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거리를 줄이면 오래 산다 또는 인문학 콘서트. 2
땅끝
2025-05-09 07:09
112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70회 연결
본문
먹거리를 줄이면 오래 산다

도서명 : 먹거리를 줄이면 오래 산다
저자/출판사 : 코오다 미쓰오, 형설라이프
쪽수 : 240쪽
출판일 : 2011-05-09
ISBN : 9788992984881
정가 : 10000
역자 머리말
저자 서문
제1장 단식건강법
단식ㆍ 식양에의 초대
1) 무지만큼 불쌍한 것은 없다
2) 잘못된 서식건강법의 실행
3) 지옥의 입원생활
4) 단식 입문
5) 너무 길어진 단식
6) 단식을 후회하다
7) 1회의 단식으로 결론을 내지 말라
8) 왜 단식광이 되었던가
단식요법의 연구
1) 단식 전의 준비
(1) 단식 중의 메스꺼움과 구토
ㄱ) 위벽이 거칠어져 있는 경우
ㄴ) 위, 십이지장에 궤양이 잇는 경우
ㄷ) 장관에 유착이 있는 경우
ㄹ) 다량의 숙변이 정체해 있는 경우
ㅁ) 산성체질의 사람은 토하기 쉽다
(2) 단식 중의 메스꺼움, 구토에 대한 대책
ㄱ) 위벽이 거칠어져 있는 경우
ㄴ) 위, 십이지장에 궤양이 있는 경우
ㄷ) 장관에 유착이 있는 경우
ㄹ) 숙변이 많이 정체해 있는 경우
ㅁ) 산성체질자가 단식한 경우
(3) 단식 중에 나타나는 저혈당 증상
2) 단식요법의 적응을 그르치지 말 것
(1) 만성 신염
(2) 네프로오제
(3) 간장병
(4) 당뇨병
(5) 통풍
(6) 폐결핵
(7) 빈혈
(8) 근무력증
(9) 심장병
(10) 류머티스
(11) 기관지천식
(12) 기타
3) 단식 중에 주의해야 할 점
(1) 단식의 목적은 심신의 개조이다
(2) 단식 중의 상념
(3) 단식 중의 화제와 독서
(4) 단식 후에 주의해야 할 점
단식요법의 장래성
1) 단식요법은 체질개조의 결정적 수단
(1) 현대의학으로 체질개조가 될 수 있는가
(2) 인간개조의 결정적 방법
(3) 체질개조의 결정적 방법
(4) 단식요법이야말로 체질개조의 비법
(5) 산성 체질에서 알칼리성 체질로
2) 단식은 회춘의 비법
3) 단식요법은 전체의학
4) 단식에 의한 자기융해의 효능
5) 단식으로 장 마비가 낫는다
(1) 대머리병과 장 마비
(2) 삼차 신경통과 장 마비
(3) 장이 움직이면 만병이 호전된다
6) 단식으로 독소의 배설력이 높아진다
7) 글로오뮤가 재생된다
(1) 냉증이 낫는 이유
(2) 지주상 혈관의 소실
8) 혈액 순환의 불도달점이 없어진다
9) 단식에 의하여 심장병이 낫는 이유
(1) 봉건사상에 기인하는 혈액순환론
(2) 강심제 사용에 대한 의문
(3) 혈액 순환의 원동력은 전신의 각 세포
(4) 심장성 쇼크의 치료법
(5) 쇼크의 회복에는 단식이 필요
(6) 심장쇠약도 단식요법으로 회복
10) 고혈압과 단식요법
11) 단식요법과 평등사상
제2장 소식건강법
소식 건강법
1) 단식요법으로 실패하는 사람
2) 사람의 배는 천차만별
(1) 숙변이 나오는 전과 후의 비교
(2) 단식 후에 체중이 줄어든 사람
(3) 소식으로 살찐 사람과 대식으로 여윈 사람
