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혈귀가 지배하는 세상 대학 또는 도시견문록
로즈
2025-04-28 10:48
2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흡혈귀가 지배하는 세상 대학

도서명 : 흡혈귀가 지배하는 세상 대학
저자/출판사 : 이희진, 책미래
쪽수 : 272쪽
출판일 : 2014-07-17
ISBN : 9791185134123
정가 : 14000
들어가면서
제1장 대한민국 교육의 숨겨진 목적 - 골품제 유지
어디서부터 속고 있을까?
블랙홀
대학은 무엇 때문에 다닐까?
과거제도 그리고 대학
정당화된 신분제
사실상의 골품제 사회
신분을 팔아먹게 된 배경
특권의식 키워 주는 교육
오직 점수만을 위하여
남의 나라 교육까지 망쳐 놓는 위대한 나라
사교육을 잡겠다고?
인재를 키우기보다 낙오자를 만들어라!
제대로 가르치려는 사람만 바보되는 악순환
오도가도 못 하는 현장
제2장 고등실업자 양성소
언어장애자
리포트도 못 쓰는 인재
수요 따로 공급 따로
뭐 하러 힘들게 가르치나
겁나는 대졸자들
양산되는 난독증 환자
투자 안 해도 될 핑계
학생들 괴롭히며 생색내기
제3장 끼리끼리 싸고 돌기
실력은 장식품
표절과 재탕조차 죄가 안 되는
의미가 없는 물량
심사
어떤 경우
덕담 잔치, 공개발표
여론 조작
교수 공개 채용 - 공개적인 비리
근원적 조작
공개강의 = 무간지옥(無間地獄)
논란을 잠재워 버린 일화
지옥 탈출기
‘예의’조차 악용되는 현실
세습되는 부실
제4장 누가 검증 없는 사회를 만들고 싶어 할까?
검증과 대학
무관심 속에서
역으로 이용되는 부작용
사회갈등이 왜 심해지냐고?
취향에 맞는 것만 공급하라 - 언론
누가 검증 없는 사회를 만들고 싶어 할까?
제5장 개선을 빙자해 피 빨아내기
대안 같지 않은 대안 - 할당제
원위치로 돌아온 학술지 등급제
역효과
그래도 남은 후유증
사기를 쳐도 당당하게!
밑 빠진 독 - 학술회의
부실의 재생산
밥그릇 싸움이 정책으로!
불량품 강요하는 학계
역사과목을 강요하는 솔직한 목적
경쟁은 하드웨어로!
껍데기 경쟁을 부추기는 정부 당국
좋은 대학 되기 위한 해결책 - 돈
실제로 되건 말건
파렴치한 사탕발림
누구를 위한 해결책인가?
제6장 해결책은 엉뚱한 곳에
해먹는 놈 따로, 메우는 놈 따로
잿밥을 없애자
등록금도 낮추고 평균 처우도 올리고
주면 줄수록 독이 되는 지원
선택의 자유
전문가는 검투사로
차라리 개방을
허황된 희망 심지 말자
맺으면서
도시견문록

도서명 : 도시견문록
저자/출판사 : 제종길, 자연과생태
쪽수 : 263쪽
출판일 : 2014-02-17
ISBN : 9788997429370
정가 : 16000
호주
토케이 / 서핑 메카의 현명한 선택 012
퀸즈클리프 / 옛 명성 되찾은 해안관광마을 018
스페인
바르셀로나 / 도시를 먹여 살리는 가우디의 유산 024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 인구보다 저전거가 많은 도시 030
레우바르던 / 전통 문화와 언어를 지키는 사람들 036
스코틀랜드
애버딘 / 개발과 보전의 조화를 이룬 회색도시 042
브라질
리우 데 자네이루 / 다양한 얼굴, 다양한 도전 048
꾸리치바 / 진화하는 도시계획 062
벨루오리존치 / 시민 참여로 만든 아름다운 서민정책 068
칠레
푼타아레나스 / 남미 생태여행의 거점 도시 074
미국
시애틀 / 커피의 도시 078
독일
프라이브르크 / 에너지 자립마을에서 에너지 수출마을로 084
드레스덴 / 독일 문화와 예술의 중심지 088
뢴 / 소박하지만 현실적인 지역발전전략 094
베를린 / 생태건축 실험지역 100
후줌 / 갯벌관광 중심 도시 104
빌헬름스하펜 / 세계자연유산 등재로 부활하다 108
랑거욱 / 주민 스스로 만든 부자 섬마을 112
일본
가나자와 / 미술관을 중심으로 창조도시를 만들다 118
나라시노 야츠갯벌 / 작고 볼품없는 갯벌을 명소로 만들다 124
구로야마 / 전통지식 살린 고품격 민박마을 130
스즈쿠이시 / 산속 힐링도시를 꿈꾸는 겨울 여행지 138
나루꼬 / 나무인형, 마을의 상징이 되다 144
오사카 도톤보리 / 광광객을 편안하게 하는 서민풍 거리 150
중국
단동 / 압록강 하구 도시 154
국내
남이섬 / 발상의 전환 돋보이는 발칙한 상상나라 162
순천 / 열린 자연경관에 승부를 걸다 168
안동 / 음식문화가 전통 도시를 살린다 174
통영 / 소박한 변신으로 젊은 도시가 되다 180
울산 / 태화강에 연어가 돌아오기까지 184
고창 / 자연에서 성장동력을 찾다 190
서천 / 해안개발 버리고 생태관광 도시로 196
신안 / 섬갯벌에서 길을 찾다 202
삼청동 / 서울의 관광 아이콘이 되다 208
제주도 / 새로이 부상하는 게스트하우스와 생태관광 214
진안 / 전통 취락구조의 원(原) 마을 살리기 222
수원 / 물의 도시, 지구촌 환경도시로 거듭나다 228
인천 / 미래관 최고의 친환경 건물 232
장흥 / 음식자원의 보고, 바다 유기농으로 빛나다 238
파주 / 예술문화 도시로 이미지 변신 중244
군산 / 문화거리 이미지를 찾다 260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