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미디어가 뭐예요 또는 나래짓 속에 영혼이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선생님, 미디어가 뭐예요 또는 나래짓 속에 영혼이

시니
2025-04-13 21:35 6 0

본문




선생님, 미디어가 뭐예요
9791188215249.jpg


도서명 : 선생님, 미디어가 뭐예요
저자/출판사 : 손석춘, 철수와영희
쪽수 : 152쪽
출판일 : 2019-06-10
ISBN : 9791188215249
정가 : 12000

머리말 : 소통 없는 세상이 가능할까요?

1. 뉴스를 왜 봐야 하나요?
1. 커뮤니케이션이 뭐예요?
2. 미디어가 뭐예요?
3. 매스 미디어는 언제 생겨났나요?
4. 매스 미디어가 민주주의를 낳았다고요?
5. 뉴스가 뭐예요?
6. 뉴스를 왜 봐야 하나요?
7. 뉴스에 대해 더 자세히 알려 주세요①
8. 뉴스에 대해 더 자세히 알려 주세요②
9. 어느 정도의 사건과 사고라야 뉴스가 되나요?
10. 중요한 뉴스가 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2. 뉴스도 틀릴 수 있나요?
11. 언론에서 진실이란 무엇인가요?
12. 공정 보도란 무엇인가요?
13. 언론의 역할은 뭔가요?
14. 뉴스도 틀릴 수 있나요?
15. 정확하지 않은 소식을 전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16. 자신에 대해 나쁜 보도를 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17. 언론을 왜 민주주의의 핵심이라고 하나요?
18. 왜 언론의 자유가 필요한가요?
19. 국경없는기자회가 발표하는 세계 언론 자유 지수가 뭔가요?

3. 신문 기자나 방송 기자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20. 우리나라에서는 신문을 언제, 누가, 왜 만들었나요?
21. 라디오는 어떻게 등장했나요?
22. 텔레비전은 어떻게 등장했나요?
23. 텔레비전은 바보 상자인가요?
24. 신문을 만드는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25. 신문의 1면 기사나 방송 뉴스의 순서는 누가 정하나요?
26. 신문의 사설은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27. 신문 기사를 작성할 때 원칙이 있나요?
28. 기자는 하루를 어떻게 보내나요?
29. 신문 기자나 방송 기자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30. 기자가 아니더라도 기사가 실릴 수 있나요?

4.왜 사람들은 언론 보도의 영향을 받나요?
31. 공중파 채널, 케이블 채널, 종편 채널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32. 방송 3사는 어떻게 다른가요?
33. 시청률 조사는 어떻게 하나요?
34. ABC 제도는 무엇이고, 왜 이런 제도가 도입되었나요?
35. 왜 사람들은 언론 보도의 영향을 받나요?
36. 가짜 뉴스가 뭐예요?
37. 가짜 뉴스에 속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38. 기자를 기레기라고 하는데 무슨 말인가요?

5.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정말 스마트해질까요?
39. 광고도 미디어예요?
40. 광고를 다 믿어도 되나요?
41. 영화도 미디어예요?
42. 만화도 미디어예요?
43. 게임도 미디어예요?
44. 인터넷을 언제부터 사용했나요?
45. 인터넷 혁명이란 무엇인가요?
46. 소셜 미디어가 뭐예요?
47.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정말 스마트해질까요?
48. 미디어 거품은 무엇인가요?
49. 로봇 기자 시대가 다가오나요?
50. 미디어의 바람직한 미래는 무엇인가요?




나래짓 속에 영혼이
9788956699486.jpg


도서명 : 나래짓 속에 영혼이
저자/출판사 : 김기영, 오늘의문학사
쪽수 : 192쪽
출판일 : 2018-10-17
ISBN : 9788956699486
정가 : 30000

프롤로그_ 나래짓 속에 영혼이

오월의 인연
들녘에서·1
각색을 보며
추향제(秋嚮祭)
들녘에서·2
양심
지게 작대기
이 풍진 세상에
이유
할미꽃 영혼들
언행(言行)
감나무
이웃들
자물쇠
시류(時流)의 눈빛에서
강변에는
상념(常念)
수복강녕을 비나이다
위로
영혼이 살아 있는 살 한 톨
선물
눈빛을 다스리며
고마워요
칠보색 산천
바람을 등지고

계족산성에서
백두산을 면전에 두고
유효합니다
두더지
해양박물관에서
예지(豫智)
이원역 풍경·1
이원역 풍경·2
오늘에야
현몽(現夢) 일제(一題)
채무자
냇가의 갈대
노을 속에
일일 개성 관광
눈빛을 보니
그 무엇에도
물결
풍경
비밀
닮은 얼굴
함박꽃
꿈을 키우며
사유(思惟)
둠벙
송구영신
삼존불
나무 밑에서
천리포 수목원
이야기가 있는 풍경
저녁노을에
의중(義中)
밀 싹을 보며
도백의 행보
은사시나무 잎새
변화하는 것들
큰 마당에
태산을 바라보며
기억 속의 풍상
삶에 풍경
건널목
너머에는
그리움에
귀천(歸天)
흰구름 무리지어
부정(父情)
좋은 날 되소서
오월 초하루
겨울 길목
삶이라는 것이
성묫길
무언 속에서
뭣 때문에
김유정 손끝에는
먼 곳에서 바라보니
감나무의 신비
숨결

해설_ 한상수(대전대학교 명예교수) 절제된 그리움과 사랑의 시학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