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를 꿰뚫는 비즈니스 통찰 아이디어 큐레이션 또는 기능주의 번역의 이론과 실제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트렌드를 꿰뚫는 비즈니스 통찰 아이디어 큐레이션 또는 기능주의 번역의 이론과 실제

로즈
2025-04-28 10:48 0 0

본문




트렌드를 꿰뚫는 비즈니스 통찰 아이디어 큐레이션
9788958611455.jpg


도서명 : 트렌드를 꿰뚫는 비즈니스 통찰 아이디어 큐레이션
저자/출판사 : 오정욱, 청년정신
쪽수 : 432쪽
출판일 : 2014-08-15
ISBN : 9788958611455
정가 : 18000

프롤로그
INTRO ?관점을 바꾸면 세상이 달라진다

1부. 창의적 통찰의 시작 : 관점의 차이

1장. 관점을 이동하라
1. 속성의 이동 - 다른 업종에서 자신의 차별점 찾기 - 23
2. 대상의 이동 - 해충에겐 독, 사람에겐 이로운 피톤치드 - 33
3. 시간의 이동 -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효용 - 38
4. 차별점의 이동 - 주재료에서 보조재료로 차별점을 바꿔라 - 45
5. 관점의 이동 - 그 사람이 되어 보라 - 73
[Insight Note 1] 파랑새는 생각보다 더 가까이 있다 - 80

2장. 관점을 확장하라
1. 욕망의 확장 - 여성의 로망 하이힐에 숨겨진 용도의 변천사 - 84
2. 의미의 확장 - 집들이 선물용 두루마리휴지 ‘잘 풀리는 집’의 성공 요인 - 87
3. 영역의 확장 - 드럼용 세탁세제 퍼실 & 김치냉장고 딤채의 탄생 - 91
4. 용도의 확장 - 베이킹파우더의 그 놀라운 용도의 확장 - 96
5. 가치의 확장 - 김치의 재발견 : ‘노화방지 식품’ - 100
[Insight Note 2] 열대 야자수는 왜 위로 올라 갈수록 두께가 얇아질까? - 121

3장. 관점을 수축하라
1. 힘의 축소 - 아름다운 자세는 힘을 뺄 때 나온다 - 128
2. 자원의 축소 - 육상 단거리 챔피언 치타의 숨은 사냥기술 비결 - 131
3. 정보의 축소 -보이는 것을 숨겨라 - 133
4. 관점의 축소 - 모두가 불가능하다고 한 전투에서 대승리를 거둔 간단한 비결 - 136
5. 재료의 축소 - 더하려 하기보다 있는 것부터 빼라 - 138
6. 양(量)의 축소 - 기존에 있던 것을 줄이기만 해도 혁신이 된다 - 151
7. 절차의 축소 - 탁월한 아이디어 상품도 ‘빼면’ 만들어진다 - 156
8. 약점의 축소 - 아무리 좋아도 빼지 않으면 선택받지 못한다 - 160
[Insight Note 3] 똑 같은 음악도 기분에 따라 듣는 감정의 굴곡이 다르다


2부 창의적 통찰의 진전 : 재구성의 기술

1장. 세상을 2개로 재정의하라
1. 다윗이 골리앗을 흔들다 - 언콜라의 미친 존재감 - 182
2. 모노숍 ‘흐림’, 멀티숍 ‘맑음’ - 187
3. 꿈틀거리는 차, 도전받는 커피 - 198
4. 소멸성 재고, 비소멸성 재고 - 203
5. 미세먼지 시장에 영감을 줄 진해거담제의 구루 - 217
6. 아무리 작은 세상도 둘로 나누라 - 220
[Insight Note 4] 발렌타인데이와 삼겹살데이의 차이점

2장. 사용자 관점의 경험을 재정의하라
1. 군고구마의 재탄생 - 231
2. 마시는 요구르트, 짜먹는 요구르트 - 236
3. 바르는 자외선 차단제, 뿌리는 자외선 차단제 - 237
4. 망치로 깨서 먹으면 더 맛있다 - 241
5. 껌 값을 금값으로 바꾸다 - 243
6.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색다른 체험을 제공하라 - 244
[Insight Note 5] 사용자 경험을 바꾸면 돈이 보인다 - 250

3장. 업의 개념을 재정의하라
1. 통신서비스업의 재정의, 알뜰 폰 - 257
2. 뮤직업의 재정의 - 280
3. 소유의 시대에서 렌탈의 시대로 - 261
[Insight Note 6] 흑인이 육상에 강하고 수영에 약한 이유


3부. 창의적 통찰의 확장 : 대중성의 원리

1장. 빅 히트 ‘상품’과 ‘지역’
1. 생수업계를 평정한 제주삼다수 - 284
2. 아웃도어 시장의 최강자가 된 ‘노스페이스’ - 285
3. 서해안 천일염이 세계적 브랜드가 될 수 있는 2가지 전략 - 288
4. 한강! 대한민국의 대표선수로 브랜딩하라 - 296
5. 영화 ‘해운대’는 왜 1,100만 관객을 모을 수 있었을까? - 300

2장. 떴다 하면 천만 관객! :영화산업의 숨겨진 비결
1. 4천만 스마트 모바일시대의 최대 수혜자 - 305
2. 천만 관객 영화의 일상화 - 307
3. 초대박 영화의 숨겨진 비밀 - 314
[Insight Note 7] 라디오가 첨단 미디어시장에서 사라지지 않고 롱런하는 이유

