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사진일기. 1 또는 근대한국 개벽사상을 실천하다
시니
2025-04-13 21:35
4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3회 연결
본문
제주도 사진일기. 1

도서명 : 제주도 사진일기. 1
저자/출판사 : 강경식, 좋은땅
쪽수 : 378쪽
출판일 : 2018-09-07
ISBN : 9791162226834
정가 : 20000
일기 차례
#봄
퇴임사/유배지 제주/벚꽃 버스킹(busking)/병상 일기 Ⅰ/대평포구와 박수기정
#여름
고백/오월의 신부에게/아들아!/갈치와 감자/판사와 검사/강정(江汀)마을/바람아래
#가을
2017 제주생명평화대행진/처서(處暑)/우정이와 혜진이에게/끝나지 않은 여정(旅程)/크고 작음의 차이/여행 친구
#겨울
시선집중/첫눈/우리 동네/완수야!/제주도와 산업혁명/제주문화유산답사기
사진 스케치 차례
#봄
촬영스케줄 Ⅰ/해돋이 방위각/벚꽃/가파도 청보리/대평포구와 박수기정
#여름
제주해변/홍가시나무/수국(水菊) Ⅰ/송당리/해바라기/비자림로
#가을
금오름/오라2동 메밀꽃/핑크뮬리 Ⅰ/억새 Ⅰ/금악리
#겨울
차귀도 해넘이/동백꽃 Ⅰ/윗세오름/사려니숲길 Ⅰ/형제섬 해돋이/수선화/
사진 소재 코드 차례
#11(한림공원)/#12(제주추사관)/#21(위미동백나무군락)/#22(신흥2리 동백마을)/#23(선흘리 동백동산)/#26(노리매공원)/#33(녹산로)/#36(전농로)/#37(장전리)/#38(산록남로)/#41(제주대학교)/#42(중문동)/#43(신례리 왕벚나무자생지)/#44(옛 탐라대학)/#45(송하농장)
#46(윗세오름)/#47(가파도)/#51(오라2동)/#62(위미리)/#65(카멜리아힐)/#66(김경숙해바라기농원/#67(렛츠런팜)/#72(사려니숲길)/#82(항파두리)/#83(이호테우해변)/#84(협재해변)/#86(금오름)/#88(아끈다랑쉬오름)/#89(군산오름)/#91(박수기정)/#92(차귀도)/#93(송당리)
#94(마노르블랑)/#95(북촌에 가면)/#96(키친오즈)/#97(형제섬)/#98(따라비오름)/#101(금백조로)/#102(용눈이오름)/#103(산굼부리)/#104(새별오름)/#105(정물오름)/#116(위미애기동백농원)/#E0(김녕해변)/#E8(월정리해변)/#E9(함덕해변)/#W0(나홀로나무 또는 왕따나무)/#W4(비양도)/#W6(성이시돌목장)
근대한국 개벽사상을 실천하다

도서명 : 근대한국 개벽사상을 실천하다
저자/출판사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편, 모시는사람들
쪽수 : 400쪽
출판일 : 2019-06-15
ISBN : 9791188765362
정가 : 18000
서문
제1부 개벽사상을 되살리다
근대한국 개벽종교의 토착적 근대 / 허남진
Ⅰ. 머리말 Ⅱ. 서구 중심적 근대와 토착적 근대
Ⅲ. 토착적 근대종교로서 한국 개벽종교 Ⅳ. 맺음말
탈식민적 관점에서 본 동학의 현대적 의미 / 박치완
Ⅰ. 머리말: 제3세계권에서 학문하기의 ‘슬픔’ II. 로컬문화에 대한 자기 인식과 아프리카의 철학적 독립선언이 주는 교훈
III. 다일상보성에 기초해서 본 동학의 세계철학적 가치와 함의 IV. 맺음말: 오늘, 우리의 연구는,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가?
근대한국 개벽종교의 공공성과 시대정신 / 류성민
Ⅰ. 머리말 Ⅱ. 근대한국 개벽종교의 등장과 공공성
Ⅲ. 근대한국 개벽종교의 공공성과 시대정신 Ⅳ. 맺음말
종교없음 시대의 종교성과 동학 시천주 개념의 내재적 초월성 / 염승준
Ⅰ. 머리말 Ⅱ. 종교와 종교성, 종교의 세속화
Ⅲ. 시천주 개념의 내재적 초월성 Ⅳ. 맺음말
마음혁명을 통한 독립국가 완성과 국민 만들기 / 김석근
Ⅰ. 머리말: 시각과 방법 Ⅱ. 예비적 검토: 텍스트, 사상적 배경, 자리매김
Ⅲ. 정산의 『건국론』독해: 독립국가 건설을 위한 철학적 모색 Ⅳ. 치교병진(治敎竝進)과 정교동심(政敎同心): 정치와 종교
Ⅴ. 맺음말: 건국과 마음혁명
동학의 생명사상과 원주의 생명학파 / 조성환
I. 머리말 II. 윤노빈의 생존철학
III. 김지하의 개벽사상 IV. 장일순의 생명운동
V. 맺음말
제2부 개벽사상을 공공하다
근대한국 공공성의 전개와 연대 / 야규 마코토
Ⅰ. 머리말 Ⅱ. 동학의 공공성 전개
Ⅲ. 의암의 ‘공공하는 종교운동’ Ⅳ. 맺음말
비서구적 근대의 길로서의 동학과 원불교의 공동체운동 / 박맹수
Ⅰ. 머리말 Ⅱ. 근대한국 개벽종교와 ‘비서구적 근대’
Ⅲ. 동학이 추구한 ‘비서구적 근대’ Ⅳ. 원불교가 보여준 ‘비서구적 근대’
Ⅴ. 맺음말
전남 영광 지역의 종교 지형과 민족사회·경제운동 / 김민영
Ⅰ. 머리말 Ⅱ. 1910년대 전남 영광 지역의 사회경제적 상황
Ⅲ. 1910년대 전남 영광 지역의 종교 지형 Ⅳ. 영광 지역의 민족사회·경제운동과 종교의 공공성
Ⅴ. 맺음말
근대한국 개벽종교의 민족자결주의 수용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 김봉곤
Ⅰ. 머리말 Ⅱ. 일제강점기 근대한국 개벽종교의 정교분리
Ⅲ. 근대한국 개벽종교의 민족자결주의 수용과 정치 참여 Ⅳ.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과 근대한국 개벽종교의 역할
Ⅴ. 맺음말
근대 개혁불교의 사회적 공공성 / 원영상
Ⅰ. 머리말 Ⅱ. 귀환전재동포구호사업의 역사
Ⅲ. 귀환전재동포구호사업과 현실정토론 Ⅳ. 원불교의 공공성 이념과 사회적 실천
Ⅴ. 맺음말
동학과 한살림: 생명공공성의 차원변화 / 주요섭
Ⅰ. 머리말: 생명의 지평 Ⅱ. 동학: 생존의 생명공공성
Ⅲ. 한살림: 생활의 생명공공성 Ⅳ. 다시개벽과 생명공공성의 차원변화
Ⅴ. 맺음말: 제로하우스
주석
참고문헌
출전
찾아보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