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지하지 않은 또는 민족정신 근대사를 바꾸다
로즈
2025-04-28 10:48
2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진지하지 않은

도서명 : 진지하지 않은
저자/출판사 : 레몽 플랑트, 산하
쪽수 : 116쪽
출판일 : 2014-08-20
ISBN : 9788976504357
정가 : 11000
이 상품은 목차가 없습니다.
민족정신 근대사를 바꾸다

도서명 : 민족정신 근대사를 바꾸다
저자/출판사 : 임태식, 북랩
쪽수 : 357쪽
출판일 : 2014-10-22
ISBN : 9791155853696
정가 : 17000
머리말 … 3
역사에서 … 16
민족정신(義의 개념) … 33
제1장 여명: 지는 해[망국의 길]와 떠오르는 해[고난의 길]
1. 조선, 농경시대, 성리학, 왕조 체제 … 50
2. 공노비 혁파 … 54
3. 천주교의 전래와 박해 … 58
4. 지배계급의 탐학과 부패 … 64
5. 평안도민의 민중봉기[홍경래와 주위 인물들] … 69
6. 천주교의 정착 … 76
제2장 사상의 보고
1. 사상의 대립 … 86
1) 성리학, 이념의 고착 … 86
2) 천주교의 인내와 끈기[김대건 신부와 최양업 신부의 활동] … 89
2. 학문의 변화 … 94
1)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 94
2) 혜강惠岡 최한기崔漢綺 … 97
3. 이념의 변화와 혁명의 불씨 … 101
1) 개화파의 태동[오경석과 박규수] … 101
2) 동학의 창건 … 106
3) 군웅활거 시기[잠룡들의 의식 형성] … 111
4) 1862년 임술 민중봉기 … 114
제3장 대원군의 일장춘몽
1. 대원군의 등장 … 121
1) 내정개혁 … 124
2) 서원 철폐와 유림의 저항 … 125
3) 삼정의 개혁 … 126
4) 경복궁 중건 … 128
5) 천주교의 박해와 병인양요 … 129
6) 신미양요 … 132
2. 잠룡들의 활동 … 134
3. 난세의 인물과 동학 … 136
4. 개화파의 형성 … 138
제4장 개화의 시련
1. 고종의 집권과 강화도 조약 … 142
2. 위정척사파의 활동[유림의 저항] … 145
3. 서구 제국과의 통상 조약 … 147
4. 임오 군민봉기[신분제는 다시 무너지고] … 150
5. 개화파와 수구파의 대립 … 153
6. 동학과 천주교의 잠행 … 157
제5장 인간의 평등과 부국의 꿈
1. 갑신정변 … 162
1) 정변의 과정 … 162
2) 혁신 정강정책 14개조 … 167
3) 실패 이유 … 167
4) 역사적 의의 … 170
2. 수구파 정권과 청, 일의 경제적 침투 … 172
3. 개신교 수용과 동학 및 천주교의 활동 … 175
4. 계속되는 민중의 항쟁 … 179
제6장 동학민중혁명과 인권의 승리
1. 교조신원운동 … 184
2. 고부의 민중봉기 … 187
3. 제1차 동학민중혁명 … 188
4. 폐정개혁안과 집강소執綱所의 출현 … 192
5. 동학의 조직과 집강소執綱所 설치 … 193
6. 제2차 동학민중혁명 … 195
7. 동학민중혁명의 역사적 의의 … 198
제7장 조선의 몰락과 유교문화의 쇠퇴
1. 갑오개혁 전 정국 … 202
2. 제1차 갑오개혁[1894년 6월 25일-11월 21일까지] … 205
3. 제2차 갑오개혁 … 206
4. 을미사변 … 209
5. 아관파천 … 211
6. 을미 의병 … 212
제8장 근대국가 이념과 민족정신 형성
1. 서재필의 귀국과 국내외 정세 … 220
1) 서재필의 귀국 … 220
2) 국내외 정세 … 223
2. 근대국가 이념의 정착화[1896년 4월 7일-1897년 2월 20일까지] … 227
1) 《독립신문》… 227
2) 독립협회 창립 … 235
3. 근대국가제도의 정착화[1897년 2월 21일-1898년 2월 20일까지] [정부와 사법의 분리·정착화] … 241
4. 독립협회의 의회 설립운동 … 247
5. 근대이념 승화시켜-민족정신으로 … 253
1) 서재필은 무엇을 남겼나 … 253
2) 민족정신 함양 … 254
제9장 대한제국 성립
1. 국내 정세 … 257
2. 대한제국의 성격과 정부정책 … 259
1) 대한제국의 성격 … 259
2) 정부의 정책 … 260
3. 독립협회 해산 후 지방으로 확산되는 민중 활동 … 262
4. 국제 정세[러일전쟁]와 을사조약 … 264
5. 고종의 저항과 군대 해산 … 270
제10장 민족정신 발현
1. 서론 … 274
2. 유림 세력들의 의병항쟁 … 278
1) 강원, 충북지역의 의병항쟁 … 278
2) 호서(충남)지역의 의병항쟁 … 279
3) 전기 호남지역의 의병항쟁 … 281
4) 영남지역의 의병항쟁 … 284
5) 의병항쟁의 확산 … 284
6) 그 밖의 의병 … 292
7) 후기 호남 지역의 의병항쟁 … 292
8) 중, 북부지역의 의병 … 296
3. 애국계몽운동 … 300
4. 근대 이념에 의한 극일항전 … 302
1) 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放聲大哭 … 302
2) 정명운, 장인환의 저격 … 303
3) 안중근, 이토 처단 … 303
4) 계몽운동의 확장 … 304
5) 언론과 출판 … 305
6) 국채보상운동 … 306
5. 무단정치 … 307
6. 무단 통치 시기 극일항전[1910년대] … 312
1) 대한 독립 의군부 … 312
2) 대한광복회 … 313
3) 대동청년단 … 315
4) 조선국민회 … 316
제11장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 3?1독립운동[극일항전]의 배경 … 319
2. 3?1독립선언서 … 323
1) 독립선언서 … 325
3. 3?1운동의 전국적 시위와 봉기 … 328
4.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 332
1) 일부 학자들의 역사관 … 337
2) 글쓴이의 견해 … 337
5. 극일항전의 표상[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 … 338
1) 봉오동 전투 … 338
2) 청산리 대첩 … 339
찾아보기 … 344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