험기계 기구
1. 롤러기(roller)
2. 원 심 기
2-1 원심기의 개요 및 사용방법
2-2 원심기의 자체 검사사항 1년 1회 이상
3. 아세틸렌 용접장치 및 가스집합 용접장치
3-1 용접장치의 위험성
3-2 방호장치의 종류
3-3 용접장치의 구조와 특성
3-4 안전기 사용시 준수사항
4. 보일러(boiler)
5. 압력용기 및 공기압축기
5-1 압력용기
5-2 공기압축기
6. 산업용 로봇
6-1 공장 자동화와 로봇
6-2 로봇기술 발달과정
6-3 용어 정의
6-4 산업용 로봇의 안전대책
6-5 로봇 작업시의 방호대책
제5장 운반기계 및 양중기
1. 지게차(forklift)
2. 컨베이어(conveyer)
3. 리프트(lift)
4. 크레인(crane)
제4편 전기위험 방지기술
제1장 전격재해 및 방지대책
1. 통전전류의 크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1-1 인체의 생리적 현상(통전전류의 크기와 생리적 현상)
1-2 전압의 종별 구분 및 이격거리(직류, 교류 전압구분)
1-3 전압의 용어 정의
2. 전격에 영향을 주는 요인
2-1 감전(전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2 인체에 대한 전류의 영향 및 최소 전류치
2-3 각 나라별 안전전압
3. 감전사고의 방지대책
4. 배선 등에 대한 방지대책
5. 감전사고시의 응급조치
제2장 전기설비 및 작업안전
1. 전기설비 및 기기
1-1 가공전선로의 충전부 근접작업시 안전대책
1-2 안전장치의 설치
2. 전기작업안전
2-1 전기작업시 기본적 안전수칙
2-2 정전작업시 안전조치사항
2-3 활선 및 활선 근접작업시 안전기술
2-4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3. 접지설비
3-1 접지의 목적
3-2 접지공사의 방법
3-3 접지공사시 고려할 사항
3-4 접지공사의 종류 및 접지선의 굵기
3-5 접지공사방법
3-6 접지공사의 계획
4. 교류아크 용접기의 안전
4-1 용접기의 구비조건
4-2 교류아크 용접기의 안전장치 및 부속장치
제3장 전기화재 및 정전기 재해
1. 전기재해의 발생원인과 대책
1-1 전기화재 폭발의 원인(발화원, 경로, 착화물)
1-2 전기화재의 발생원인
1-3 전기화재 방지대책
1-4 낙뢰에 의한 재해방지대책
1-5 피뢰장치
제4장 정전기의 재해방지
1. 정전기의 발생원인
2. 정전기의 영향
2-1 정전기의 축적
2-2 정전기의 소멸과 완화시간(relaxation time)
2-3 정전기의 방전
2-4 방전의 분류
3. 정전기 재해의 방지대책
3-1 재해방지대책
3-2 일반적인 정전기 방지대책
3-3 제전기의 종류
제5장 전기설비의 방폭
1. 방폭 전기설비의 필요성
1-1 폭발성 가스
1-2 용어의 정의
1-3 방폭구역 구분의 절차
2. 전기설비의 방폭
2-1 폭발성 및 가스 증기의 방폭구조
2-2 방폭구조의 기호 분류
2-3 방폭구조의 선정조건
제5편 화학설비 및 위험방지기술
제1장 위험물 및 기초화학
1. 위험물의 기초화학
1-1 위험물의 정의
2. 위험물의 종류, 성질, 저장위험성
2-1 산업안전보건의 위험물의 종류
3. 소화약제
3-1 소화약제의 종류 및 특성
3-2 화재구분 및 소화방법
제2장 폭발방지 안전대책 및 방호
1. 화재 및 폭발원리
1-1 화 재
1-2 폭발 원리
2. 가스, 증기, 분진폭발
2-1 폭발의 분류
3. 폭발범위
3-1 폭발의 발생
3-2 폭 굉(detonation)
3-3 반 응 열
4. 발화원(자연발화)
4-1 자연발화(auto oxidation)
4-2 발화원
