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실부활론 또는 소셜 네트워크 확산의 기술
땅끝
2025-05-09 07:09
89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82회 연결
본문
황실부활론

도서명 : 황실부활론
저자/출판사 : 유성출, 어드북스
쪽수 : 200쪽
출판일 : 2011-09-20
ISBN : 9788958450849
정가 : 12000
머리말ㆍ4
(프롤로그) 이념의 종식과 전통의 회복
30년 전 어느 유태교 랍비의 충고ㆍ10 / 우리는 민주공화제 때문에 소중한 것을 잃었다ㆍ15 / 조선 황실은 정직했다ㆍ19
제1장 3ㆍ1운동과 한국인의 정체성
황제의 죽음과 민중의 슬픔ㆍ25 / 3ㆍ1운동의 원동력은 윌슨의 민족자결주의가 아니다ㆍ30 / 3ㆍ1운동의 지도자는 33인 민족대표가 아니다ㆍ34 / 3ㆍ1운동은 봉건왕조를 청산한 민주혁명이 아니다ㆍ38 / 우리는 한국인이기 전에 먼저 조선인이다ㆍ42
제2장 대한민국임시정부, 독립운동의 정당성과 공화혁명의 부당성
질풍노도의 혁명적 시대사조ㆍ45 / 상해임시정부와 마르크스ㆍ레닌사상ㆍ48 / 역사의 시한폭탄, 구황실 우대조항ㆍ49 / 만주독립군은 상해임시정부를 기본적으로 부정했다ㆍ54 / 김구(金九)의 고뇌ㆍ58 / 중경임시정부와 혁명주의 노선ㆍ59 / 대한민국의 모태(母胎)는 이념의 상해임시정부가 아니다ㆍ62
제3장 혁명의 민주주의 VS 전통의 민주주의
‘민주주의=공화제=반군주제’라는 도그마ㆍ66 / 국민주권론(國民主權論) 비판ㆍ69 / 서구 민주주의의 근원ㆍ78 / 전통과 민주주의의 관계ㆍ84 / 우리나라는 혁명적 공화제의 역사적 정당성이 없다ㆍ87
제4장 폐쇄적 민족주의에 빠진 우리 한국인
안중근이 진정한 한국인이다ㆍ93 / 친일 세대와 대한민국의 정체성ㆍ96 / 보수와 진보의 이념 논쟁ㆍ99 / 위선의 보수주의: 동아일보와 조선일보ㆍ103 / 히스테릭한 반일감정ㆍ105 / 문화정치에서 태어난 친일 엘리트 지식인ㆍ108 / 동아일보 중심의 우리 국사교육ㆍ111 /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ㆍ120 / 자학(自虐)의 역사와 야스쿠니 신사참배ㆍ122 / 아키히토 일본 국왕의 방한(訪韓)에 당황하며ㆍ125 / 친일 세대에게 ‘NO!’라고 말할 수 있는 한국인ㆍ127
제5장 조선이 망한 원인을 다시 추적하며
역사의 경직성ㆍ132 / 조선의 이상은 전제군주제가 아니었다ㆍ135 / 조선시대에는 왜 재상다운 재상이 없었을까?ㆍ139 / 세종 때 국력이 최강이었던 이유: 재상중심제의 본질ㆍ141 / 의정부서사제(=왕도정치, 입헌군주제) VS 육조직계제(=패도정치, 전제군주제)ㆍ145 / 당쟁의 태동: 대간(사간원과 사헌부)의 세력 확장ㆍ148 / 당쟁의 확산: 홍문관의 정치 참여ㆍ150 / 당쟁의 절정: 노론(老論) 계열의 최후 승리ㆍ154 / 이준경의 경고ㆍ156 / 도학(道學)의 정체ㆍ157 / 도학의 변질: 조선 패망의 문화적 뿌리ㆍ161 / 조선과 서구의 아름다운 만남ㆍ164
제6장 우리는 서구 문화 수용에 실패했다. 조선 패망의 교훈에도 실패했다
국가(國家)와 정부(政府)는 다르다ㆍ168 / 국가원수와 행정수반의 혼동ㆍ170 / 프랑스 대통령중심제: 고전적 제한군주제ㆍ173 / 미국 대통령중심제: 도덕적 전제군주제ㆍ176 / 국왕중심제의 폐습은 뿌리뽑히지 않았다ㆍ180 / 통일과 황실 부활ㆍ192
(참고문헌)
소셜 네트워크 확산의 기술

도서명 : 소셜 네트워크 확산의 기술
저자/출판사 : 이지선, 동아일보사
쪽수 : 228쪽
출판일 : 2010-12-01
ISBN : 9788970908250
정가 : 13000
프롤로그 사용하지 않아도 모르면 바보 되는 소셜 미디어 세상
PART 1 소셜 미디어, 재미와 참여로 만들어진 새로운 세상
사용하든 안 하든 알아야 하는 이유
대체 소셜미디어가 뭐야?
