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철학 연구 또는 지상의 별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기철학 연구 또는 지상의 별

땅끝
2025-05-09 07:09 103 0

본문




기철학 연구
9788926829530.jpg


도서명 : 기철학 연구
저자/출판사 : 이현수, 한국학술정보
쪽수 : 453쪽
출판일 : 2012-01-11
ISBN : 9788926829530
정가 : 28000

제1장 기(氣) 개념(槪念)의 탐구

제1절 기철학(氣哲學)에 대하여
1. 기(氣)에 대한 동ㆍ서양의 인식론
2. 철학(哲學: Philosophy)
1) 철학의 개념
2) 철학의 두 부분
3) 데카르트의 철학 원리
4) 현대적 의미
5) 철학의 방법
6) 철학함의 학문
7) 철학의 기본과제
8) 철학의 본질적 탐구(존재론/인식론/가치론)
3. 기철학(氣哲學)
1) 형이상ㆍ형이하(形而上形而下)
2) 기(氣)
3) 이(理)
4) 이기론(理氣論)
5)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
6)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

제2절 기(氣)의 자의적(字意的) 탐구
1. 동양학의 인식론과 한자(漢字)
1) 한자의 역사
2) 한자의 특성과 구조
3) 한자의 발전
4) 한자의 전파
2. 기(氣)의 자의적(字意的) 탐구
1) 기(氣) 문자적 구성
2) 설문해자(說文解字)의 견해
3) 기(旣)와 기(?)

제3절 고전(古典)에 나타난 기(氣)의 탐구
1. 시경(詩經)
2. 논어(論語)
1) 사기(辭氣)
2) 병기(屛氣)
3) 식기(食氣)
4) 혈기(血氣)
3. 맹자(孟子)
4. 순자(荀子)
5. 노자(老子)
6. 장자(莊子)
7. 여씨춘추(呂氏春秋)
8. 회남자(淮南子)

제4절 기(氣)의 역사적(歷史的) 탐구
1. 중국(中國)
1) 선진시대(先秦時代: B.C. 221 이전)
2) 진한시대(秦漢時代: B.C. 221~A.D. 220)
3) 위진(魏晉) 남북조(南北朝)시대(A.D. 220~589)
4) 수당(隨唐)시대(A.D. 589~907)
5) 남ㆍ북 송(宋)시대(A.D. 960~1279)
6) 원명(元明)시대(A.D. 1271~1662)
7) 청(淸)시대(A.D. 1644~1911)
8) 청(淸)의 말기와 근대(1911 이후)
2. 한국 조선조의 기(氣)에 대한 탐구
1) 개관(槪觀)
2) 조선 초기의 기(氣) 개념
3) 조선 중기의 기 개념
4) 조선 후기의 기 개념
5) 소결

제5절 동양 핵심 사상과 기(氣)
1. 성리학(性理學)
1) 개관
2) 주렴계(周濂溪)
3) 장횡거(張橫渠)
4) 정명도(程明道)
5) 정이천(程伊川)
6) 주자(朱子)
2. 도가(道家)
1) 노자(老子)
2) 장자(莊子)
3) 도가(道家)의 수련 양생술(養生術)과 도가사상(道家思想)
3. 불가(佛家)
1) 불가의 인간 구성~오온(五蘊: Panca Khandha)
2) 불가(佛家)의 도가(道家) 등에 대한 비판적 견해
3) ‘氣’의 수용을 통한 인간론의 전개
4. 동양의학(東洋醫學)과 기
1) 황제내경(黃帝內經)
2) 동의보감(東醫寶鑑)

제2장 기학(氣學)의 철학적 탐구

제1절 기(氣)의 개념(槪念)과 존재론(存在論)
1. 태극(太極)
1) 태극(太極)의 공간적(空間的) 발전 과정
2) 태극(太極)의 시간적(時間的) 발전 과정
3) 태극(太極)과 본체론(本體論)
2. 음양(陰陽)
1) 음양의 개념
2) 음양론의 원리(原理)
3) 만물 생성(生成) 원리로서의 음양론
3. 오행(五行)
1) 오행(五行)의 개념(槪念)
2) 오행의 기본적 개념
3) 오행의 삼분오기(三分五紀)와 그의 개념
4) 오행의 질량변화와 상생(相生)과 상극(相剋)과 변극(變極)
5) 오행(五行)의 변극(變極)

