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내셔널리즘 해부 또는 한국인의 가치 해체에서 재구성으로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일본 내셔널리즘 해부 또는 한국인의 가치 해체에서 재구성으로

땅끝
2025-05-09 07:09 98 0

본문




일본 내셔널리즘 해부
9788976823670.jpg


도서명 : 일본 내셔널리즘 해부
저자/출판사 : 고야스 노부쿠니, 그린비
쪽수 : 208쪽
출판일 : 2011-10-25
ISBN : 9788976823670
정가 : 15900

책머리에

해독 1. 일본의 고유성과 타자의 흔적-모토오리 노리나가에 있어서의 광기와 정기
‘한’(韓)의 흔적 | ‘일본’의 성립 | 신라에 강림한 신 | 『쇼코하쓰』라는 저술 | 정기의 담론이란 무엇인가 | ‘일본’ 성립의 언어적 기념비 | ‘한’을 포괄하는 제국

해독 2. ‘일본어’(야마토고토바)의 이념과 그 창출-모토오리 노리나가 『고지키전』의 선물
‘일본어’란 | 『고지키』를 읽는 것 | 『고지키』를 읽을 수 있는가 | 노리나가의 『고지키』 발견 | ‘야마토고토바’의 훈독 | 먼저 ‘야마토고토바’가 있었다

해독 3. 제사국가 일본의 이념과 그 성립-미토학과 위기의 국가신학
‘천조’라는 한자어 | 『신론』과 국가적 장계 | 제사적 사적의 회상 | 소라이의 귀신제사론 | 국가적 위기와 민심 | 죽음이 귀착하는 곳

해독 4. 국체론의 문명론적 해체-후쿠자와 유키치의 『문명론 개략』과 국체론 비판
국체 개념의 기존성 | 국체론과 문명론 | 국체 개념의 탈구축 | 고습의 혹닉

해독 5. 도덕주의적 국가와 그 비판-후쿠자와 유키치의 ‘지덕론’ 해독
비판적 담론으로서의 문명론 | ‘지덕론’의 과제 | 지ㆍ덕의 구별과 재구성 | 도덕주의 비판 | 지력이 행해지지 않는 사회 | 인지 발달의 광경 | 독립 인민과 정부: 급진적 리버럴리즘

해독 6. ‘일본민족’ 개념의 고고학-‘민족’, ‘일본민족’ 개념의 성립
고고학적 해독이라는 작업 | 개념 성립을 둘러싼 ‘시차’ | 사전에서의 ‘민족’ | ‘민족’ 개념의 전이적 성립 | 국수주의적 ‘일본’ | ‘일본민족’ 개념의 성립 | ‘일본민족’ 개념의 이중화

해독 7. ‘민족국가’의 윤리학적 성립(1)-와쓰지 데쓰로의 윤리학에 대해: 에식스에서 윤리로
먼저 ‘윤리학’이 있었다 | 국민도덕의 요청 | ‘에식스’에서 ‘윤리’로 | ‘윤리’의 해석학

해독 8. ‘민족국가’의 윤리학적 성립(2)-와쓰지 데쓰로의 윤리학에 대해: 쇼와 일본의 윤리학
‘윤리’ 개념의 재구성 | ‘인간’ 개념의 재구성 | 인간 공동태의 윤리학 | ‘공공성’과 ‘사적 존재’ | 문화공동체로서의 ‘민족’

해독 9. 철학이라는 내셔널리즘-‘종의 논리’, 국가의 존재론
1943년의 철학자 | ‘죽는 것이다’ | 국가를 위한 당위로서의 죽음 | 국가의 존재론 | ‘종’의 논리

해독 10. 동양민족협화와 ‘국체’의 변혁-다치바나 시라키의 「국체론 서설」
다치바나 시라키를 아는가 | 1941년의 다치바나 | 「국체론 서설」의 위상 | ‘국체’ 개혁의 세 법칙 | 동양사회의 재구성

후기 | 옮긴이 후기 | 찾아보기




한국인의 가치 해체에서 재구성으로
9788994079615.jpg


도서명 : 한국인의 가치 해체에서 재구성으로
저자/출판사 : 유종호 , 김용수 , 백문임 , 서영채 , 홍정선, 푸른역사
쪽수 : 271쪽
출판일 : 2012-03-23
ISBN : 9788994079615
정가 : 16000

한국인의 가치관: 재물과 벼슬(유종호)

남자의 도덕, 여자의 윤리(김용수)

누가 죽은 자의 이름으로 용서할(될) 수 있는가(백문임)

괴물시대를 사유하는 서사의 윤리(서영채)

가부장적 권위의 붕괴와 한국 사회의 혼란(홍정선)

가족의 재구성: 가부장제와 근대주의를 넘어서(한기욱)

가치관의 두 층위와 우리 가치관의 현주소(이태수)

종합토론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