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이 온다 또는 조선의 서당에서 배우는 사회적 교육의 지혜
시니
2025-04-13 21:35
2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회 연결
본문
새벽이 온다

도서명 : 새벽이 온다
저자/출판사 : 김숙려, 계간문예
쪽수 : 115쪽
출판일 : 2018-10-25
ISBN : 9788965541882
정가 : 10000
책머리에
<1부>
인생 맛
술 먹고 욕 먹고
양파는 결백하다
파도
포터
불 맛
바퀴
어쩌면 넌
착상着想
행복티켓
굴비야 안녕
부적符籍
할머니의 성性
너
<2부>
파도가 손뼉을 친다
나이가 나인가
난 여자를 버린다
몽골에서
새 벽이 온다
대답
제2라운드
화장, 2
나잇값
여자이고 싶다
국수사발의 조화
11월
추석秋夕
새날의 약속
<3부>
내 삶에 누가 있나
일방통행
병마病魔
갱년기
마침표
기억 오뚝이
유모차乳母車
요양원
11월의 장미
방안이 섬이다
참 어린 시절
단풍丹楓
멍게 자존심
기린선인장의 변절變節
<4부>
우울증
징검다리
허수아비
입 없는 사람
손가락 인사
분수를 지키다
부부싸움
백지白紙
골목은 궁금하다
옛집, 1
옛집, 2
푸대접
사리
호미
<5부>
봄까치꽃
바람난 여인
뜨락에 서서
봄아
달, 1
봄맞이
포플러
삽화揷畵
달과 귀뚜리
개망초
가을 그 후
나란히 누워
국화는 피고
가을 오늘
작품해설 세상의 벽을 넘는 현묘한 에스프리와 시어의 마술 _ 민용태
조선의 서당에서 배우는 사회적 교육의 지혜

도서명 : 조선의 서당에서 배우는 사회적 교육의 지혜
저자/출판사 : 이병훈 , 김자운 , 정경주 , 이수환 , 정순우 ,, 새물결
쪽수 : 306쪽
출판일 : 2018-09-30
ISBN : 9788955594218
정가 : 23000
책머리에
1장 16세기 안동 지역 재지사족의 성장과 서당 건립 활동 13
1. 머리말 15
2. 조선전기 교육 정책과 사학 운영 18
3. 16세기 안동 지역 재지사족의 성장 31
4. 16세기 안동 지역 서당 건립의 성격 51
5. 16세기 안동 지역 서당의 건립 사례 70
6. 맺음말 103
2장 16세기 안동 지역 서당의 강학 활동과 교육 내용 ― 도산서당의 교육 내용과 공부론을 중심으로 107
1. 서론: 퇴계의 도산서당 설립 의도와 도산서당의 성격 109
2. 도산서당의 교육 내용과 심학적 공부론의 확립 115
3. 「계산기선록」을 통해 본 도산서당의 강학 활동 143
4. 퇴계 문인들의 서당 교육과 심학적 공부론의 계승 156
5. 결론 165
3장 16세기 안동 지방의 서당의 강학 의식 ― 통독강회通讀講會를 중심으로 169
1. 서설 171
2. 16세기, 안동 지방 서당의 강학 양상 173
3. 16세기 서당의 삭망강회朔望講會와 고강考講 184
4. 조선후기 안동 지방의 통독강회와 ?통독회의會儀? 188
5. 16세기 서당 강학과 통독강회의 의의 195
4장 16세기, 안동 지역 서당의 경제적 기반 201
1. 머리말 203
2. 16세기 퇴계학파의 서당과 서원 건립 204
3. 서당의 경제적 기반 216
4. 맺음말 228
5장 16세기의 안동 지역 서당의 설립 양태와 ‘서원’화 과정 233
1. 16세기에 안동 지역 서당의 교육사적 의미 235
2. 퇴계학파의 초기 성립 과정과 서당의 역할 250
3. 16~17세기 초 안동 서당의 ‘서원’화 과정 256
4. 결어 271
6장 퇴계학파의 서당 경영과 서당관 ― 이황, 조목, 김성일, 류성룡, 이상정을 중심으로 273
1. 머리말 275
2. 16세기에 안동 지역 서당의 현황과 이황의 서당 경영 277
3. 조목, 김성일, 류성룡의 서당 경영과 그 특징 285
4. 18세기 경상도 지역 서당 운영과 이상정의 서당관 299
5. 맺음말 305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