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년 없는 노인의 성 또는 존엄한 삶, 존엄한 죽음
로즈
2025-04-28 10:48
2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회 연결
본문
정년 없는 노인의 성

도서명 : 정년 없는 노인의 성
저자/출판사 : 강성자, 북랩
쪽수 : 168쪽
출판일 : 2014-09-24
ISBN : 9791155853627
정가 : 12000
정년 없는 노인의 성-출판 축하의 글_4
제1장 ‘노인의 성’에 대한 인식 변화
1. 고령화 사회_20
2. 통계로 보는 ‘노인의 성’_22
1) 통계로 보는 노인 성생활의 실태_22
2) 여러 설문조사의 시사점_25
3. ‘노인의 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_27
1) 노인의 성에 대한 전통적인 인식_27
2) ‘노인의 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_28
4. 노인 스스로가 찾는 ‘성의 행복’_30
1) 성본능과 노화_30
2) 노인의 성생활이 삶의 질을 높인다_31
3) ‘성의 기쁨’을 스스로 찾으려는 노인들의 움직임_32
4) 꽃할배와 꽃할매의 황혼 로맨스_34
제2장 성을 통해 노년기의 삶을 업그레이드하라
1. 노화, 몸과 정신의 변화_39
1) 노화를 설명하는 이론_39
2) 신체적 노화_40
3) 인지적 노화_41
4) 심리사회적 변화_41
2. 성기능의 변화_43
1) 남성의 변화_43
2) 여성의 변화_46
3. 성관계는 몇 살까지 가능한가?_48
1) 영화 속 칠순 노인의 성행위_48
2) 성생활에는 정년이 없다_49
4. 노인 성생활의 애로사항_51
1) 생물학적 변화_51
2) 건강 상태_51
3) 성에 대한 남녀의 생각 차이_52
5. 부부간의 성 문제, 대화가 답!_54
6. 노년기 성생활의 팁_56
7. 노년기 성관계의 장점_59
제3장 음지에 놓인 ‘노인의 성’
1. 노인 성범죄의 심각성 증가_65
2. 노인의 성이 위험하다_66
1) 성매매_66
2) 성범죄_73
3) 성병_80
4) 불법 의료 시술_82
5) 불법 약물 복용_85
제4장 양지로 나오는 ‘노인의 성’
1. 경기도 노인 성문화 축제_89
2. 부천 은빛세상 페스티벌_91
3. 결혼정보 회사의 이벤트_92
4. 인구보건복지협회의 노인 미팅_93
5. 사회복지관_95
6. 노인 복지센터_97
제5장 성에 대해 이야기할 상담사가 필요하다
1. 노인 성 상담사의 자질과 상담 자세_104
1) 노인에 대한 잘못된 믿음을 점검한다_104
2) 상담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성에 대한 이해를 파악한다_105
3) 상담자 자신의 세계관ㆍ여성차별주의ㆍ가부장주의를 점검한다_106
4) 노인 상담의 기본 모델에 충실히 한다_107
2. 노인 성상담의 실제_108
1) 성기능 장애_108
2) 노인 부부의 성과 상담_116
3) 이성교제와 성 충동_134
제6장 노인 성문제의 해결방안
1. 노인 복지정책의 필요성_141
2. 노인의 성에 대한 정책_142
1) 노인 단독 세대의 증가와 그 해결책_143
2) 노인 성 상담원 양성_146
3) 노인 성교육 프로그램 활성화_149
3. 노인의 성 정책의 미래_153
제7장 예술작품 속의 ‘노인의 성’
1. 영화 ‘죽어도 좋아’_156
2. 소설 ‘내 슬픈 창녀들의 추억’_159
3. 영화 ‘시’_161
4. 영화 ‘은교’_163
5. 영화 ‘호프 스프링스’_165
존엄한 삶, 존엄한 죽음

도서명 : 존엄한 삶, 존엄한 죽음
저자/출판사 : 곽혜원, 새물결플러스
쪽수 : 504쪽
출판일 : 2014-11-30
ISBN : 9788994752921
정가 : 22000
프롤로그
1강 삶과 죽음에 관한 논의를 시작하면서
2강 죽음학?생사학에 대한 기본적 이해
3강 성서의 생명 이해
4강 죽음을 넘어서는 기독교의 희망
5강 한국에 전래된 종교들의 생사관
6강 한국의 종교·문화적 전통과 성서적 전통에 나타난 생사관
7강 좋은 죽음과 아름다운 마무리
8강 죽음의 판정과 뇌사 문제
9강 안락사와 존엄사 문제
10강 호스피스 케어와 고통 완화의료
11강 고독사 및 무연사의 확산과 극복 방안
12강 급증하는 자살과 대처 방안
13강 삶과 죽음에 관한 논의를 마무리하면서: 존엄한 삶, 존엄한 죽음,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에필로그
《부록》 셸리 케이건(S. Kagan)의 죽음 이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참고 문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