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을 읽는 법 또는 6.25와 이승만
땅끝
2025-05-09 07:09
99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11회 연결
본문
사람을 읽는 법

도서명 : 사람을 읽는 법
저자/출판사 : 이명수, 지성문화사
쪽수 : 265쪽
출판일 : 2011-07-20
ISBN : 9788975753169
정가 : 10000
제1장 인간의 모든 것을 한눈으로 꿰뚫는다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히기
제2장 말하는 타입으로 상대를 꿰뚫는다
인간은 이성이라는 미명하에 비이성적인 행동을 할 수 있는 유일한 피조물
제3장 동작을 보고 상대를 파악한다
앉는 모습으로 사람을 파악한다
걷는 모습으로 사람을 파악한다
키스하는 스타일로 사람을 안다
운전 습관으로 사람을 파악한다
제4장 체형(體型)을 보면 성격을 알 수 있다
얼굴은 사람의 마음을 솔직히 반영한다
제5장 얼굴의 점으로 운세를 알 수 있다
얼굴의 점으로 본 운세
제6장 얼굴을 보고 사람을 꿰뚫는다
제7장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하여
행복한 결혼을 위하여
6.25와 이승만

도서명 : 6.25와 이승만
저자/출판사 : 프란체스카 도너 리, 기파랑
쪽수 : 451쪽
출판일 : 2011-12-20
ISBN : 9788965239987
정가 : 14000
머리말을 대신하여
제1부 기습남침과 대통령의 초기 대응
대통령의 서울 사수 의지
배를 타고 부산으로 피난
‘자유중국’의 파병제의 거절
빨갱이 세상으로 바뀐 서울
기동순찰 오토바이 따돌린 운전 솜씨
카투사 제도의 시작
채병덕 장군의 전사
“죽창으로 적을 막겠다!”
꼬마들과의 팔씨름
제2부 낙동강 방어선에서 대통령의 역할
친정에서 보내온 격려편지
겨우 구해 발라보지도 못한 땀띠약
실종자 속출하는 미 24사단
“꿈속에서 대통령이 나를 쏘았다!”
오랜만에 진해에서 단잠을 자다
부산 수도 기습발표
군악대 환영받은 경무대 요리사
낚시 즐기다 경비병에 쫓겨나
종군 미국 여기자와 인터뷰
낙동강 저지선 붕괴
밤새 쓴 37통의 편지
고당(古堂)이 있었더라면......
병역기피 꾀하는 고위층 아들들
한심한 국회의원들
인천상륙작전
제3부 서울 수복과 대통령의 북진통일 행보
헬렌 킴의 신발에서 튀어나온 개구리
“국군이 먼저 중앙청에 태극기 게양하라!”
이제는 마음 놓고 추수하게 됐어!
우리나라 국경은 압록강과 두만강
돌아온 애견 ‘해피’
제네바에서 만난 ‘동양 신사’
백선엽, 인엽 형제
장미 한 송이로 결혼기념일 선물
쑥밭이 된 이화장
술 즐기는 시인 김 비서
“나는 통일의 광신자이다!”
평양 입성으로 축제 분위기
소설가 친구 구하러 가겠다는 시인 비서
미국을 불신하는 북 주민들
장작 패며 울화를 달래다
미군 허가 받으라는 대통령의 원산 시찰
평양시민의 열렬한 환영받은 대통령
끊어진 한강철교 재개통
6년 만에 이어진 서울과 평양 전화
대통령의 자주독립노선 헐뜯는 미국
판치는 가짜 경찰, 가짜 군인
압록강 얼어붙자 중공군 인해전술
중공군에 원폭투하 검토
“무기가 없으면 낫이라도 들겠다!”
제4부 1ㆍ4후퇴와 대통령의 고군분투
맥아더의 기자회견에 실망
“다시는 서울 떠나지 않겠다!”
파면설 나도는 맥아더
각료들 훈계한 대통령
미8군의 제주도 피난계획
한국 적화되면 일본과 필리핀도 위험
미국, 원화 평가절하 압력
골치 아픈 외국기자들
“리지웨이 사령관 임명은 맥아더 견제용”
소꿉친구의 간청마저 거절한 대통령
맨손 대통령에 달군 조약돌 선물
평양 사과는 손님 접대용
경무대 뒤뜰에 놓인 장독대
생선은 머리 부분, 소는 꼬리 부분
천국행 티켓 품고 서울 사수 결심
중공군 인해전술 막을 원자탄
남행 비행기는 타기 싫다
대통령의 자작시 ‘빈대’
경무대 후송차량에도 피난민
국난 때는 부녀들이 맹활약
온 국민에 항전 독려
권력층과 부유층의 일본행 신청 러시
한국은 아시아의 열쇠다!
여성단체 궐기대회
“50만 명분 무기 달라!”
여섯 살에 천자문 뗀 대통령
전선에서 자취 감추는 중공군
14살에 죽은 외아들
제5부 통일 향한 대통령의 집념과 열정
빨리 38선을 넘어라
양말, 내의 꾸려 장병들에게
양력설 쇠기 캠페인
미주리함에 올라 감회에 젖은 대통령
대통령 별명은 ‘통일병 환자’
직선제 헌법 개정과 통일 성취
북진 제동에 격노한 대통령
‘국난 극복일’ 제정 건의
연보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