3) 소식의 과학화
(1) 배 8부란
(2) 기초대사란
(3) 소식을 하는 선승
(4) 1일 1,300칼로리로 살이 찌고 궤양도 낫는다
(5) 빈혈이나 간장해가 일어나지 않는가
(6) 식사 내용을 기록하기 시작하다
(7) 900칼로리로도 살찌는 증례
(8) 중증 근무력증도 호전
4) 난치병 극복자의 소식체험 발표회
5) 소식이야말로 건강법의 기본
6) 소식의 공덕
(1) 소식으로 치병력이 높아진다
(2) 소식은 장수를 약속한다
(3) 변통이 좋아지고 숙변도 배설된다
(4) 두뇌가 명석해진다
(5) 수면시간이 짧아진다
(6) 일의 능률이 오른다
(7) 소식은 미용법이기도 하다
(8) 가정 경제도 수월해진다
(9) 식품공해의 자위책도 된다
7) 소식의학의 이론적 근거
1) 숙변 배설에 의한 소화ㆍ흡수의 향상
2) 영양소의 이용률이 높아진다
3) 장내 세균총의 작용
4) 반추동물의 위
5) 식분(食分)으로 건강을 보전하는 동물
6) 인간의 장내세균도 질소고정을 행한다
7) 대변 속의 질소량
8) 질소를 고정시키는 세균의 발견
제3장 종교ㆍ의학 일체론
종교ㆍ의학 일체론
1) 종교ㆍ의학 일체를 구체화하는 소식
(1) 불교에 의한 식사관
(2) 오관(五觀)의 게(?)
(3) 기도가 소식의 실행을 가능하게 한다
2) 소식 실행 시의 여러 가지 주의 사항
(1) 좁은 문으로 들어가라
(2) 미식ㆍ포식자는 죽음으로 급행한다
(3) 자기암시로 용기를 돋우어라
(4) 칠전팔기의 정신으로
(5) 전탁의 생활
3) 일반적인 소식ㆍ단식 건강법의 실제
(1) 완전 영양일 것
(2) 저작(咀嚼)주의를 실행할 것
(3) 식사의 횟수
(4) 칼로리의 횟수
(5) 소식과 1일 단식의 실행례
(6) 맺음 : 1온스의 예방은 1톤의 치료보다 낫다
자료편 완전 생식요법
1. 완전 생식요법의 내용 예시
2. 완저 생식 종료 후의 회복식
3. 가정에서 할 수 있는 대용 단식법
1) 한천단식
2) 벌꿀단식
3) 과즙단식
4) 과즙단식의 변법
5) 녹즙단식
6) 생야채의 이상즙단식
7) 미음단식
8) 맑은 장국단식
4. 완전 생식요법 또는 대용단식 기간 중의 하루일과
5. 가루밀크 단식법
인문학 콘서트. 2

도서명 : 인문학 콘서트. 2
저자/출판사 : 이어령 , 김정운 , 임헌우 , 하지현 , 박이문, 이숲
쪽수 : 568쪽
출판일 : 2010-10-30
ISBN : 9788994228112
정가 : 25000
제1부. 한국인, 어디로 가나
『Only One, 한국인의 독창성』 이어령
세상 모든 것이 인문학이다 | 인간을 둘러싼 세 가지 세계 | Living vs Life |온리원(Only One) 창조자 | 새로운 인류 자본, 인문학 | 감동의 인문학 | 부정의 인문학 | 거북선과 아다케 후네 | 소통의 인문학 |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꿔라 | 온 세상이 교과서다
『한국인이 놀다』 김정운
놀아야 한다 | 한국인은 왜 놀 줄 모르는가 | 한국인에게 부족한 정서적 공감대 | 창조하고 싶다면 맥락을 바꿔라 | 생각의 지도 | 휴테크가 필요하다 | 쉬기와 놀기 사이 | 문화적 다양성이 존재하는 사회
『한국인, 상상력을 디자인하라』 임헌우
