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천년의 자취 소리 또는 19세기 사상의 거처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신라 천년의 자취 소리 또는 19세기 사상의 거처

로즈
2025-04-28 10:48 3 0

본문




신라 천년의 자취 소리
9791156340188.jpg


도서명 : 신라 천년의 자취 소리
저자/출판사 : 조성원, 해드림출판사
쪽수 : 342쪽
출판일 : 2014-03-10
ISBN : 9791156340188
정가 : 13000

책머리 클래식한 신라가 아니라 현재 호흡하는 신라 이야기 5
1. 나는 무열왕을 극적으로 만났다 (혁거세 거서간) 14
2. 선도산 기슭에서1 (남해 차차웅) 21
3. 선도산 기슭에서2 (유리 이사금) 26
4. 선도산 기슭에서3 (탈해 이사금) 31
5. 애공사와 영경사 (파사 이사금) 37
6. 황남동 유리구슬이 주는 의미 (지마 이사금) 42
7. 백제 무령왕릉에서 1 (일성 이사금) 48
8. 백제 무령왕릉에서 2 (아달라 이사금) 52
9. 천년의 미소 , 수막새 (별휴 이사금) 58
10. 신라의 달밤 (내해 이사금) 62
11. 명활산성의 비담 (조분 이사금) 67
12. 역사 속에 스파이 (첨해 이사금) 72
13. 만파식적 (미추 이사금)` 77
14. 임해전의 회상 (유례 이사금) 81
15. 후래 삼배와 주령구 (기림 이사금) 85
16. 빗살무늬 토기 (홀해 이사금) 91
17. 빗살무늬가 주는 힌트, 동이족 (나물 마립간) 97
18. 부여인은 누굴까 (실성 마립간) 101
19. 가야와 부여인 (눌지 마립간) 105
20. 신라의 금관이 주는 의미1 (자비 마립간) 109
21. 신라의 금관이 주는 의미2 (소지 마립간) 113
22. 숨이 막히는 신라의 장신구 (지증왕) 117
23. 도록을 살피며 (법흥왕) 122
24. 신라 왕족에 대한 또 다른 가설 (진흥왕) 129
25. 문무왕이 흉노족의 후손이라는 (진지왕) 140
26. 해상실크로드1 (진평왕) 147
27. 해상실크로드2 (선덕여왕) 152
28. 원성왕릉에서 1 (진덕여왕) 157
29. 원성왕릉에서 2 (태종무열왕) 163
30. 원성왕릉에서 3 (문무왕) 169
31. 신라의 토우 (신문왕) 173
32. 사랑의 진실 (효소왕) 178
33. 화랑세기 이야기 (성덕왕) 182
34. 후세의 곡해라 해 둘까 (효성왕) 189
35. 왕이란 직업 (경덕왕) 194
36. 경덕왕 시절 도솔가 (혜공왕) 199
37. 금동미륵보살 반가사유상은 (선덕왕) 206
38. 잘 생긴 왕 (원성왕) 211
39. 석굴암1 (소성왕) 221
40. 석굴암2 (애장왕) 227
41. 승려들의 힘 (헌덕왕) 233
42. 신라의 불교 (흥덕왕) 240
43. 불국사에서 (희강왕) 246
44. 다보탑과 석가탑 (민애왕) 253
45. 신라 여자 아이의 수난 (신무왕) 260
46. 최치원을 우리나라 최초 수필가로 모시고 싶다(문성왕) 267
47. 허황옥 왕비를 아시는지 (헌안왕) 276
48.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경문왕) 281
49. 머리 좋기로는 단연 우리나라 (헌강왕) 285
50. 해상 왕 장보고 (정강왕) 290
51. 장보고의 비극 (진성여왕) 395
52. 실크로드 (효공왕) 301
53. 신라판 미네르바 왕거인을 아시는지 (신덕왕) 310
54. 신라와 숯 (경명왕) 316
55. 신라의 습속 (경애왕) 320
56. 경순왕의 눈물 (경순왕) 329
책 말미에 336




19세기 사상의 거처
9788996617570.jpg


도서명 : 19세기 사상의 거처
저자/출판사 : 백원철 , 안후상 , 이병열 , 이대건, 기역
쪽수 : 280쪽
출판일 : 2013-03-08
ISBN : 9788996617570
정가 : 15000

Chapter 1 19세기 민중의 변혁운동
\19세기 노령 이북의 좌도(左道)와 동학ㆍ보천교 … 안후상/ 011
\신유박해에서 동학 기포까지 100년 … 이병열/ 021
\전봉준가의 고창입향과 족보상의 기록 …백원철/043

Chapter 2 19세기 농민봉기와 수성군, 보천교
\고창지역 수성군(守城軍)의 조직과 활동 … 백원철/053
\무술ㆍ기해 농민봉기와 흥덕(興德) … 안후상/093
\차경석의 출생과 연기동, 보천교 … 안후상/121

Chapter 3 고창의 동학 마을사/ 이대건·이병열 엮음
\동학의 씨앗을 품다, 전봉준 생가 당촌마을/173
\동학농민군 사전모의 장소, 용수마을/179
\손화중의 꿈이 피다, 성송면 괴치리/187
\마애불의 비결서로 민심을 선점하라, 삼인마을/191
\동학농민군의 아픔이 서린, 용산 등룡골/199
\대밭을 헐어 농민군의 창과 깃대를, 성남리 영취정/207
\하늘을 깨운 기개로 입성하다, 무장읍성과 무장/211
\동학농민군 사신원을 지나 인천강을 넘다/ 223
\동학농민군 수만 명 굴치를 넘어/ 233
\고부를 향한 마지막 교두보, 흥덕읍성/ 243
\동학농민군 숙영지, 사포와 후포/ 253
\고창읍성과 동학농민군, 무술ㆍ기해 농민봉기/ 263
\신월 경방의 고창오씨와 동학농민전쟁/269
\동학농민군의 최후를 기억하는, 하거리당산 숲쟁이/277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