3장. ‘공생’을 활용하라
1. 미 서부시대 골드러시, 돈을 번 사람은 따로 있다 - 335
2. 자연 생명체의 신비로운 Symbiosis - 337
3. 큰 파도를 만드는 순풍에 편승하라 - 339
4. IT업계의 최대 화두 빅 데이터와 함께 뜰 수 있는 분야 - 342
5. 내가 크기 위해 등에 업어야 할 것은 무엇인가? - 356
6. 불완전함을 완전함으로 바꾸는 방법 - 363


4부. 창의적 통찰자가 갖추어야 할 자세 : 도발 혹은 이단

1장. 화이트 스페이스 : 남들이 가지 않는 길에 희망이 있다
1. 서울서 둘째로 잘하는 집 - 377
2. ‘AVI’와 ‘블랙박스 다본다’가 새로 뚫은 길 - 383
3. 아무도 가지 않은 길목 - 385
[Insight Note 8] 존재감 있는 확실한 아이덴티티를 만드는 원리

2장. 숨겨진 가치를 재발견하라
1. 원조를 능가하는 원리 - 395
2. 남들이 보지 못한 것을 재발견하라 - 398
3. 미래는 진가를 알아 볼 줄 아는 자의 것 - 402
[Insight Note 9] 적응은 꼭 해야 하는가?

3장. 담는 ‘그릇’에 따라 미래가 바뀐다
1. 주변 환경에 나를 맡길 것인가? 내게 맞는 그릇을 찾을 것인가? - 421
2. 수백 배 높은 가격을 받는 수박의 비결 - 424
3. 그릇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는 일본 관상어 ‘코이’ 이야기 - 425

에필로그




기능주의 번역의 이론과 실제
9788926842324.jpg


도서명 : 기능주의 번역의 이론과 실제
저자/출판사 : 박여성, 한국학술정보
쪽수 : 371쪽
출판일 : 2013-04-12
ISBN : 9788926842324
정가 : 26000

들어가기

제1장 번역학의 패러다임

1.1 언어학적 전회
1.2 구조에서 기능으로
1.3 문화기호학적 전회
1.4 인지과학적 전회
1.5 담화와 이데올로기

제2장 번역학의 언어생태학적 기반

2.1 ‘에틱’과 ‘에믹’의 균형
2.2 고전언어학에서 후기고전언어학으로
2.3 질료장과 자료장의 변증법
2.4 매개제어체계
2.5 기능주의 번역학

제3장 번역과 행위역량

3.1 OECD-DeSeCo(핵심역량) 프로젝트
3.2 번역자 역량
3.3 기호학적 전체성

제4장 문화이론

4.1 집단지식
4.2 게슈탈트와 상징형식
4.3 자기생산과 조직: 체계이론적 관점
4.4 문화기호학: 현실모델의 프로그램

제5장 번역학의 핵심개념

5.1 통번역(Translation)
5.2 번역의 과학으로서의 번역학
5.3 번역(행위)의 정의: 구조에서 기능(역학)으로

제6장 과학적 번역이론의 예비단계

6.1 텍스트언어학과 텍스트의 정의
6.2 출발언어와 목표언어, 번역행위, 등가와 불변소
6.3 야콥슨의 기호학적 번역이론
6.4 비교문체론: 체계에서 기능(상황)으로
6.5 섭동을 극복하는 적절성

제7장 현대 번역학의 전개

7.1 라이프치히 번역학파
7.2 번역 커뮤니케이션: 모형과 한계
7.3 구조주의에서 프래그머티즘으로
7.4 등가유형의 재배치: 서독의 번역학
7.5 번역방법론의 유형학: 등가의 적절성
7.6 텍스트 적절성의 세분

제8장 등가의 유연화

8.1 정태성과 역동성
8.2 텍스트언어학의 발전과 번역학
8.3 번역 텍스트유형학
8.4 기호학적 유형학의 단서
8.5 텍스트-원형유형학(Text-Prototypologie)

제9장 기능주의 번역이론

9.1 기능주의적 접근
9.2 행성운동법칙과 기능주의 번역이론
9.3 목적이론(Skopos-Theorie)
9.4 번역자 행위이론
9.5 구성주의 번역이론의 착상

제10장 문학작품과 번역

10.1 문학언어의 특수성
10.2 시인-번역가 또는 번역가-시인
10.3 기술-번역연구(DTS)
10.4 운문번역
10.5 언어유희, 은유, 제목 그리고 실체물

제11장 번역비평과 번역투

11.1 텍스트기호학적 접근: 기능주의에서 레지스터-이론까지
11.2 번역 파라디그마
11.3 번역자의 직관
11.4 ‘번역투’ 개념에 대한 설문조사

제12장 분석

12.1 번역비평 (I): 번역 파라디그마
12.2 번역비평 (II): “양철북”
12.3 번역비평 (III): “세계를 재다”

제13장 행위역량에 기초한 번역교과 커리큘럼

13.1 번역교수법과 교과과정
13.2 번역자 양성 교과과정의 설계
13.3 (문학)번역가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

맺는말
참고문헌
색인(용어)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