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고대 서예론 선역 또는 화석은 살아 있다
로즈
2025-04-28 10:48
2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2회 연결
본문
중국 고대 서예론 선역

도서명 : 중국 고대 서예론 선역
저자/출판사 : 박낙규 , 백윤수 , 명법(주성옥) , 정혜린 , 이, 한국학술정보
쪽수 : 410쪽
출판일 : 2014-04-30
ISBN : 9788926862032
정가 : 26000
머리말
일러두기
제1부 제1부 한(漢) 및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허신(許愼): 설문해자서(說文解字序)
채옹(蔡邕): 필론(筆論), 구세(九勢)
위항(衛恒): 사체서세(四體書勢)
위삭(衛?): 필진도(筆陣圖)
왕희지(王羲之): 제위부인필진도후(題衛夫人筆陣圖後)
왕승건(王僧虔): 서부(書賦)
소연(蕭衍): 관종요서법십이의(觀鍾繇書法十二意)
유견오(庾肩吾): 서품(書品)
제2부 제2부 당(唐)
우세남(虞世南): 필수론(筆髓論)
손과정(孫過庭): 서보(書譜)
장회관(張懷瓘): 서단(書斷)
안진경(顔眞卿): 술장장사필법십이의(述張長史筆法十二意)
한유(韓愈): 송고한상인서(送?閑上人序)
제3부 제3부 송(宋)
소식(蘇軾): 논서(論書)
황정견(黃庭堅): 논서(論書)
미불(米?): 해악명언(海嶽名言)
강기(姜夔): 속서보(續書譜)
해제 : 중국 서론(書論)의 이해와 미학적 관점
Ⅰ. 서론이란
Ⅱ. 서론의 출발과 전개 ? 한(漢),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당(唐), 송(宋)
1. 한 및 위진남북조의 서론
2. 당의 서론
3. 송의 서론
Ⅲ. 서론에 나타나는 미학적 문제들
1. 서체의 변천사
2. 글씨의 아름다움의 발견과 서론의 탄생
3. 청류(淸流), 일민(逸民), ‘위진인(魏晉人)’의 역사적 배경과 그들의 정신세계
4. 위진남북조 시기 글씨의 세속적 명성과 미적 체험
5. 글씨를 통한 위진인의 초월적 세계의 지향(志向)
6. 인물 품평의 유행과 글씨의 평론
7. 위진남북조 서론에 나타난 중요 미학적 개념과 의미
8. 당(唐)과 송(宋) 시기에 나타난 서론의 변화와 미학사적 의미
9. 서론 연구의 사례와 향후 과제들
참고문헌
참고도판
화석은 살아 있다

도서명 : 화석은 살아 있다
저자/출판사 : 장순근, 가람기획
쪽수 : 240쪽
출판일 : 2013-04-24
ISBN : 9788984353220
정가 : 12000
머리말
1장. 고생대 이전 - 미생물이 있었어
1. 생물 탄생의 비밀
생물 탄생에 관한 3가지 설명
과학백과 - 심해 열탕에서 생긴 일
2. 미생물의 등장
미생물, 그들의 아주 특별한 능력
미생물의 역사는 38억 년!
과학백과 - 옛날 바다는 얼마나 짰을까?
3. 동물의 등장
광합성, 산소, 그리고 다세포 생물
클라우디나를 소개합니다
4. 지구 위에 나타났던 생물은 몇 종일까?
2장. 고생대 - 무척추동물이 나타났어
1. 갑자기 많아진 무척추동물
고생대 캄브리아기에 무슨 일이?
청장 화석과 버지스 셰일 화석의 비밀
과학백과 - 오르도비스기 생물 대번성
삼엽충, 암모나이트, 산호의 시대
과학백과 - 문어와 오징어와 낙지는
2. 오존층이 생겨나더니
식물이 땅 위로 올라왔어
동물도 땅 위로 올라왔어
과학백과 - 바퀴벌레의 놀라운 생존법
3. 척추동물 등장!
척추는 위대한 발명품
물고기는 어떻게 진화했을까?
과학백과 - 물고기 척추는 저장창고였다?
양서류는 어떻게 진화했을까?
과학백과 - 석탄기와 페름기는 양서류 세상!
4. 땅에서는 식물이 발달해
양치식물이 쑥쑥 자랐어
겉씨식물이 나타나
과학백과 - 식물화석을 보면 기후가 보인다?
5. 삼엽충의 멸종, 고생대 막을 내리다
최초의 멸종은 오르도비스기 말
데본기 말에도, 페름기 말에도 멸종
3장. 중생대 - 공룡이 번성했다!
1. 파충류 전성시대
파충류, 그들이 궁금해?
공룡의 사생활
하늘의 제왕, 익룡
바다의 제왕, 어룡과 장경룡이
과학백과 - 공룡은 절벽을 기어올라갔다?
그 밖의 파충류의 사생활
과학백과 - 화석악어와 오늘날 악어의 차이는?
2. 하늘을 뒤덮은 새떼
육식공룡+새=시조새
‘공룡새’와 ‘새다운 새’
날지 못하는 새
과학백과 - 새털은 원래 피부세포였다?
3. 암모나이트 이야기
아름다운 봉합선
바다에서 살다가 멸종했어
4. 중생대 식물 이야기, 바다 이야기
땅에서는 속씨식물이 나타나
송진에서 호박으로
중생대 바다를 헤엄친 나노 플랑크톤
새하얀 절벽, 백악층
5. 중생대 멸종사건
공룡은 모두 어디로 갔을까
공룡은 왜 멸종했을까?
4장. 신생대 - 나와라, 포유동물!
1. 포유동물의 등장
포유동물의 시조, 유대류
다양한 포유동물의 발달
과학백과 - 가장 작은 포유동물은 6센티미터!
2. 신생대에도 파충류는 살아남아
악어의 생존 비밀
뱀의 식사법
3. 신생대 새들의 변화
아주 큰 새와 무서운 새
남극의 신사 펭귄은
4. 신생대는 활엽수 시대
5장. 600만 년 전 - 아프리카에서 사람이 나타났어
1. 인류는 이렇게 시작되었다
두 발로 걸었던 여자 원시인 ‘아르디’
인류가 다른 포유동물들을 멸종시켰을까?
과학백과 - 말의 재갈은
2. 인류의 환경 적응법
부시맨의 적응법
파푸아뉴기니 여성들의 적응법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생긴 일
고비 사막에서 여우 잡기
인류는 영원히 멸종하지 않을까?
과학백과 - 아시아에서 사는 아프리카 흑인
찾아보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