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문명의 복식사 또는 시나리오 한반도
시니
2025-04-13 21:35
5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3회 연결
본문
고조선문명의 복식사

도서명 : 고조선문명의 복식사
저자/출판사 : 박선희, 지식산업사
쪽수 : 776쪽
출판일 : 2018-09-30
ISBN : 9788942390502
정가 : 38000
머리말 ………………………………………………………………………………… 5
제1부
복식과 제의문화로 본 홍산문화와 고조선문명 ∥ 15
제1장 복식과 제의에서 찾는 고조선문명의 정의와 범위 …………………… 17
1. 복식양식과 제의 유적으로 본 고조선문명 정의 _17
2. 복식양식과 제의 특성으로 본 고조선문명 범위 _30
제2장 복식과 예술로 본 홍산문화와 고조선 제의문화 ……………………… 46
1. 옥기양식의 지역별 특성과 제의 성격 _46
2. 홍산문화와 고조선 제의성의 문헌분석 _74
3. 관모와 장식단추에 보이는 제의 기능 _101
제3장 홍산문화 예술에 보이는 제의적 성격과 고조선 ……………………… 129
1. 채색기법의 성격과 문양의 상징 의미 _129
2. 악기와 인물상 패식에 보이는 제의성 _140
3. 홍산문화 유적 출토 인물상의 조형의지 _150
제4장 고조선복식과 제의문화권의 열국시대로의 계승 ……………………… 157
제2부
소하연문화 유적 출토 인형식의 복식양식 해석 ∥ 177
제1장 고조선 복식양식의 형성기 유물 시석(試釋) ………………………… 179
제2장 소하연문화와 고조선문화의 연관성 …………………………………… 182
제3장 인형식에 해석된 고조선 복식양식의 부분 …………………………… 194
1. 머리양식과 관모 _194
2. 웃옷과 아래옷 차림새 _199
3. 웃옷의 장식기법 _209
제4장 소하연문화에서 찾아본 고조선복식 원류 …………………………… 217
제3부
복식문화와 정치체제로 본 고조선문명의 지리영역 ∥ 219
제1장 문헌과 복식비교로 본 위만조선과 한사군의 위치와 성격 ………… 221
1. 문헌과 유물로 본 ‘조선후’와 준왕의 혈통 _221
2. 문헌과 유물로 본 ’조선후‘ 거주지와 조·연전쟁 _236
3. 평양지역 복식유물 특성으로 본 최씨낙랑국과 낙랑군 _269
4. 문헌과 복식으로 본 위만조선·한사군 영역과 성격 _280
제2장 복식과 정치체제로 본 고조선과 위만조선의 위치와 성격 ………… 298
1. 위만의 고조선 망명과 ‘퇴결이복’ _298
2. 서한의 ‘서이등’ 봉건정치체제 성격 _307
3. 고조선과 위만조선의 관료체제 고찰 _315
4. 고조선과 서한의 발식과 복식양식 비교 _320
5. 위만의 고조선 서부변경의 망명 요인 _327
제3장 고구려 평양성 천도와 요서진출로 본 위만조선과 한사군 ………… 330
1. 원대자 벽화묘 연대와 유물에서 찾는 묘주 국적 _330
2. 조양지역 묘들의 국적과 동천왕의 평양성 천도 _341
3. 원대자 벽화묘에 나타난 복식양식의 특징과 국적 _371
4. 벽화묘에 보이는 〈태양도〉와 〈흑웅도〉의 재해석 _386
5. 고구려 요서 수복에서 보이는 한사군 위치 재검토 _396
제4부
고조선 복식문화의 열국시대로 계승과 고조선문명의 확산 ∥ 403
제1장 일반복식으로 본 고조선 복식문명권과 고대사 체계 재정립 ……… 405
1. 고조선 복식재료의 열국시대로의 계승과 발전 _407
1) 가죽과 모피, 모직물 생산품의 고유성과 우리말 ∥ 410
2) 마직물 생산의 우수성과 생산품의 우리말 ∥ 422
3) 누에천 생산의 고유성과 생산품의 우리말 ∥ 443
4) 면직물 생산의 우수성과 생산품의 우리말 ∥ 477
2. 복식재료의 척도 비교로 본 고조선의 복식문명권 _485
3. 복식과 문헌으로 본 한국 고대사 체계의 재정립 _495
1) 복식자료와 양식의 특성연구에서 고대사를 찾는 길 ∥ 495
2) 《삼국유사》·《위서》에 보이는 고대사 체계 ∥ 500
3) 《제왕운기》·《고려사》·《세종실록》 고대사 체계 ∥ 504
