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톡스 다이어트 또는 우리말의 탄생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디톡스 다이어트 또는 우리말의 탄생

시니
2025-04-13 21:35 3 0

본문




디톡스 다이어트
9791164150021.jpg


도서명 : 디톡스 다이어트
저자/출판사 : 신성호, 위닝북스
쪽수 : 252쪽
출판일 : 2019-02-01
ISBN : 9791164150021
정가 : 18000

프롤로그 … 4

PART 1 나는 왜 다이어트에 실패할까?
01 즐겁지 않다면 차라리 다이어트하지 마라 … 15
02 유행하는 다이어트가 내 몸을 망친다 … 21
03 굶는 다이어트는 반드시 실패한다 … 26
04 음식은 보상수단이 아니다 … 32
05 음식 중독의 근본 원인은 스트레스다 … 37
06 수면 부족은 다이어트의 가장 큰 적이다 … 42
07 독소로부터 비만이 시작된다 … 48
08 잘못된 생활습관이 다이어트를 망친다 … 54

PART 2 독 빼고 살 빼는 디톡스 다이어트를 하라
01 탄수화물 중독을 피하라 … 61
02 내가 먹는 것이 나를 결정한다 … 67
03 뱃살을 만드는 습관을 버려라 … 73
04 ‘독하게’가 아니라 ‘건강하게’ 다이어트하라 … 78
05 요요 없는 다이어트가 진짜 다이어트다 … 83
06 술독과 장독이 비만의 주범이다 … 88
07 건강미인은 해독으로부터 시작된다 … 94
08 건강한 다이어트, 디톡스에 달려 있다 … 99

PART 3 몸이 가벼워지는 하루 10분 디톡스 습관
01 하루 10분 마음 디톡스로 시작하라 … 107
02 하루 9잔의 물을 마셔라 … 111
03 로푸드로 몸속을 클리닝하라 … 117
04 먹는 속도를 늦추면 살이 빠진다 … 123
05 하루 10분만이라도 운동하라 … 128
06 스트레칭 10분이 나잇살을 없앤다 … 134
07 체온이 1℃ 올라가면 살이 빠진다 … 139
08 10분 일찍 자고 10분 늦게 일어나라 … 144

PART 4 4주 만에 완성하는 디톡스 레시피
01 도입: 다이어트 환경을 만들어라 … 153
02 클린: 몸속을 대청소하라 … 160
03 적응: 해독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에 귀를 기울여라 … 166
04 집중: 생각을 멈추고 내 몸에 집중하라 … 174
05 감량: 디톡스로 몸도 마음도 가볍게 하라 … 185
06 지속: 몸이 건강해지는 기분을 느껴라 … 195
07 유지: D·N·A 디톡스 습관으로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라 … 201

PART 5 내 몸이 원하는 다이어트를 하라
01 건강한 다이어트는 건강한 습관에서 온다 … 209
02 더 이상 살과의 전쟁을 하지 마라 … 214
03 삼시 세 끼를 다 먹어도 날씬해질 수 있다 … 219
04 유행하는 다이어트에 현혹되지 마라 … 224
05 균형을 잡아야 다이어트에 성공한다 … 229
06 내 몸이 원하는 다이어트를 하라 … 235
07 디톡스 다이어트, 아는 만큼 성공한다 … 241
08 D·N·A 디톡스 다이어트가 내 몸을 살린다 … 247




우리말의 탄생
9791188990238.jpg


도서명 : 우리말의 탄생
저자/출판사 : 최경봉, 책과함께
쪽수 : 376쪽
출판일 : 2019-01-15
ISBN : 9791188990238
정가 : 16500