상상력이란 무엇인가? | 상상력이 생산성을 주도한다 | 브로드비치의 오프너 | 파이(π)형 인간 | Stay Hungry, Stay Foolish | 생각의 관성에서 벗어나라 | 생각의 가지를 쳐라 | 독창성은 어디서 오는가 | 감동하게 하라 | 발견과 발명 사이, 인류의 역사 | 패러다임의 변화를 읽어라 | 상상력의 기반, 열정 DNA | 생각의 크기 | 진정으로 원하면 이루어진다? | 상상력의 세 요소 | 인생은 저지르는 자의 것이다
『한국인의 도시 심리학』 하지현
일상에서 만나는 심리학 | 소통과 폐쇄 사이 | 술의 도시 심리학 | 광장의 집단 의식 | 유령 위장 | 인지부조화 | 원두커피와 커피믹스 사이 | 양극화하는 노인 계층 | 자살률 1위, 대한민국 | 성형 열풍 불다 | 자신의 페이스를 유지하라 | 내 욕망을 부끄러워하지 말자
『한국의 과학교육을 위하여』 박이문
과학문명에 대한 철학적 성찰 | 세계관으로 과학을 만나다 | 과학과 감성 | 과학, 어디로 가고 있는가 | 침묵의 봄
제2부. 한국인, 어디서 왔나
『한국인의 조상』 임돈희
어떤 민속학인가? | 세계에서 평가받는 한국의 무형문화재 | 한국인 가문의 형성 | 전통사회 가족관계 | 한국인에게 조상은 어떤 존재인가? | 조상제사에서 민속의 역할 | 한국식 입양과 재산분배 | 우리가 풀어야 할 단일민족 사회의 과제
『한국인의 명절』 이종철
한국인의 명절 | 한국인의 명절 놀이 | 한국인의 24절기 | 24절기와 풍속 | 한국인의 놀이
『한국인의 귀신이야기』 장윤선
왜 귀신인가? | 귀신의 개념과 유교적 귀신관 | 있어야 할 귀신, 없어야 할 귀신 | 원혼, 소외된 자들의 이야기 | 귀신이야기의 비공식적 세계관 | 귀신, 현재와 과거의 접점
『한국인의 신화적 상상력』 오세정
신화란 무엇인가 | 한국인의 창세신화 | 건국신화, 무속신화 | 신화적 인물의 공간이동과 그 의미 | 신들의 변신 | 신화는 우리 자신의 이야기다
『한국 미인』 조용진
미인의 기준은 변한다 | 민족의 특징적 얼굴의 형성 | 미인의 평가에 작용하는 가치 개념 | 지역과 성에 따른 미인의 기준 | 진정한 미인
제3부 한국인, 누구인가
『한국인의 죽음』 김열규
죽음, 사랑, 문학 | 한국인은 세 번 죽는다 | 문화현상으로서의 곡(哭) | 영혼은 어떤 존재인가 | 메멘토 모리 | 죽음은 삶의 주춧돌이다 | 죽음을 승화하라
『한국인의 문기(文氣)』 최준식
문기와 신기 | 한국인은 왜 문화적 열등감을 느끼는가? | 경이로운 인쇄문화 | 한국인의 기록 정신 | 최고의 문화유산, 한글 | 한글 창제의 배경 | 문기, 한국인의 잠재력
『한국인의 한시』 이종묵
한국인의 한시 | 설중매(雪中梅) | 시중유화, 화중유시 | 임금, 시를 짓다 | 조선의 시인들
『한국인의 음악혼』 한명희
국악의 뿌리 | 우리 음악의 특징 | 단가(短歌), 판소리, 사물놀이 | 국악, 어떻게 즐길 것인가?
『한국인의 춤』 김삼진
한국춤 | 한국춤의 특징 | 한국춤의 명인들 | 한국춤의 미래
『한국인의 집, 한옥』 김봉렬
한국인의 집 | 한옥의 재탄생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