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커뮤니케이션 어떻게 할 것인가 또는 내가 겪은 현대사 이야기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농업커뮤니케이션 어떻게 할 것인가 또는 내가 겪은 현대사 이야기

땅끝
2025-05-09 07:09 99 0

본문




농업커뮤니케이션 어떻게 할 것인가
9788979471236.jpg


도서명 : 농업커뮤니케이션 어떻게 할 것인가
저자/출판사 : 이종순, 농민신문사
쪽수 : 458쪽
출판일 : 2012-10-30
ISBN : 9788979471236
정가 : 12000

제1장 커뮤니케이션 사회 도래
1.커뮤니케이션이란
2.커뮤니케이션의 힘
3.커뮤니케이션의 요소와 매스미디어의 등장
4.사회 곳곳에 확산한 커뮤니케이션
5.알기 쉬운 커뮤니케이션 이론

제2장 농업·농촌의 이해와 유지 필요성
1.농업·농촌의 이해
2.농업·농촌 유지,왜 필요한가

제3장 언론과 언론산업에 대한 이해
1.신문산업의 역사
2.신문 및 정기간행물
3.신문산업의 현황
4.세계 신문산업의 대응전략

제4장 미디어에 영향을 주는 요인
1.언론차원의 뉴스 내용에 대한 영향요인 모델
2.미디어 내용(기사)에 영향을 주는 요인

제5장 농업·농촌 관련 언론보도의 뉴스프레임 연구결과
1.농촌 다문화가족 보도의 뉴스 프레임
2.한미 자유무역협정 관련 농업보도의 프레임 연구

제6장 농업·농촌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
1.이슈해석에 대한 프레이밍 효과
2.기존 농업이슈 관련 뉴스 보도의 특징
3.농업 이슈 보도와 뉴스 프레임
4.농업 이슈 보도와 국민의 농업·농촌 현실 인식
5.농업·농촌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

제7장 농업·농촌 커뮤니케이션 사례, 어떤 것이 있나
1.농축산물 자조금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2.농촌사랑운동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3.농촌 어메니티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4.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5.농업인 교육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6.농사물 브랜드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7.지역농업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8.데이(day) 활용 커뮤니케이션
9.농축산물 마케팅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10.귀농·귀촌 커뮤니케이션

제8장 미디어를 활용한 농업·농촌 커뮤니케이션
1.대국민 홍보채널
2.미디어 퍼블리시티
3.미디어의 관심을 모으는 법
4.기사(記事)를 알자
5.보도자료
6.신문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7.방송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8.인터넷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9.영상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10.선거보도 커뮤니케이션
11.마음이 통하는 스피치 커뮤니케이션

제9장 농업·농촌 커뮤니케이션의 방향
1.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
2.언론 홍보 원칙
3.언론 홍보 방법
4.언론 인터뷰 요령
5.기자 간담회 기획 및 진행
6.소비자 참여형 홍보를
7.시후처방에서 사전예방 홍보를
8.소비자 트렌드와 농업 연계 커뮤니케이션을
9.언론 보도 후 상반된 효과에 주목을
10.쌍방향 커뮤니케이션 형성을
11.선택과 집중 커뮤니케이션을
12.언론 홍보 캘린더 작성 및 활용

제10장 미디어 융합이 농업·농촌 커뮤니케이션에 주는 시사점
1.문제 제기
2.융합의 개념
3.농업 환경변화의 동인
4.융합에 따른 변화
5.융합의 가치 창출
6.융합현상에 따른 산업구조와 대책
7.농업과 다른 산업과의 융합으로 시너지 효과 창출을
8.농업과 다른 산업과 융합의 과제
9.통합 뉴스룸이 농업분야에 주는 시사점
10.농민에게 미디어 접근권 확대를




내가 겪은 현대사 이야기
9788926815762.jpg


도서명 : 내가 겪은 현대사 이야기
저자/출판사 : 김재영, 한국학술정보
쪽수 : 439쪽
출판일 : 2010-10-29
ISBN : 9788926815762
정가 : 28000

프롤로그

제1부 나의 출생 터전
1. 연안 김씨 집성촌-금산골
2. 의견의 고장-오수
3. 아버지 雲沙 김종순(金鍾淳,1907~1995) 선생
4. 용전 부락-내가 태어난 곳

제2부 유년 시절(1935~1942년)
1. 할머니의 회갑-1939년 음 6월 14일(5세)
2. 어머니가 돌아가시던 날-1941년 (음)11월 21일(7세)

