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나듦의 정치사상 또는 지천명리 격과 그릇
로즈
2025-04-28 10:48
2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넘나듦의 정치사상

도서명 : 넘나듦의 정치사상
저자/출판사 : 강정인, 후마니타스
쪽수 : 467쪽
출판일 : 2013-06-28
ISBN : 9788964371848
정가 : 23000
책머리에 9
제1부__정치사상, 어떻게 할 것인가
1장 비교정치사상 방법론에 대한 예비적 고찰: 횡단적, 교차 문화적 대화
1. 다중심적 지구를 위하여 31
2. 횡단성 36
3. 교차 문화적 대화 47
4. 생물학적 비유와 비교의 지평 53
5. 맺는말 58
2장 한국 정치사상, 어떻게 할 것인가: 반성과 대안
1. 글머리에: 서구중심주의의 폐해 61
2. 예비적 고찰 63
3. 한국 정치사상, 어떻게 할 것인가 78
4. 맺는말 97
제2부__동서 비교
3장 덕치(德治)와 법치(法治): 양자의 겸전(兼全) 필요성을 중심으로
1. 글머리에 101
2. 예비적 고찰 105
3. 서양 정치사상사에서 법치사상의 전개와 덕치사상의 겸전 112
4. 동양 정치사상사에서 법치사상의 전개와 덕치ㆍ법치의 겸전 119
5. 맺는말 136
4장 동서양 사상에 있어서 정치적 정당성의 비교:
유가의 공론론과 루소의 일반의지론을 중심으로
1. 글머리에 141
2. 유가의 공론론 146
3. 루소의 일반의지론 159
4. 유가의 공론론과 루소의 일반의지론의 상호 비교 165
5. 맺는말: 유가 공론론의 현실적 의의 181
제3부__전통 사상
5장 원시 유가 사상에 명멸했던 대동 민주주의: 급진적 회상
1. 글머리에 189
2. 고대 민주정의 상대적 보편성과 아테네 민주정의 특이성 196
3. 대동의 두 가지 개념: 『예기』와 『서경』 205
4. 원시 유가 사상에 명멸했던 대동 민주주의 210
5. 맺는말 230
6장 율곡 이이의 정치사상에 나타난 대동(大同), 소강(小康), 소강(少康):
시론적 개념 분석
1. 글머리에 233
2. 『예기』와 율곡 사상에 나타난 대동과 小康 235
3. 율곡 사상에 나타난 ‘少康’과 ‘小康’ 245
4. 기존 연구의 검토 265
5. 맺는말 269
제4부__한국 현대 정치사상
7장 한국 현대 정치의 이념적 지형: 비동시성의 동시성의 관점에서
1. 글머리에 275
2. 비동시성의 동시성: 이중적 정치 질서의 중첩적 병존과
보수주의의 이념적 모호성 277
3. 비동시성의 동시성과 현대 한국 정치의 이념적 지형: 다른 특징들 287
4. 맺는말 305
8장 민주화 이후 한국 정치에서 자유민주주의와 법치주의의 충돌
1. 글머리에 311
2. 어떤 민주주의인가: 자유민주적 기본 질서와 민주적 기본 질서 312
3. 민주주의와 법치주의의 충돌 325
4. 민주주의와 자유주의의 충돌 340
5. 맺는말 350
제5부__서양 및 일본의 정치사상
9장 루소의 정치사상에 나타난 정치 참여에 대한 고찰:
시민의 정치 참여에 공적인 토론이나 논쟁이 허용되는가?
1. 글머리에 357
2. 루소의 국가 분류: 국가의 부패 정도와 정치 참여의 양상 359
3. 시민의 정치 참여에 공적인 토론이나 논쟁이 허용되는가:
주요 해석론의 개관 367
4. 부정론에 대한 비판과 대안적인 긍정론의 개진 378
5. 맺는말 391
10장 마루야마 마사오의 정치사상에 나타난 서구중심주의와 일본중심주의:
『일본정치사상사연구』(日本政治思想史硏究)에 나타난 ‘자연(自然)과 작위(作爲)의
이분법적 대립’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1. 글머리에 395
2. 「근세 일본정치사상에 있어서의 “자연”과 “작위”」
(『일본정치사상사연구』 제2장)의 요약 400
3. 『일본정치사상사연구』 제2장에 대한 문제 제기와 비판 411
4. 마루야마 마사오와 후쿠자와 유키치 사상의 비교 424
5. 맺는말: 초국가주의, 곧 일본 파시즘은 근대성의 일탈인가? 431
책을 내고 나서 435
참고 문헌 455
지천명리 격과 그릇

도서명 : 지천명리 격과 그릇
저자/출판사 : 덕연, 지천명
쪽수 : 480쪽
출판일 : 2014-05-12
ISBN : 9791195134748
정가 : 28000
책을 열며 · 6
제 1 장 음양오행(陰陽五行) 오운육기(五運六氣)
1. 동양철학의 개관 · 19
2. 음양의 발생 · 24
3. 음양(陰陽)의 표리부동 · 26
4. 오행(五行) · 28
5. 오행(五行)의 규합 · 53
6. 오운육기(五運六氣)의 이해 · 61
제 2 장 육십갑자(六十甲子)
1. 육십갑자(六十甲子)란? · 83
2. 육십갑자의 변화 · 161
제 3 장 격(格)과 그릇의 이해
1. 격(格)과 그릇의 이해 · 169
2. 그릇의 청탁(淸濁) · 178
3. 그릇의 대소(大小) · 187
4. 일간의 왕쇠강약 · 195
5. 격(格)의 구성 · 202
6. 육친적인 격의 구성 · 210
7. 생(生), 왕(旺), 묘(墓) 글자들의 특징 · 243
8. 천간과 지지의 관계 · 259
제 4 장 격(格)의 변화원리
1. 격의 변화 · 269
제 5 장 생극제화(生剋制化)의 원리
1. 오행의 생극제화 · 287
2. 육친의 생극제화 · 294
3. 음간과 양간의 생극제화 · 300
4. 이원적 세계 · 310
제 6 장 없는 것(無字)과 많은 것(多字)
1. 글자가 없다(無字論) · 318
2. 특정 오행이 없는 경우 · 320
3. 특정 육친이 없는 경우 · 323
4. 허자론(虛字論) · 326
5. 없는 것에 대한 해석의 중요성 · 328
6. 많은 것에 대한 해석(多字法) · 330
7. 특정 육친이 많은 경우 · 332
제 7 장 근묘화실(根苗花實)론
1. 근묘화실론(根苗花實)의 이해 · 341
2. 원국에서 합충의 이해 · 348
3. 근묘화실적 음양오행 · 353
4. 육친의 근묘화실 · 354
5. 근묘화실적 선용관계 · 374
6. 근묘화실로 보는 지장간 · 375
제 8 장 실제 그릇 해설 · 381
제 9 장 에필로그
1. 음양의 세계와 인간의 운명 · 411
2. 정신과 감정 그리고 육체의 조화 · 415
3. 운명의 완성 · 419
4. 무지(無知)와 무명(無明) · 421
5. 사주분석의 순서 · 423
책을 마치며 · 426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