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산동성 불상 또는 로마제국쇠망사. 3
땅끝
2025-05-09 07:09
81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70회 연결
본문
중국 산동성 불상

도서명 : 중국 산동성 불상
저자/출판사 : 양은경, 주류성
쪽수 : 356쪽
출판일 : 2010-12-01
ISBN : 9788962460483
정가 : 22000
머리말 8
Ⅰ. 산동성(山東省)의 현황과 역사 11
Ⅱ. 불교석굴(佛敎石窟)과 마애조상(磨崖造像)19
1. 분포지와 내용 21
(1) 청주지역(靑州地域) 22 | 1) 타산석굴(駝山石窟) 23 / 2) 운문산석굴(雲門山石窟) 37
(2) 제남지역(濟南地域) 46 | 1) 황석애(黃石崖) 마애조상 48 / 2) 용동(龍 洞) 마애조상 57 / 3) 동불욕사(東佛?寺) 마애조상 64 / 4) 천불산(千佛山) 마애조상 67 / 5) 옥함산(玉函山) 마애조상 72 / 6) 영암사(靈巖寺) 방산(方山) 증명감(證明龕) 78 / 7) 신통사(神通寺) 천불애(千佛崖)?80 / 8) 오봉산(五峰山) 연화동(蓮花洞) 90 / 9) 청동산(靑銅山) 대불사(大佛寺) 마애조상 92 / 10) 영취산(靈鷲山) 구탑사(九塔寺) 마애조상 93 / 11) 불혜산(佛慧山) 개원사(開元寺), 대불두(大佛頭) 마애조상 94 / 12) 천지산(天池山) 마애조상 96
(3) 동평지역(東平地域) 97 | 1) 백불산석굴(白佛山石窟) 98 / 2) 이명와(理明窩) 마애조상 105 / 3) 사리산(司里山) 마애조상 113
(4) 기타지역(其他地域) 115 | 1) 임구현(臨?縣) 석문방(石門坊) 마애조상 115 / 2) 곡부시(曲阜市) 구룡산석굴(九龍山石窟) 119 / 3) 기원현(沂源縣) 당산(唐山) 마애조상 120 / 4) 기원현(沂源縣) 형산(荊山) 마애조상 120 / 5) 교남시(膠南市) 대주산석굴(大珠山石窟) 121 / 6) 추성시(鄒城市) 대왕와(大王窩) 마애조상 122 /
7) 신태시(新泰市) 각로정(閣老頂) 마애조상 122
2. 시기별 특징 123
(1)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125 | 1) 마애조상감 구조 125 / 2) 조각상의 배치방식 127 / 3) 조각상의 특징 128
(2) 수대(隋代) 129 | 1) 석굴 구조 129 / 2) 마애조상감 구조 132 / 3) 조각상의 배치방식 133 / 4) 조각상의 특징 135
(3) 당대(唐代) 146 | 1) 석굴 구조 146 / 2) 마애조상감 구조 148 / 3) 조각상의 배치방식 149 / 4) 조각상의 특징 150
(4) 송(宋), 원대(元代) 152
Ⅲ. 금동불상(金銅佛像) 155
1. 출토지와 내용 156
(1) 곡부시(曲阜市) 157
(2) 추성시(鄒城市) 160
(3) 고청현(高靑縣) 161
(4) 제성시(諸城市) 162
(5) 박흥현(博興縣) 166
(6) 태안시(泰安市) 172
(7) 청주시(靑州市) 174
(8) 내주시(萊州市) 176
(9) 산동성박물관(山東省博物館) 소장 금동불상 177
2. 시기별 특징 182
(1) 오호십육국시대(五胡十六國時代) 183
(2) 북위(北魏) 평성시대(平城時代) 183
(3) 북위(北魏) 낙양시대(洛陽時代) 185
(4) 동위대(東魏代) 186
(5) 북제대(北齊代) 187
(6) 수대(隋代) 188
Ⅳ. 석불상(石佛像) 189
1. 출토지와 내용 189
(1) 청주시(靑州市) 191
(2) 제성시(諸城市) 201
(3) 임구현(臨?縣) 208
(4) 광요현(廣饒縣) 217
(5) 혜민현(惠民縣) 221
(6) 무체현(無?縣) 225
(7) 창읍시(昌邑市) 226
(8) 고청현(高靑縣) 227
(9) 박흥현(博興縣) 229
(10) 임치구(臨淄區) 234
(11) 제남시(濟南市)238
(12) 수광시(壽光市) 239
(13) 신태시(新泰市) 242
(14) 용구시(龍口市) 244
(15) 청도시(靑島市) 245
(16) 견성현(?城縣) 246
2. 시기별 특징250
(1) 북위(北魏) 평성시대(平城時代) 252
(2) 북위(北魏) 낙양시대(洛陽時代) 252
(3) 동위대(東魏代) 254
(4) 북제대(北齊代) 255
(5) 수대(隋代) 258
(6) 당대(唐代) 259
(7) 송(宋), 원(元), 명대(明代) 261
Ⅴ. 불교신앙(佛敎信仰)과 조각사(彫刻史) 267
1. 한대(漢代) 267
2. 위(魏), 진(晉),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 동진대(東晉代) 270
3.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273
4. 수대(隋代) 286
5. 당대(唐代) 292
6. 송(宋), 금(金), 원대(元代) 298
Ⅵ. 한국(韓國) 불교조각(佛敎彫刻)과의 관계 301
1. 마애조상(磨崖造像) 302
2. 금동불상(金銅佛像) 309
3. 지리적인 배경이 끼친 두 지역의 영향관계 317
참고문헌 327
찾아보기 345
로마제국쇠망사. 3

도서명 : 로마제국쇠망사. 3
저자/출판사 : Edward Gibbon, 대광서림
쪽수 : 336쪽
출판일 : 2012-08-01
ISBN : 9788938451248
정가 : 13000
일러두기
제17장 콘스탄티노플의 창건 - 콘스탄티누스 황제 및 그 후계자들의 정치조직 - 군율 - 황궁 - 재정
제18장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성격 - 고트전쟁 -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사망 - 세 아들에 의한 제국의 분할 - 페르시아 전쟁 - 콘스탄티누스 2세 황제 및 콘스탄스 황제의 비극적인 최후 - 마그넨티우스의 찬탈 - 내전 - 콘스탄티우스 2세 황제의 승리
제19장 콘스탄티우스 황제의 독재 - 갈루스의 승진과 죽음 - 율리아누스를 둘러싼 위기와 그의 즉의 - 사르마티아 및 페르시아 전쟁 - 갈리아에서의 율리아 누스의 승리
제20장 콘스탄티누스 대제 개종의 동기 · 진전 및 효과 - 기독교 즉 가톨릭교회의 공인과 조직
제21장 이단에 대한 박해 - 도나티우스파의 분리 - 아리우스파논쟁 - 아타나시우스 - 콘스탄티누스 황제와 그 아들 황제들 치하에서 교회와 제국의 혼란 - 이교에의 관용
제22장 율리아누스, 갈리아 군단에 추대되어 황제를 선언 - 그의 진격과 성공 - 콘스탄티우스 황제의 사망 - 율리아누스 황제의 민정
재위황제표
찾아보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