제3부 초등학교 시절(1942~1948년)
1. 일제 식민지 교육
2. 일제 탄압의 참상
3. 일인(日人) 담임교사
4. 초등학교 3학년(1944년)
5. 초등학교 4학년(1945년)
6. 해방 당시 관료
7. 태극기 휘날리며
8. 신도(神道)
9. 어둡고 괴로워라 밤이 길더니
10. 정치의 소용돌이
11. 초등학교 4~6학년(1945~1948년)

제4부 중학교 시절(1948~1951년)
1. 기차 통학과 기부금 미납자
2. 짓이겨진 소년 시절
3. 여순사건
4. 할머니 품에서 흐느껴 울고
5. 체육복이 없어서
6. 구호물자를 받고
7. 내 복(福)에 난리가 났다

제5부 6?25 전쟁
1. 남침 유도설
2. 유엔 안보이사회의 결의
3. 채병덕 참모총장
4. 한강폭파사건
5. 최복수 대령
6. 민간인 대량학살-보도연맹사건
7. 군번 없는 학도병
8. 고향으로 가는 피란길
9. 관촌의 민간인 학살
10. 포로가 된 딘 소장
11. 미군 비행기의 폭격
12. 공산당 치하 2개월
13. 잔인한 양민학살
14. 조선일보에 보도된 이야기
15. 미군 탱크의 진주
16. 오수초등학교 참사
17. 11사단 국군의 만행
18. 빨치산의 검문
19. 교통-목숨 걸고 다니던 고통길
20. 중공군의 개입
21. 흥남철수
22. 국민방위군 사건
23. 거창 양민학살
24. 학원으로 돌아오라
25. 유엔의 중공탄핵결의안
26. 중학교 졸업-1951년

제6부 고등학교 시절(1951~1954년)
1. 낮에는 국군 밤에는 빨치산
2. 오수 열차습격
3. 오수, 임실역 방화
4. 빨치산 총사령관 이현상
5. 신출귀몰의 외팔이 부대
6. 차일혁 총경을 추모하며
7. 지방자치제 선거와 발췌개헌안 통과
8. 잊지 말자, 납부금 독촉을 받던 그날
9. 애정산맥
10. 트럭 위의 전쟁
11. 고등학교 3학년
12. 전주고등학교 장학회 발족
13. 대입 시험 준비
14. 진로 선택
15. 정치학과

제7부 후회뿐인 대학생활(1954~1958년)
1. 험하고 긴 기찻길
2. 무일푼의 대학생
3. 이 대통령과 양녕대군 종손
4. 체중미달로 귀가
5. 할머니가 하늘나라로 가시다
6. 동숭동 캠퍼스
7. 강의실 노트
8. 54학번의 동기들
9. 학생운동
10. 교외 활동
11. 종친회-의친왕비를 모시고

제8부 방황의 세월 3년
1. 나의 집
2. 고시, 선거운동, 취업, 대학원
3. 4?19 혁명
4. 5?16 군사쿠데타

제9부 군생활 34개월
1. 논산훈련소
2. 마산 육군군의학교
3. 육군 3병원
4. 제2보충대
5. 미 제4기갑 카투사
6. 다시 한국군으로
7. 의무기지 사령부

제10부 가시밭길 5개월
1. 고향에 돌아와도
2. 형의 복직
3. 학원 강사
4. 거리의 행상
5. 빵 장사

제11부 교원의 길
1. 원광여고
2. 그룹지도와 영어공부
3. 풀브라이트 유학시험 합격
4. 결혼
5. 도미(渡美)-피츠버그 대학 연수
6. 장남 김문주

제12부 1970년대
1. 근대화와 발전
2. 동산고-실력 봉사의 교훈
3. 차남 김원주
4. 대학원
5. 아내의 서독행
6. 대학 강의와 학문 연구 경향
7. 박정희 대통령과 유신정권

제13부 1980~1987년
1. 한국의 정치사회화
2. 대학의 분위기
3. 학생들의 관심사

제14부 1987~1990년
1. 괴팅겐 대학 파견교수
2. 가족의 우환
3. 지역감정
4. 호남의 한
5. 전두환 정권의 공과(功過)
6. 보통사람 노태우
7. 대학신문
8. 졸업생들에게 당부한 글
9. 전주시 완산구, 덕진구의 명칭

제15부 1990년대
1. 동생의 교통사고
2. 대학의 보직
3. 아버지 별세
4. 장남의 사법고시 합격
5. 어머니 별세
6. 학회활동
7. 한국 정치정보학회 창설
8. 지역사회 활동
9. 조선 인물 뒤집어 읽기
10. 한국사상의 맥
11. YS는 못 말려
12. 환경이론과 새만금

제16부 2001년~정년퇴직
1. 후회스러운 일
2. 가정의 행복
3. 소중한 인연
4. 바르게 산다는 것
5. 더불어 사는 사회
6. 남기고 싶은 말
7. 나의 믿음과 소신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