쫄지 마 학교 밖으로 또는 풍수화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쫄지 마 학교 밖으로 또는 풍수화

로즈
2025-04-28 10:48 1 0

본문




쫄지 마 학교 밖으로
9788955861976.jpg


도서명 : 쫄지 마 학교 밖으로
저자/출판사 : 송경호, 세창미디어
쪽수 : 304쪽
출판일 : 2014-01-25
ISBN : 9788955861976
정가 : 15000

책머리에·005

1 너굴, 학교 밖으로 나가다
같이 갈래, 말래?·019
일단, 학교 밖으로·022
대안이 된 대안학교·026
열두 살이면 충분해·030
부모는 객석으로·035
내 경험은 아이의 약이 되지 못한다·038
배워야 할 모든 것, 학교 밖에도 있다·041
달라질 건 없어, 쫄지 말자·047
쫄지 않은 몇 가지 이유·050

2 학교에 관한 아홉 가지 질문
대학, 왜 꼭 스무 살에 가야 할까?·057
경쟁 치열한데 규칙은 공정할까?·062
학벌, 살아보니 중요하던가?·065
놀이는 배움보다 하찮은 걸까?·068
바짝 묶어두면 쑥쑥 잘 자랄까?·072
오늘 불행하면 내일 행복할까?·076
모든 걸 걸면 꿈은 이뤄질까?·080
엄친아는 왜 그리 흔한 걸까?·084
대학, 4천만 원 투자할 만한 걸까?·087

3 짧지만 뜨거웠던 대안학교 3년
세상에서 가장 큰 학교·095
대안학교가 지향하는 가치·099
도시형 대안학교의 교육철학·105
아이와 어른이 함께 다니는 학교·110
자격증 필요 없는 대안학교 교사들·115
고비용이라는 한계와 진실·120
대안학교 사람들의 희망과 갈등·126
대안학교를 찾는 부자(?)들·131
대안학교 아이들이 갖춰야 할 세 가지·137
대안학교 나오면 뭐해요?·140
아이들의 꿈, 어른들의 꿈·144
대안학교 찾는 장애아들의 안타까운 사연·148
길이 없다면 함께 만들자·153
대안학교의 몇 가지 풍경·155

4 대안학교를 벗어나 거리로
홈스쿨러에서 로드스쿨러로·171
홈스쿨링에 관한 오해와 현실·174
기대치 낮추고 신뢰도 높이기·179
외로움은 나의 힘·182
친구는 없지만 이모, 삼촌은 많아요·186
로드스쿨러의 험난했던 ·190
청소년수련관 진입기·190
‘애정남’도 못 정하는 너굴의 신분·193
사회적응력이 떨어진다는 미신·198
도시 곳곳에 숨어 있는 배움터들·202
로드스쿨러, 대학 ‘문턱’만 두 번 밟다·206
세계라는 마지막 대안학교를 향해·210
홈스쿨링에 관한 몇 가지 생각·214

5 학교와 거리를 넘어
어른들의 시간, 아이들의 시간·227
세상을 리셋하고 싶은 아이들·230
통제력보다 영향력을·234
아이 네트워크 속에 나는 어디 있나?·240
세상에 누구나 다 알아야 할 지식은 없다·243
규칙과 목표, 적을수록 좋다·246
플랜 B를 세워라·249
오염된 땅에서 건강한 싹이 올라올까?·255
학벌學閥? 학력學歷? 학력學力!·259
교육기본권을 되찾자·263
‘대안학교 길들이기’가 된 정부의 지원·269
‘나’ 아닌 ‘우리’의 너굴을 위해·270

_ 부록 너굴양 이야기·285




풍수화
9791155712702.jpg


도서명 : 풍수화
저자/출판사 : 김용운, 맥스미디어
쪽수 : 572쪽
출판일 : 2014-12-11
ISBN : 9791155712702
정가 : 25000

머리말
추천의 글
CEO가 권하는 명저
한·중·일 비교 연대표

1부 원형이 역사의 판도를 결정한다
1장 백강전투가 동북아에 끼친 영향
2장 역사의 되풀이
3장 원형론과 문명론의 기원
2부 풍토와 언어에 따른 의식구조와 정신분석
1장 풍토와 문화
2장 언어와 원형
3장 한ㆍ일어
4장 한일의 고대 낱말
5장 한ㆍ중ㆍ일의 의식구조
3부 인류 문명의 기원
1장 유목민과 농경민의 상이한 원형
2장 미국과 러시아
4부 한·중·일의 근대화
1장 근대화의 시작
2장 지정학
3장 한·중·일의 국제관
4장 한·중·일의 혁명관
5장 한·중·일의 갈등과 전후 처리
6장 원형과 외교
7장 한·중·일의 바람직한 방향
5부 한반도 평화와 세계
1장 동북아 교향곡
2장 북한의 핵
3장 동북아 평화를 위한 황금의 삼각형
4장 중국은 동북아의 중심이 될 수 없다
5장 한민족의 자기실현

맺음말
부록_《수수께끼의 시》 해석
참고 문헌
찾아보기
사진 출처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