신문 대신 블로그를 보는 세대
나만의 경험이 웹에선 특별한 정보가 된다
소셜 미디어의 대표주자, 블로그
스마트폰 열풍을 타고 온 '마이크로블로그'
소셜 네트워크를 만드는 링크의 힘
PART 2 SNS, 활짝 열린 소통의 숲
SNS 뉴스보다 먼저 뉴스를 만난다
마이크로블로그, 가볍게 시작하는 일상의 대화
마이크로블로그계 양대 산맥, 트위터 vs 미투데이
트위터 광장에서 순간이동하기
가장 친근한 정보채널, 트위터의 친구들
'떼창 프로젝트', 트윗에서 노는 법
두 번의 클릭으로 4100명에게 퍼지는 트윗망
무일푼으로 15만명에게 홍보하기
내 관심사 찾기 - 해시태그
유명 인사들의 일상을 엿보다
글로벌 리더의 통찰을 읽다
너 나와 '미친'하지 않을래?
정감은 미투데이에서, 정보는 트위터에서
SNS계의 다크호스, 페이스북
페이스북의 기본 기능과 구조
정보와 교류의 종합선물세트
믿음을 심어주는 글로벌 커넥션 만들기
재방문율 높은 서비스
인기 SNS의 원동력은 바로 '관계'
댓글은 관계맺기의 시작이다
믿음직한 콘텐츠는 관계를 확장시킨다
친구는 곧 정보원이다
인기 SNS의 친구관계를 파헤치다
손 안의 컴퓨터, 스마트폰으로 SNS 즐기기
언제 어디서나 PC와 인터넷을!
모바일 웹과 모바일 앱
모바일과 SNS는 찰떡궁합
세상에, 더 똑똑해진 모바일 위치정보 서비스
포스퀘어-모바일로 내 위치를 공개하다
마술 같은 증강현실
가장 핫한 스마트 폰은? 아이폰 vs 안드로이드
INTERVIEW
세 가지 SNS의 각기 다른 맛과 향을 느끼다 - 한상기 KAIST교수
PART 3 블로그, 나만의 콘텐츠 제작소
단순 정보 제공보다 매력적인 콘텐츠르 원한다
봐야 할 콘텐츠가 너무 많다
디테일이 살아 있는 콘텐츠
1인 미디어, 블로그의 강점은?
매력적인 블로그 글쓰기
하루 1만 명 방문하는 파워 블로그의 비밀
"댓글을 달아보세요"
추천과 친구, 검색이 키워드다
블로그 확산의 기술
내 블로그의 방문자를 늘리는 비법
폭발적 조회 수 겨냥한 다음뷰 이용하기
메타블로그 이용하기
지속적인 방문을 위해 네이버 오픈캐스트 이용하기
블코 채널 이용하기
롱테일 효과 노리는 검색 이용하기
인기 블로그에 링크 걸기
INTERVIEW
블로깅만으로 밥벌이하는 시대-고준성 다음커뮤나케이션 기획팀장
APPENDIX
다음뷰, 오픈캐스트 사용법
PART 4 프로처럼 즐기는 소셜 미디어 활용법
똑똑하게 재미있게 즐기는 스마트 라이프
구글닥스를 이용해 간편하게 팀플레이하기
세계인의 종합방송국, 유튜브 120% 즐기기
"우리 감자나 캐볼까나?" - 소셜 게임 '위룰' 즐기기
슬라이드셰어로 공부하기
플리커로 쓰는 그림일기 - 미투데이와 연동
친구와 함께 지르면 반값! - 소셜 쇼핑 티켓몬스터
기분에 맞춰 노래가 배달되는 소셜 라디오 24hz
트위터 더 재미있게 즐기는 방법 - 트윗당 만들기
PART 5 기업 및 공공기관, 소셜 미디어와 만나다
친구와의 대화에서 대중과이 소통으로
공공기관도 주목하는 SNS의 파급력
그들만의 특별한 플랫폼 전략이 있다
기업의 블로그 활용 사례
트위터로 기업과 친구가 되다
안녕하세요? 실시간 고객센터, oo기업 트위터입니다
또 다른 가능성, 기업 페이스 북
소셜 미디어로 한층 친근해진 정부기관
INTERVIEW
소셜 미디어 활용해 국민과 소통한다
-김철균 청와대 뉴미디어 홍보비서관
INTERVIEW
'엄친아' 삼성의 소셜 미디어 활용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곽호석 삼성그룹 커뮤니케이션팀 블로그 운영담당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