4-3 발화에너지
4-4 발화온도(AIT)
4-5 단열압축 및 인화점
4-6 폭 굉
5. 화재 및 폭발방호
5-1 화재예방대책
5-2 소화의 원리
5-3 폭발방지대책
5-4 폭발방지설계
제3장 화학설비 등의 안전
1. 반응기, 압력용기
1-1 반응기의 정의
1-2 반응기 분류
1-3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
1-4 압력용기
2. 증류장치
2-1 증류탑
2-2 정류, 환류
2-3 증류탑의 조작 및 안전기술
3. 열 교환기
3-1 정 의
3-2 분류방법 및 원리
4. 건조설비
5. 송풍기 및 압축기
5-1 압축기
5-2 압축기의 운전 및 보수
6. 배관 및 피팅(pitting)류
6-1 관
6-2 펌 프(pump)
6-3 공 식(pitting)
6-4 밸브와 콕
7. 제어장치
7-1 자동제어
7-2 계측장치의 종류
제4장 소화설비
1. 소화설비
1-1 물분무 소화설비
1-2 포말소화설비
1-3 설비에 사용되는 기기
1-4 분말소화설비
1-5 이산화탄소 및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
제6편 건설안전기술
제1장 건설공사안전의 개요
1. 지반의 안전성
1-1 건설공사의 안전관리
1-2 건설지반의 안전성
2. 공사계획의 안전성
2-1 건설공사의 안전계획
제2장 건설공구 및 장비
1. 수공구
1-1 수공구의 안전대책
2. 굴착기계
2-1 굴착기계의 안전기술
2-2 굴착기계의 종류
3. 토공기계
3-1 토공장비의 안전기술
4. 운반기계
4-1 유도자의 배치
4-2 장비별 사고발생과 그 대책 예
5. 구조물 해체용 기계?기구
5-1 해체용 기구
5-2 해체용 기계의 종류
6. 건설용 양중기
6-1 양중기의 종류 및 정의
제3장 건설안전시설 및 설비
1. 추락재해방지설비
1-1 용어의 정의
1-2 추락방지용 방망(net)의 구조 등 안전기준
2. 낙하물 재해방지시설
2-1 낙하물 재해
2-2 낙하물 재해 안전시설의 종류
3. 토사붕괴 재해방지설비
3-1 사전조사 및 시공계획
3-2 붕괴재해 예방대책
3-3 토사붕괴 방지대책
3-4 기초 굴착(지하 굴착공사)법
3-5 흙막이 공법의 안전대책기술
4. 가설전기설비
4-1 전기작업별 감전재해 발생원인
4-2 전기설비의 안전대책
5. 건설기계 재해방지설비
5-1 차량계 건설기계
5-2 기초공사용 건설기계(항타기, 항발기)
5-3 특정 건설기계
6. 건설기자재
6-1 건설작업시 재해발생원인
6-2 진동장해 및 예방대책
6-3 고기압장해 및 예방대책
6-4 산소결핍장해
6-5 분진장해
제4장 건설작업의 안전
1. 가설공사
1-1 비계작업
1-2 가설통로
1-3 가설도로
2. 굴착공사
2-1 지질조사 등
2-2 굴착작업
3. 철근 콘크리트 공사
3-1 거푸집 공사
3-2 철근공사
3-3 콘크리트 공사
4. 철골공사
4-1 철골공사 전 검토사항
4-2 철골 공사용 기계
4-3 철골 건립작업
4-4 철골공사의 가설설비
5. 마감공사
6. 해체공사
6-1 해체작업용 기계기구 취급 안전기준
6-2 해체공사 전 확인사항
6-3 해체공사 안전시공기준
6-4 해체작업에 따른 공해방지대책
제7편 보 안
보 안
1. 보안의 개념
2. 보안의 종류
2-1 인터넷 보안
2-2 네트워크 보안 서비스
2-3 웹(Web)에서의 보안
3. 보안 기반기술(security infrastructure)
3-1 암호 기술
3-2 네트워크 보안기술(network security)
3-3 방화벽(firewall)의 구축
4. 보안 등급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