책을 시작하며-다시 태어난 우리말

1부 사전의탄생
1. 서울역 창고에서 발견된 원고뭉치

2. 《조선말큰사전》 첫째 권 출간
첫 번째 결실
국방헌금은 왜 조선어학회에 기부되었을까
사전이 바꾼 인생, 그들이 만든 사전

3. 표준 사전이 된 《조선말큰사전》
조선어학회, 우리말 교육의 설계자
두 번의 출판기념회가 갖는 의미
또 다른 사전, 《표준조선말사전》의 발간

4. 사전편찬, 누가, 왜, 어떻게 시작했나?
사전 편찬의 첫걸음
신문이 주목한 사전 편찬
민족의 자존심을 세우기 위해
시대적 과제로 떠오른 우리말 사전
조선인을 위한, 조선인에 의한, 조선어사전
조선어사전의 권위를 만들어가다
사전편찬회 발기인 108명
조선어학회를 주목할 수밖에 없는 이유

2부 길을 닦은 사람들
1. 한발 앞서 사전을 말하다
이봉운, 전통 문법학의 그릇에 근대 문법학을 담다
지석영, 종두를 배우기 위해 조선어를 연구하다

2. 대한제국의 아카데미 프랑세즈, 국문연구소

3. 주시경과 조선어 교사들
어문 운동의 탁월한 전략가, 주시경
백년지대계를 국문으로 설계하라
조선어 교사 심의린, 사전을 펴내다

4. 식민지 지식인들의 모임, 광문회와 계명구락부
광문회, 《말모이》 편찬으로 우리말 사전의 초석을 쌓다
계명구락부, 조선어학회로 가는 다리를 놓다

3부 사전의 모습
1. 말을 모두 모아라
옛말은 내버릴 것인가?
조선말의 총량
어디까지가 새말인가, 새말 규정하기
‘시골말 캐기 잡책’의 성공, 자원봉사자의 힘!
조선 사회 지식 역량의 집중, 전문어의 풀이
모아놓은 어휘들을 어떻게 배열할까?

2. ‘서울의 중류 계층에서 사용하는 말’이 표준어가 된 까닭
어떤 말을 표준으로 삼아야 하나
표준어, 언어 획일화의 문제
표준어의 협동적 애용을 촉구하다: 조선어학회 표준어사정위원회의 활동

3. 단어의 뜻을 정하다
조선어를 조선어로 설명하다
단어의 의미는 그 단어가 쓰인 용례로부터 나온다

4. 최대의 난관, 철자법 논쟁
혼란의 시작
철자의 통일이 민족정신의 통일이라 믿었다
온 조선의 관심사, 철자법 토론회
문학인들, 조선어학회를 지지하다
격렬했지만 지루했던 논쟁

4부 좌절과 전진의 세월
1. 사전 원고에 얽힌 사람들
상하이에 있는 김두봉을 찾아 길을 떠나다
개성에 사는 이상춘, 그의 혼이 담긴 사전 원고를 기증하다
문세영, 최초의 조선어사전을 간행하다

2. 후원자가 없었다면?
사전편찬후원회의 재결성
조선어학회만의 독립 건물이 생기다
출판업자들의 활약

3. 기다림, 탄압, 무관심, 좌절
지난한 사전 편찬, 사명감만이 살 길이다!
수양동우회와 흥업구락부 사건의 충격
이 세상에 조선어는 무용(無用)
서울 거리는 카키 일색: 조선어사전편찬회 상무위원 ‘신명균’의 자살

4. 드디어 원고 완성
총독부는 왜 조선어사전 출판을 허가했는가
일본의 식민지 언어 정책이 궁금하다
조선어학회 사건의 의미

5. 사전의 출간
우리말 사전의 출간이 마무리되기까지
《큰사전》이후의 사전

5부 조선어학회 사람들
1. 서구 지식의 세례를 받다
기독교와 조선어학회
조선어학회의 해외 유학파들
경성제국대학 조선어문학과와 조선어학회

2. 민족이 곧 신앙
대종교와 조선어학회
우리말의 기원을 보는 눈: 주시경의 시각
주시경의 또 다른 모습들

3. 좌·우파의 지지를 고루 받다
독립운동 세력과 조선어학회
이념을 넘어

4. 대중은 조선어학회를 어떻게 의미화했나

책을 마치며 -우리말의 새로운 탄생을 꿈꾸며

연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