제2절 기학(氣學)의 방법과 인식론(認識論)
1. 기론(氣論)의 인식론적(認識論的) 탐구
1) 기론(氣論)의 인식론적(認識論的) 방향
2) 인식(認識) 주체별 기(氣)에 대한 주요 개념
2. 정명학(正名學)
1) 정명학과 관련된 주요 개념
2) 묵자(墨子)의 정명학~명실론(名實論)
3) 이사서의(以辭舒意)와 이설출고(以說出故)
3. 역학(易學)
1) 역(易)의 개념(槪念)
2) 역(易)과 시간(時間)
3) 역경(易經)의 형성
4) 역경의 역사와 유래
5) 삼분법에 따른 역의 정의
6) 역전(易傳)
7) 역학(易學)
4. 성리학(性理學)
1) 성리학의 태극설
2) 성리학(性理學)의 이기(理氣)설
3) 한국의 성리학
4) 조선의 성리학
5. 운기학(運氣學)
1) 오운론(五運論)
2) 육기론(六氣論)
6. 상수학(象數學)
1) 상(象)
2) 수(數)

제3절 기(氣)의 가치(價値)와 가치론(價値論)
1. 중(中)의 원리
1) 우주(宇宙)의 존재(存在) 법칙
2) 관계적(關係的)이라는 필수 요건을 가진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
3) 중용(中庸)
4)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론(中庸論)
2. 성명론(性命論)
1) 성(性)
2) 명(命)
3. 수련론(修煉論)
1) 수련(修鍊, 修練, 修煉)의 의미
2) 수련의 방법론
3) 수련의 요소(要素)
4) 성명쌍수(性命雙修)

제3장 기(氣)와 우주론(宇宙論)

1. 우주(宇宙: Cosmos)의 개념
2. 물리학(物理學)으로 보는 우주와 지구
1) 우주(宇宙)와 우리 은하(銀河)
2) 우주는 물질의 근원
3) 우주 속의 지구(地球)
3. 동양(東洋)의 우주론(宇宙論)
1) 우주의 생성과 과정
2) 우주의 본체운동
4. 서양(西洋)의 우주론(宇宙論)
1) 우주론의 기본 원리
2) 우주의 역사
3) 대통일 이론(Grand Unified Theory)
4) 우주의 공간 구조

제4장 기(氣)와 인간(人間)

1. 천인상응론(天人相應論)
2. 기론적(氣論的) 생체생리(生體生理)론
1) 정기신론(精氣神論)
2) 경락론(經絡論)
3) 장부론(臟腑論)

제5장 기(氣)와 과학(科學)

1. 고전물리학(古典物理學: Classical Physics)
1) 고전역학
2) 뉴턴의 운동 법칙
2. 상대성이론(相對性理論: Theory of Relativity)
1) 특수상대성 이론(Special Theory of Relativity)
2) 일반상대성이론(General Theory of Relativity)
3)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과 여러 물리적 현상
3. 양자론(量子論: Quantum Theory)
1) 양자가설(量子假說: Quantum Hypothesis)
2) 광양자설(光量子說: Light Quantum Theory)
3) 고전물리학(古典物理學: Classical Physics)
4) 원자구조(原子構造: Atomic Structure)
5) 장의 양자론(場-量子論: Quantum Theory of Fields)
6) 양자론적 전자론
4. 초끈이론(Superstring Theory: 超絃理論)
1) 초끈이론이란 무엇인가?
2) 중력을 양자(量子)화 하라(Quantum Gravity: Unstable Theory)
3) 모든 것은 끈이다 (Everything is just string!)
4) 초끈이론의 약점
5) 최근 끈 이론의 동향
6) 새로운 가능성
7) 통일장 이론(Unified Field Theory)과 초끈 이론
5. 카오스(Chaos) 이론

참고문헌
색인




지상의 별
9788993047295.jpg


도서명 : 지상의 별
저자/출판사 : 김상렬, 북치는마을
쪽수 : 323쪽
출판일 : 2012-08-10
ISBN : 9788993047295
정가 : 10900

책을 내면서

밤으로 가는 길
느린 빠르기로, 노래하듯이
길 끝에서의 약속
폭풍의 언덕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