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와 인간 행동 또는 사건과 인물로 본 임시정부 100년
시니
2025-04-13 21:35
1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진화와 인간 행동

도서명 : 진화와 인간 행동
저자/출판사 : 존 카트라이트, 에이도스
쪽수 : 824쪽
출판일 : 2019-03-03
ISBN : 9791185415277
정가 : 40000
한국의 독자들에게 005
추천의 글 007
3판 서문 010
표 차례 016
그림 차례 019
상자 차례 025
1부 역사적 이슈와 방법론
제1장 역사적 배경: 마음과 행동에 대한 진화적 이론, 다윈과 그 이후 029
제2장 다윈 심리학의 기초 054
2부 다윈주의 패러다임의 두 기둥: 자연선택과 성선택
제3장 자연선택과 포괄적합도, 이기적 유전자 083
제4장 성과 성선택 107
3부 인류 진화 및 그 결과
제5장 호미닌의 진화 139
제6장 먼지에서 시작하여: 호미닌 165
4부 적응과 발달적 가소성
제7장 적응과 진화적 설계 199
제8장 생애사 이론 240
5부 인지와 감정
제9장 인지와 모듈성 285
제10장 감정 329
6부 협력과 갈등
제11장 이타성과 협력 357
제12장 갈등과 범죄 401
7부 짝짓기와 짝 선택
제13장 인간의 성적 행동: 인류학적 견해 445
제14장 인간의 짝 선택: 성적 욕망의 진화적 논리 466
제15장 얼굴의 매력 505
제16장 동성애의 역설 537
제17장 근친상간 회피와 웨스터마크 효과 553
8부 건강과 질병
제18장 다윈 의학: 건강과 질병에 대한 진화적 관점 579
제19장 진화와 건강에 대한 세 개의 증례 연구: 식이, 암, 정신장애 625
9부 더 넓은 맥락
제20장 문화의 진화: 유전자와 밈 667
제21장 윤리 700
감사의 말 733
옮긴이의 말 736
더 읽을거리 738
참고문헌 746
찾아보기 810
사건과 인물로 본 임시정부 100년

도서명 : 사건과 인물로 본 임시정부 100년
저자/출판사 : 문영숙 , 김월배, 서울셀렉션
쪽수 : 288쪽
출판일 : 2019-04-26
ISBN : 9791189809034
정가 : 13500
1 최초로 탄생한 임시정부 ‘대한국민의회’ | 러시아 연해주 1905년~1919년
연해주, 독립운동의 영웅들이 모여들다
안중근,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하다
의병들은 모두 모여라, 13도의군
권업회, 연해주 한인을 하나로 묶다
새로운 시대를 열자! 전로한족회중앙총회
3ㆍ1운동이 들불처럼 타오르다
대한국민의회, 최초의 임시정부를 수립하다
동방을 지배하라, 블라디보스토크의 신한촌기념비
2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다 | 중국 상하이 1919년 4월~1932년 4월
상하이 대한민국임시정부 기념관에 가다
대한국민의회, 대한민국임시정부(상하이), 한성임시정부
안창호, 세 개의 임정을 통합정부로 만들다
단둥의 교통국 이륭양행, 파란 눈의 영웅 조지 쇼
임시정부에서 탄핵이 있었다
한인애국단, 의열 투쟁으로 돌파구를 열다
의친왕 이강, 상하이 망명을 시도하다
“영원한 쾌락을 위해 목숨을 바치겠습니다.”
“뼈가 있고 피가 있다면 조선의 투사가 되어라.”
만국공묘, 독립운동가들의 유해는 어디에?
상하이의 상징 와이탄과 둥팡밍주
3 임정과 김구의 피난 시절 | 중국 자싱과 항저우 1932년 5월~1935년 11월
‘현상금 58억’ 김구를 잡아라
주푸청과 조지 애시모어 피치의 미?중 합작 비밀 작전
김구와 주아이바오의 가짜 부부생활
김구, 장제스에게 군인 양성을 요청하다
“상하이의 정원은 싫다. 중국의 정원이고 싶다.”
항저우에서 안중근과 김구를 다시 새기다
4 수로 3,000리 육로 3,000리 | 임시정부 이동 시기 1935년 11월~1939년 4월
중일전쟁이 일어나다
난무팅의 총성, 김구 구사일생으로 살아나다
땅 위에서 물 위에서 기차와 배로
충칭을 코앞에 두고 임정의 큰 별이 지다
제비도 못 넘는다는 바쑤웨와 장준하
5 임시정부의 황금기 | 중국 충칭 1940년 9월~1945년 11월
대한민국임시정부 마지막 청사 렌화츠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정식 군대, 한국광복군
허샹산 공동묘지와 곽낙원 여사
조선의용대와 약산 김원봉
투차오마을과 임정의 안주인 정정화 여사
6 국내진공작전과 일본의 항복 | 중국 시안 1941년~1945년 8월
호텔로 변한 시안 한국광복군 사령부 터
한국광복군의 대일선전 포고
한국광복군 제2지대 본부와 이월봉
이범석 장군은 가고 옛 집터는 남다
종난산 OSS 훈련 끝, 이제 조국으로 돌격하자!
36년 만에 조국 땅을 밟은 광복군 국내정진대
시성 두보기념관에서 ‘춘망’을 읽다
대한민국 서울, 꽃다운 이름과 향기로 영원히 잠든 의사들
부록 | 중국 내 임시정부기념관
작가의 말 | 문영숙
공저자의 말 | 김월배
대한민국임시정부 연표
참고도서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