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호남의 인문지리 또는 오후 세 시의 하늘
시니
2025-04-13 21:35
3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2회 연결
본문
영호남의 인문지리

도서명 : 영호남의 인문지리
저자/출판사 : 김정호, 지식산업사
쪽수 : 304쪽
출판일 : 2018-10-10
ISBN : 9788942390533
정가 : 18000
차례
│책머리에│ 영호남의 풍수와 역사 …5
제1장 환경과 인간의 진화 / 13
1.1. 인간의 풍토 적응 …15
1.2. 서양의 환경결정론 …20
1.3. 동양의 풍수와 풍토 …27
제2장 영호남의 인문지리 / 33
2.1. 영호남의 지리 비교 …35
2.2. 두 지역의 인구 변화 …42
2.3. 지역 종교의 특징 …47
2.4. 고대국가 변한과 신라 …50
중국 사서와 《삼국유사》 속의 마한 ● 51 / 중국 사서에 나오는 진한과 경상도 ● 59
2.5. 영호남의 문화 특성 …83
전라도의 모정 ● 83 / 영남의 도학 ● 87 / 호남의 문학과 예술 ● 91 / 경상도 종택 문화 ● 94 / 조선시대 두 지역의 관료 진출 ● 96
제3장 호남 편견의 정착 / 101
3.1. 호남에 대한 역사적 편견 …103
〈훈요십조〉의 왕실 기록 ● 104
3.2. 풍수와 지역 편견 …109
호남 지리의 재검토 ● 111
3.3. 도선 국사와 〈훈요십조〉…120
도선 기록과 전설 ● 120 / 역사기록의 도선 ● 123 / 〈훈요십조〉의 위작설 ● 124 / 〈훈요십조〉의 진상 ● 129 / 신라계의 고려 왕실 점령 ● 131
3.4. 후백제 기록의 재검토 …135
진훤이라 불러다오 ● 135 / 가은의 진훤 전설터 ● 137 / 광주 북촌 사생아 이야기 ● 140 / 광산김씨와 신라왕실 ● 143 / 진훤의 경주 진격 ● 149 / 진훤의 신라왕계설 ● 151 / 진훤이 경주계 김씨였을 가능성 ● 155 / 상주의 아자개 ● 157 / 전주이씨와 ‘견성’의 수수께끼 ● 160
3.5. 고려 이후 호남의 저항 …163
3.6. 전라도 폄하의 역사 …67
부정적인 묘사 문적들 ● 167
3.7. 기축옥사의 여진 …174
제4장 전라도의 시련 / 181
4.1. 수탈의 대상지 호남 …183
4.2. 개혁 성향과 소작지대 …188
4.3. 광복 후의 좌파운동과 여순사건 …193
4.4. 적 치하 2개월, 6·25의 비극 …198
4.5. 극복의 몸부림, 종교혁신 운동 …202
메시아 미륵을 섬긴 망국 백제 사람들 ● 202 / 고려의 불교혁신운동 ● 205 / 동학군과 신흥종교 ● 208 / 일제하 신흥종교운동 ● 209 / 유교적 법고창신 ● 210
제5장 선거와 지역주의 / 215
5.1. 광복 이후의 선거 …217
5.2. 1971년 선거와 1987년 선거 …219
5.3. 1987년 선거결과와 지역주의 논란 …222
인사의 불공정 ● 226 / 개발의 불균형 ● 228
5.4. 지역갈등의 조사 … 235
5.5. 주민 이동과 편견의 심화 …237
왕따당한 전라도 사람들 ● 237
제6장 지역주의는 이념에 앞선다 / 245
6.1. 광복 후 영호남의 인구 이동 …247
6.2. 지역주의와 정치 …254
정치는 지역연고를 이용한다 ● 254 / 연고투표의 실상 ● 258
6.3. 노무현과 문재인의 혈연연고 …267
6.4. 지역주의의 조화와 상생 …272
6.5. 남·북 통일과 지역주의 …276
│끝내는 말│ …287
│참고문헌│ …289
│찾아보기│ …294
오후 세 시의 하늘

도서명 : 오후 세 시의 하늘
저자/출판사 : 권화빈, 학이사
쪽수 : 102쪽
출판일 : 2018-11-17
ISBN : 9791158541552
정가 : 10000
1부 청산댁 그 여자
제주도 - 4.3에 부쳐/둥근 상처를 위한 메모/이 가을에는/주객전도
청산댁 그 여자/끝순네/섬/옆모습/라면을 끓이듯/노후와 사후
어떤 몰입/반성/유언/나이 들수록/고통 한 줌
2부 봄날은 간다
소나기 길/빈집/파도에게/울어야 할 반듯한 이유/부의賻儀
담쟁이를 바라보며/운韻, 김삿갓지묘/봄날은 간다/보름달/산다는 것
편지 - 식에게/흐리면 흐릴수록 나뭇잎은/모른다/모범적/게
3부 예순세 살 아이
양생기兩生記/봄소식/첫사랑/가을의 詩/예순세 살 아이/마음
어쩌나/언젠가 한번은 나도/최후의 詩 - 故 박영근 시인에게
자수고개의 詩/첫눈/마흔/어떤 메아리 -山中問答/쓰다 만 詩/노래하다
4부 선운사 동백
봄, 벚꽃 그늘 아래서/목련 피는 날에는/선운사 동백/부석사에서
계곡 단상 - 예천 수심대에서/구룡포/텃밭/청량사淸凉寺 바람소리
부석사 무량수전/앉은뱅이꽃/참나무/고추잠자리 한 마리가
단풍 보다가/풍기 삼가동 계곡 물소리/리어카와 수박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