넌 참 예쁘구나 또는 고아, 족보 없는 자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넌 참 예쁘구나 또는 고아, 족보 없는 자

로즈
2025-04-28 10:48 3 0

본문




넌 참 예쁘구나
9788961671095.jpg


도서명 : 넌 참 예쁘구나
저자/출판사 : 권영택, 돋을새김
쪽수 : 240쪽
출판일 : 2013-05-17
ISBN : 9788961671095
정가 : 12000

머리말 세상 어디에도 없는 부처 5

화안和顔 마음이 평온하면 얼굴빛도 환해집니다
용서, 자신에게 베푸는 가장 큰 선물 16 | 너 살고 나 사는 길 19 | 사랑, 참 어렵다 23 | 잡초와 버그 27 | 그래서 서럽지 않은 꽃 30 | 나날이 새로운 마음 갖기 34 | 그물에서 벗어나기 38 | 작은 것을 통해 큰 것을 보다 42 | 내 마음의 여섯 도둑 46 | 천천히, 차례차례 50 | 미끼의 유혹 53 | 씻음과 씻김 57

애어愛語 좋은 말, 따뜻한 말은 세상을 밝게 만듭니다
말 많고 탈 많고 62 | 피그말리온 효과 66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지만 70 | 욕 권하는 사회 .73 | 얼굴 좀 보면서 소통하자 77 | 말도 묵히고 삭히면 더욱 깊다 81 | 참고 견디고 기다려라 85 | 말잔치의 계절 89 | 복 많이 지으세요 92

순후淳厚 온순하고 두터운 인정이 사회를 바로 세웁니다
진리로 사는 삶 98 | 차이를 인정하면 차별도 사라진다 103 | 한류와 교만 108 | 화살은 한 번으로 족하다 113 | 반구정과 압구정 118 | 메타세쿼이아에게 배운 진리 122 | 잔이 차면 넘치듯이 126 | 지비용으로 화하라 129 | 식겁할 식업 132 |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 137 | 본래로 돌아가라 141 | 법당이 곧 해우소 145

자비慈悲 다름을 인정하고 배려하면 온 세상이 평등해집니다
넌 참 예쁘구나! 150 | 빈 가지에 홍시 하나 154 | 존중은 자비의 다른 이름 157 | 획 하나만 없애면 160 | 복달임 164 | 각자위심에서 자리이타로 168 | 난 네가 참 고맙다 171 | 보시의 힘은 세다 174 | 내가 바로 그 꼰대가 아닐까? 179 | 사이가 넓어야 편안해진다 183 | 모래에 새긴 원망, 돌에 새긴 은혜 186 | 능력 명세서 스펙 189

깨달음眞覺 스스로 참되면 세상도 참해집니다
보보절대 196 | 지혜로운 믿음 200 | 느리게 살기 204 | 근본을 지키는 것이 도 207 | 습관 들이기 210 | 세상이 참해지려면 214 | 종교인의 생명은 인욕 218 | 종교인이 바로 서야 222 | 아는 것이 병 226 | 마음이 가장 크다 229 | 종교의 이름으로 232 | 천수천안관음을 만나다 237




고아, 족보 없는 자
9788997735396.jpg


도서명 : 고아, 족보 없는 자
저자/출판사 : 권은혜 , 김아람 , 김청강 , 박선주 , 오경환 ,, 책과함께
쪽수 : 272쪽
출판일 : 2014-05-15
ISBN : 9788997735396
정가 : 15000

머리말_불가능한 비교: ‘고아’라는 비유

고아와 혼혈, 근대의 잔여들_허병식
1. 고아와 혼혈, 근대의 가족로망스
2. 고아 청년들의 등장
3. 혼혈의 정치
4. 귀환하는 아이들
5. 타인의 얼굴

인조인간, ‘벌거벗은 생명’, 포스트휴머니즘_박선주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과 가즈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에 나타난 고아와 인간
1. 시작하며
2. ‘인간’의 근원에 놓인 부정, 고아
3. ≪프랑켄슈타인≫: 고아아버지아들과 ‘근대 시민’의 모순
4. ≪나를 보내지 마≫: 국가권력의 글로벌한 재편과 포스트휴먼
5. 마치며

1950년대 한국 사회의 혼혈인 인식과 해외 입양_김아람
1. 한국 현대사의 중심에 있는 혼혈인
2. 한국전쟁이 낳은 자녀들
3. 혼혈인을 둘러싼 겹겹의 모순들
4. 민간의 혼혈인 해외 입양: ‘ 다다익선’의 대리 입양
5. 더 복원될 이야기들
2차 세계대전 일본계 미국인 강제수용 시기 일본계 미국인 고아 및 혼혈아의 인종 정체성_권은혜
1. 시작하며
2. ‘모든 일본인 후손’이라는 문구의 모호함
3. 혼종결혼정책이 규정하는 일본계 미국인 고아 및 혼혈아의 인종정체성
4. 마치며

보이지 않는 혼혈인_김청강
<내가 낳은 검둥이> 로 본 대한민국 ‘검은 피부’의 정치학
1. 흑인 혼혈 한국인, 그들은 누구인가
2. 대한민국 흑인의 표상
3. ‘구별된다’는 것, 그 폭력적 인식
4. ‘위험한 교차’의 법적 장치
5. 혼혈인들이 속할 땅, 미국
6. 마치며

‘애비 없는’ 자식, 그 낙인의 정치학_홍양희
식민지 시기 ‘사생아’ 문제의 법적 구조
1. 시작하며
2. ‘사생아’의 탄생
3. 애비 없는 자식이라는 ‘낙인’
4. 사생아 낙인의 정치학
5. 마치며: 식민지적 인식론을 넘어

‘다른 이름으로 불리지 않은 자’_오경환
근대 프랑스 고아 개념의 변천
1. 시작하며
2. 드러난 아이들
3. 버려진 아이들
4. 돌봄을 받는 아이들
5. 마치며 내가>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