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수록 만만한 자동차 또는 중립화와 한반도 통일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알수록 만만한 자동차 또는 중립화와 한반도 통일

땅끝
2025-05-09 07:09 89 0

본문




알수록 만만한 자동차
9788966210435.jpg


도서명 : 알수록 만만한 자동차
저자/출판사 : 이민구, 형설라이프
쪽수 : 272쪽
출판일 : 2011-08-10
ISBN : 9788966210435
정가 : 12000

1. 자동차 알아보기
엄마가 자동차를 샀어요ㆍ25
여러 가지 자동차들ㆍ34
알고 보면 재미있는 자동차ㆍ52
자동차는 어떻게 이루어져 있을까?ㆍ59
어떤 자동차가 좋은 자동차일까?ㆍ76

2. 자동차 운전하기
엄마, 신나게 달려요ㆍ91
엄마, 조심해서 운전하세요ㆍ111
이럴 때는 이렇게 하세요ㆍ119
올바르게 주차하기ㆍ131

3. 안전하게 운전하기
확인, 또 확인ㆍ151
어린이 교통안전ㆍ160
여러 가지 교통안전 시설들ㆍ174
자동차가 아파요ㆍ184
갖가지 교통규칙들ㆍ201

4. 갑자기 벌어지는 일들
어머, 깜빡했어요ㆍ223
갑자기 고장 났어요ㆍ238
사고가 났어요ㆍ252




중립화와 한반도 통일
9788973274499.jpg


도서명 : 중립화와 한반도 통일
저자/출판사 : 강광식, 백산서당
쪽수 : 356쪽
출판일 : 2010-05-10
ISBN : 9788973274499
정가 : 20000

추천사
책머리에

제1부 중립화의 이론적 성찰
제1장 중립화의 개념
1. 중립화 개념의 역사적 연원
2. 중립화의 모체개념 : 중립ㆍ영세중립
3. 중립화의 유사개념 : 중립주의ㆍ비동맹ㆍ비무장화
4. 중립화의 개념

제2장 중립화의 대상 및 역사적 적용사례
1. 중립화의 적합성을 규정하는 기본적 요소
2. 중립화 대상 지역의 유형 및 국가의 중립화
3. 중립화의 역사적 적용 사례(1) : 자율적 중립화
4. 중립화의 역사적 적용 사례(2) : 타율적 중립화

제3장 중립화의 기능 및 유용성
1. 중립화의 기능에 관한 두 가지 접근
2. 중립화와 국제체제의 세력관리
3. 중립화와 약소국의 자존양식

제4장 중립화의 효과와 한계
1. 중립화의 효과 및 그 실효성을 규정하는 요소들
2. 중립화와 관련 국제체제의 유형 및 수준
3. 중립화와 그 대상 국가의 대내적 조건
4. 중립화에 대한 주요 국가들의 태도
5. 중립화와 국제기구의 관계

제5장 중립화의 협상과 관리
1. 중립화의 실효성을 규정하는 기술적 조건
2. 중립화의 협상
3. 중립화의 관리와 유지

제2부 한반도 중립화론의 해부
제6장 예비적 고찰 : 한반도의 국제적 위상과 중립화
1. 한반도중립화론의 특이성
2. 한반도의 환경적 조건과 중립화

제7장 구한말의 중립화론
1. 청국ㆍ일본 각축기의 중립화론
2. 러ㆍ일 각축기의 중립화론
3. 종합적 검토

제8장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중립화 통일론
1. 분단 고정화 직전의 중립화론
2. 한국전쟁 이후의 중립화 통일론
3. 1970년대 이후의 중립화(통일)론
4. 종합적 검토

제9장 중립화 통일론에 관한 논의 및 연구 동향
1. 중립화 통일론에 관한 논의 및 연구동향 개관
2. 중립화 통일논의의 주요 쟁점 비교ㆍ분석
3. 소결론: 중립화 통일론의 논의ㆍ연구동향 평가

제3부 한반도의 국제적 위상과 중립화 통일
제10장 한반도의 국제적 위상과 그 규정요인의 함수관계
1. 지정학적 입지조건과 한반도의 국제성
2. 국제체제의 동태와 한반도의 국제적 지배형태
3. 대내적 상황과 한반도의 국제적 지위 및 양태
4. 대외적 환경적 조건의 연계구조와 이데올로기 요소의 연계작용

제11장 남북한분단체제의 복합적 갈등구조 해부
1. 남북한분단체제의 복합적 갈등구조와 체제이념의 연계성
2. 남북한분단체제의 복합적 갈등구조와 국제적 경제ㆍ안보혁력관계의 연계성

제12장 분단극복과 통일성취를 위한 체제모형 탐색
1. 분단극복과 통일성취를 위한 접근방법 검토
2. 통일 지향적 체제모형의 역사적 준거모형과 그 실천적 함의
3. 소결론: 통일 지햐으이 체제모형의 ?가와 전망

제13장 중립화 통일방안의 실제적 적용을 위한 주요 과제와 전망
1. 중립화방안과 분단국 통일문제의 상호 연계성 확인
2. 중립화 통일방안의 적용을 위한 선결과제 : 그 접근방법론상의 우선순위와 과제
3. 중립화 통일방안의 적용 가능성 진단 : 주요 과제별 여건 진단 및 전망

책 말미에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