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과 상생하는 기업 핵심전략 또는 시민성과 통치성 그리고 공공성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지역과 상생하는 기업 핵심전략 또는 시민성과 통치성 그리고 공공성

땅끝
2025-05-09 07:09 82 0

본문




지역과 상생하는 기업 핵심전략
9788994502069.jpg


도서명 : 지역과 상생하는 기업 핵심전략
저자/출판사 : 닉 라킨 , 베로니카 슈벨, 생각비행
쪽수 : 448쪽
출판일 : 2011-06-25
ISBN : 9788994502069
정가 : 23000

책을 펴내며 | 실무자를 위한 매뉴얼을 만든 이유
감사의 말
들어가는 말 | 기업사회참여란 과연 무엇인가

1장 최적의 기업사회참여전략을 개발하는 방법
-은투툴레 쳬니예와 나눈 인터뷰: “무한한 잠재력에 다가서기”
-왜 전략적 기업사회참여인가
-기업사회참여전략 개발하기: 5단계 과정
-부록

2장 기업사회참여에 필요한 기업의 역할, 책임, 그리고 기술들
-기업사회참여를 주도하고 운영하기
-관련 부서 파악하기
-내부와 외부에 팀 만들기
-적합한 사람 모집하기
-새로운 기술 배우기
-부록

3장 기업사회참여 예산 짜는 방법: “비용이 얼마나 드는가”
-기본적인 자선활동부터 다국적 프로그램까지
-기업사회참여: 예산이 필요한 영역
-부록

4장 기업기부활동, 재단, 그리고 재난구호활동 관리법
-리마 퀴레시와 나눈 인터뷰: “인생에서 가장 놀라운 경험 중 하나였다”
-기업기부활동 관리
-기업재단: 정체성, 이유, 설립 방법
-기업을 대신해 재난구호활동 관리하기
-부록

5장 기업사회참여와 핵심사업의 통합: 사업ㆍ마케팅ㆍ인사관리 부서와 일하는 법
-알베르토 앤드류 피니요스와 나눈 인터뷰: “사내에 신뢰할 만한 분위기를 만들어라”
-핵심사업과 관계 맺고 일하기
-지사 설립과 운영
-기업사회참여와 마케팅의 통합
-기업사회참여를 인사관리에 통합하기
-부록

6장 선도적인 기업사회참여 프로그램들을 만들고 실행하는 방법: “차별화하라”
-셀리아 무어와 나눈 인터뷰: “더 똑똑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일하기”
-전략에서 실행 계획으로
-개시와 전개
-프로젝트의 실행과 운영
-성공적인 프로그램의 규모 확대
-함께 잘 마무리하기
-트렌드는 어디를 향해 가고 있나
-부록

7장 부문 간 협력 관리법
-로스 테니슨과 나눈 인터뷰: “부문 간 파트너십의 예술과 과학을 발전시킨다”
-전략적 기업사회참여 실현을 위한 파트너링의 중요성
-능숙하고 성공적인 파트너링의 핵심기준
-좋은 파트너 관계 구축하기
-파트너링 순환주기
-효과적인 파트너십 관리
-협력 검토
-파트너링에 문제가 생겼을 때
-파트너십을 유지, 재협상, 또는 종결하기
-파트너링을 시도할 가치가 있는가
-부록

8장 지역사회에 헌신하는 임직원참여활동의 힘
-경영진과 직원이 참여하는 자원봉사
-토마스 바우마이스터와 나눈 인터뷰: “진정한 참여를 이끄는 일”
-임직원참여활동이란 무엇인가
-임직원참여활동 경영사례
-시작하기: 5단계 프로세스
-임직원참여활동 성공요인: 요약
-부록

9장 기업사회참여를 측정, 평가, 보고하는 방법: “측정하지 않은 것은 관리할 수 없다”
-측정과 평가 8단계 접근법
-기업사회참여활동에 관해 보고하기
-부록

10장 기업사회참여를 효과적으로 홍보하는 방법: “왜 이런 얘기를 예전에 들어본 적이 없죠?”
-저스틴 프레인과 나눈 인터뷰: “진정한 기업사회참여활동이 중요하다”
-기업사회참여 홍보 극대화하기
-기업사회참여 외부 커뮤니케이션
-기업사회참여 내부 커뮤니케이션
-측정
-부록

11장 도전 극복과 변화 촉진: “그것이 가치 있을 거라고 알고 있었어”
-마크 웨이드 박사와 나눈 인터뷰: “옳은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도전 극복과 변화 촉진
-공통적인 장애물과 그것을 다루는 법
-좋은 내부 지원과 외부지지
-힘들지만 보람 있고 환상적인 여정
-부록

유용한 기관 목록
관련 용어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




시민성과 통치성 그리고 공공성
9788973274673.jpg


도서명 : 시민성과 통치성 그리고 공공성
저자/출판사 : 한국공공사회학회, 백산서당
쪽수 : 420쪽
출판일 : 2011-10-28
ISBN : 9788973274673
정가 : 22000

△서 문

제1부 통치성
제1장 통치성을 통해 본 한국현대사: '87년 체제'와 한국의 사회구성 _ 정일준
제2장 공공성 담론과 정책연구 _ 김경희
제3장 참여정부의 국정운영 평가와 국가기관 신뢰에 대한 실증적 분석 _ 정일준 · 김상돈
제4장 정책집행 수단의 혁신: 일본 지방정부의 팀제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_ 김윤경

제2부 시장의 공공성
제5장 공공성의 관점에서 사회적 기업의 발전방향 _ 최무현
제6장 사회적 경제모델과 한국의 사회적 기업정책 _ 송백석
제7장 한국 노동시장에서 비정규직 노동자의 임금차별 영향 분석 _ 신승배
제8장 직업계층의 계승과정 분석 _ 임창규
제9장 관광레저와 공공성의 관계 _ 김권수

제3부 시민성
제10장 공공의 시민 만들기: 자발결사체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_ 이승훈
제11장 한국의 인터넷 참여문화의 특성과 제도적 개선방안 _ 이원태
제12장 사회적 가치관과 다문화 수용성 _ 윤상우 · 김상돈
제13장 한국인의 사회적 신뢰에 대한 분석 _ 전계영

제4부 탈가족화와 돌봄 공공성
제14장 한국 남성의 부성경험과 아버지 역할: 세대변화와 실천유형 _ 김혜영
제15장 서울시 한부모가족 실태조사를 통해 본 부자(父子)가족의 현황과 문제점 _ 문은영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