제2장 특수복식 갑옷의 양식과 과학기술로 본 고조선 복식문명권 ……… 509
1. 비교연구를 통해 본 고조선 뼈와 가죽갑옷의 종류와 생산양식 _509
1) 고조선 뼈갑옷의 생산 양식과 특징 ∥ 511
2) 고조선 가죽갑옷의 종류와 생산 양식 ∥ 520
2. 비교연구를 통해 본 고조선 금속갑옷 기법과 합금기술의 과학성 _538
1) 고조선 청동갑옷의 종류와 기법 및 합금기술의 특징 ∥ 538
2) 철갑옷의 종류와 기법 및 합금기술의 특징 ∥ 564
3) 고조선과 서한제국 철갑 생산기법과 철갑기병 ∥ 581
제3장 특수복식으로 본 고조선 복식문명과 열국시대로의 계승과 발전 …… 590
1. 비교연구를 통해 본 동부여 갑옷에 보이는 고조선 갑옷 특징 _590
1) 고조선 갑옷양식을 이은 뼈갑옷의 양식적 특징 ∥ 590
2) 고조선 갑옷양식을 이은 청동갑옷과 철갑옷의 특징 ∥ 593
2. 비교연구를 통해 본 고구려 갑옷에 보이는 고조선 갑옷 특징 _606
1) 고조선 갑옷양식을 이은 고구려 갑옷의 종류와 특징 ∥ 606
2) 고조선 갑옷양식을 이은 고구려 말갑옷의 고유성 ∥ 636
3) 고구려 갑옷양식의 특징에서 찾아지는 평양성 ∥ 643
3. 한반도 남부에 보이는 고조선 갑옷 특징과 일본열도에 준 영향 _658
1) 고조선 갑옷양식을 이은 백제 갑옷의 종류와 특징 ∥ 658
2) 고조선 갑옷양식을 이은 가야와 신라 갑옷의 특징 ∥ 677
제5부
복식문화의 비교 연구로 본 고조선문명권의 성립과 계승 ∥ 707
참고문헌 ……………………………………………………………………………… 731
찾아보기 ……………………………………………………………………………… 763
시나리오 한반도

도서명 : 시나리오 한반도
저자/출판사 : 모자이크 코리아, 쌤앤파커스
쪽수 : 296쪽
출판일 : 2019-01-16
ISBN : 9788965707547
정가 : 16000
감수의 글
추천의 글
프롤로그| 2029년, 한반도의 미래를 그리다
I. 경우의 수: 한반도 시나리오 플래닝
PART 01 시나리오 플래닝, 2029년
불확실한 한반도의 미래
시나리오 플래닝은 무엇인가
미래 미국의 시나리오: ‘America@250’
번영을 위한 3가지 관점: 새로운 접근과 시도
PART 02 시나리오 남한
2029, 성장인가 답보인가
남한이 직면할 4가지 상황
시나리오 #1 ‘명량’: 위대한 번영
시나리오 #2 ‘국제시장’: 경제적 정체, 그러나 통합된 사회
시나리오 #3 ‘내부자들’: 정의가 사라지고, 격차가 극대화된 나라
시나리오 #4 ‘곡성’: 코리아 엑소더스
PART
PART 03 시나리오 북한
2018, 다이내믹 ‘노스’ 코리아
북한의 핵 무력 완성과 화해의 손짓
북한의 운명을 결정할 ‘축’
10년 후 북한의 시나리오
시나리오 #1 ‘세상에 부럼 없어라’: 인간의 존엄이 회복된 땅
시나리오 #2 ‘배고픈 강성대국’: 또 다른 ‘고난의 행군’
시나리오 #3 ‘찢어진 모기장’: 경제적 성장, 통제되지 않은 나라 126
시나리오 #4 ‘백전백패 조선로동당’: 실패한 최악의 왕조
PART 04 시나리오 남한×북한
한반도를 둘러싼 숨 가쁜 경우의 수
‘명량’과 북한 시나리오
‘국제시장’과 북한 시나리오
‘곡성’과 북한 시나리오
‘내부자들’과 북한 시나리오
통일 코리아를 위한 최선의 조합: 남한의 ‘통합’과 북한의 ‘경제성장’
II. 운명의 축: 4대 시나리오
PART
PART 05 시나리오 한반도
남도 북도, 결국 한반도의 일부이다
운명을 좌우할 키 드라이버
시나리오 #1 ‘나의 소원’: 남북 주도의 번영
시나리오 #2 ‘아리랑’: 경제 정체, 남북 교류를 통한 활로
시나리오 #3 ‘정글만리’: 각자도생
시나리오 #4 ‘남한산성’: 승자 없는 산성
2029 코리아, 평화와 번영의 길을 찾아서
PART 06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
“코리아는 나의 힘, 나의 힘은 코리아다”
통일의 조건
한반도 미래 예측 시스템 v1.0
에필로그| 더 이상 아픈 역사를 반복하는 이유는 없다
: 한반도 시나리오 플래닝을 마치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