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에 이런 학교가 있었어 또는 조선인과 아이누 민족의 역사적 유대
시니
2025-04-13 21:35
3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회 연결
본문
대한민국에 이런 학교가 있었어

도서명 : 대한민국에 이런 학교가 있었어
저자/출판사 : 일지 이승헌, 한문화
쪽수 : 268쪽
출판일 : 2018-10-22
ISBN : 9788956993416
정가 : 16000
머리말 내가 다니고 싶은 학교
1장 나를 사랑하는 내가 될 거야
_벤자민인성영재학교에 가다
여러분은 스스로 결정해 본 적이 있나요?
자신감과 자존감은 인성의 주춧돌
2장 내가 정말 달라질 수 있을까
_아이들은 무엇으로 성장하는가
벤자민학교라는 구명정에 오른 아이들
가르치지 않는 학교에서 스스로 배운다
어렵고 힘든 일들이 많았지만, 해낼 수 없는 일은 없었다
보호관찰 대상자에서 또래 강사가 되다
드론으로 꿈을 향해 날아오르다
마음의 피난처였던 노래, 이제는 꿈을 노래한다
오랜 무력감에서 벗어나 도전 체험을 즐기다
3장 없는 게 많은 학교여서 행복한 아이들
_우리나라 최초의 고교 완전자유학년제 학교
‘이런 학교는 우리 아니면 아무도 못 하겠구나’
고등학교 과정에 완전자유학년제를 처음으로 도입하다
자신의 가치를 아는 사람이 인성영재
창조성은 미래 인재의 핵심 능력
창조성이 깨어나면 재능이 빛을 발한다
학교의 다섯 가지 틀을 없앤 ‘5무 학교’
실수해도 괜찮아, ‘실수 오케이’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는 ‘벤자민 프로젝트’
부정적인 생각을 멈추자 다시 걸을 힘이 생겼다
아이들을 철나게 하는 필수과정, 아르바이트
체력을 올리면 뇌력, 심력도 올라간다
저마다의 특성에 맞춘 코칭으로 장점을 키운다
학교 밖 선생님, 1천여 명의 전문 멘토단
지구를 살리는 삶의 방식을 선택하는 지구시민
내 생각은 다르다고 말할 수 있는 힘
한·미·일 학생들이 함께하는 글로벌 리더십 지구시민 캠프
청년을 위한 시간, ‘벤자민갭이어’
4장 너희와 함께 우리도 자란다
_부모와 교사의 자리
우리는 언제나 널 믿고 기다릴 거야
교사로 첫발을 내디디며 꿈꿨던 바로 그 학교
5장 학교 밖에서 다시 시작하는 꿈 프로젝트
_졸업생들의 신나는 고군분투기
성장의 즐거움을 함께 나누는 졸업 페스티벌
꿈의 1년을 보내고 다시 출발선에 서다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게 해준 학교
내가 만든 ‘작은 벤자민학교’
벤자민학교에서 쌓은 경험이 최고의 스펙이 되다
집짓기 봉사활동 하며 건축가의 꿈을 키우다
벤자민 프로젝트에서 시작된 관심이 대학 전공으로 이어지다
꿈은 학력과 스펙이 아닌 인성으로 이루는 것
청소년과 사회, 나와 세계의 소통을 위해
음식점 아르바이트 하며 요리사의 꿈을 찾다
마음의 상처를 치유해준 자연의 에너지를 나누고 싶어
20킬로그램을 감량하고 국제 퍼스널 트레이너가 되다
좋은 솜씨만큼 중요한 것은 정성을 다하는 태도
6장 이 모든 것의 시작, 뇌교육
_모두를 위한 최고의 재능, ‘인성’을 깨우다
뇌를 활용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뇌활용 솔루션 1 _뇌교육 5단계
뇌활용 솔루션 2 _보스BOS 5법칙
15만 명의 학생과 학부모가 체험한 뇌교육
머릿속 ‘브레인 스크린’에 수업을 저장하다
행복한 학교, 행복한 교사를 위한 공교육 속의 뇌교육
미국 26개 도시가 지정한 ‘뇌교육의 날’
엘살바도르의 ‘구원자’가 된 뇌교육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듯
맺음말 행복한 아이가 세상을 바꾼다
조선인과 아이누 민족의 역사적 유대

도서명 : 조선인과 아이누 민족의 역사적 유대
저자/출판사 : 석순희(石純姬), 어문학사
쪽수 : 242쪽
출판일 : 2019-04-30
ISBN : 9788961849012
정가 : 16000
들어 가며
제1장 전근대기의 조선인과 아이누
에도 시대(江?時代)의 표류(漂流)와 표착(漂着)
막부 말기부터 근대 초기의 러시아 연해주로의 조선인의 이동
제2장 근대기에 있어 조선인과 아이누
근대기 초기의 조선인 이주와 정주화
메이지기 초기 아이누 취락에 있어 조선인의 정주화
아와지시마(淡路島)에서 홋카이도(北海道)로의 일본인 이주와 조선인
제3장 근대기의 조선인 노무 동원과 아이누
크롬 광산과 조선인 노무자
철도부설(도미우치선富?線)과 조선인 노무자
비라토리초의 매화장인허증을 둘러싼 기록과 표상
아이누 취락에 조선인 정주화 과정
강제 연행 ? 강제 노동으로부터의 도망
「오쓰넨무코(越年?)」
제4장 기억 표상의 폭력
비라토리 혼마치(平取本町) 공동묘지 위령비
니브타니 지구의 무연비(二風谷地?の無?碑)
후쿠미쓰(福?)의 공동묘지
구(?) 가미누키베쓰(?上貫?別 -현 아사히旭) 묘지 위령비
구(?) 가나야마선(金山線) 사카에역(??)
호로케시(幌毛志) 터널(무카와초 아즈미, 비라토리초 호로케시)
호베쓰(?別) 공동묘지
기억 표상의 폭력
제5장 선주민 지배와 식민지주의
아이누 인골 반환소송과 오가와 류키치(小川隆吉)씨
제6장 사할린에서의 아이누와 조선인
전근대기부터 일본 통치기의 사할린(樺太)
전후 사할린의 조선인과 아이누
사할린에 있어 아이누 민족과 선주민족, 조선인, 일본인의 중층성
전후 사할린 거주 한국인의 기억과 현재
제7장 전후의 아이누 민족과 조선인
조선인의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으로의 귀환과 아이누 민족
제주도「 4·3사건」과 재일 조선인
제8장 제국주의의 잔재 -망각의 역학
북미(北米), 중남미(中南米)의 선주민과 아프리카 노예 관계에 대하여
맺으며
청취자료
야마미치 기시코(山道きし子) 이시이 폼페(石井ポンぺ)
가이자와 가오루 (貝澤?) 아베 요시오(阿部義男 )
임원식(任元植) 오충일(吳忠一)
황용문(黃甬門)
후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