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공화국 생물법정. 3: 곤충 또는 김정일 시대 북한의 과학기술정책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과학공화국 생물법정. 3: 곤충 또는 김정일 시대 북한의 과학기술정책

땅끝
2025-05-09 07:09 76 0

본문




과학공화국 생물법정. 3: 곤충
9788954413886.jpg


도서명 : 과학공화국 생물법정. 3: 곤충
저자/출판사 : 정완상, 자음과모음
쪽수 : 266쪽
출판일 : 2011-11-28
ISBN : 9788954413886
정가 : 14500

이 책을 읽기 전에 생활 속에서 배우는 기상천외한 과학수업
프롤로그 생물법정의 탄생

제1장 해로운 벌레에 관한 사건
생물법정 1| 빛에 반응하는 벌레 - 바퀴벌레가 귀에 들어갔어요
생물법정 2| 흰개미의 진화적 기원 - 흰개미는 개미가 아니다
생물법정 3| 유인 물질 페로몬 - 흰개미를 불러들이는 낙서
생물법정 4| 파리와 전자파 - 전자레인지 속에 든 파리
생물법정 5| 모기의 대상 찾기 - 바다 여행과 아이스크림 가게
생물법정 6| 파리 다리의 능력 - 헤어드라이어로 겨누면 파리가 꼼짝 못한다고?
과학성적 끌어올리기

제2장 벌, 나비, 거미에 관한 사건
생물법정 7| 거미의 천적, 대모벌 - 대모벌 가까이에 거미를 두지 마!
생물법정 8| 말벌과 꿀벌 - 꿀벌이 죽은 것은 말벌 때문이야
생물법정 9| 곤충의 조건 - 거미가 곤충이라고?
생물법정 10| 거미의 방적돌기 - 거미줄에서 벗어난 거미
생물법정 11| 나비 날개의 인분 - 치킨 집 사장의 독특한 취미
생물법정 12| 나방의 광나침반 행동 - 휴양 단지를 점령한 나방
과학성적 끌어올리기

제3장 숲속의 벌레에 관한 사건
생물법정 13| 사마귀의 교미 - 외로운 곤충들의 짝짓기
생물법정 14| 귀뚜라미의 자절 - 다리를 먹어 버린 귀뚜라미
생물법정 15| 하늘소의 서식지 - 오래 살아 장수하늘소, 힘이 세서 장수하늘소
생물법정 16| 반딧불이의 발광 기관 - 네온 찬란한 반딧불이
과학성적 끌어올리기

제4장 여러 가지 벌레에 관한 사건
생물법정 17| 누에와 고치실 - 컬러 실크의 비밀
생물법정 18| 점액을 분비하는 달팽이 - 칼날 위를 기어가는 달팽이
생물법정 19| 지렁이와 삼투압 - 징그럽지만 괜찮아
생물법정 20| 하루살이의 수명 - 하루살이의 나이는?
생물법정 21| 소금쟁이의 방수성 다리 - 소금쟁이 달리기 대회
생물법정 22| 폭탄먼지벌레의 냄새 주머니 - 벌레가 뀐 방귀에 손이 데었어
생물법정 23| 연지벌레와 붉은색 색소 - 우유에 탄 벌레 가루
생물법정 24| 거품벌레 약충의 분비물 - 깔끔한 청소부와 소나무
생물법정 25| 의태 생물 - 저절로 움직이는 나뭇가지
생물법정 26| 효모의 경제성 - 효모의 성숙, 빵의 탄생
생물법정 27| 쇠똥구리의 식성 - 지구를 구하는 쇠똥구리
생물법정 28| 송장벌레의 생태 - 청소부 송장벌레
과학성적 끌어올리기

에필로그 생물과 친해지세요




김정일 시대 북한의 과학기술정책
9788926812457.jpg


도서명 : 김정일 시대 북한의 과학기술정책
저자/출판사 : 변상정, 한국학술정보
쪽수 : 524쪽
출판일 : 2010-07-26
ISBN : 9788926812457
정가 : 29000

︳책머리에 ︳

제1부 들어가는 말
1. 연구목적
2.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제2부 선행연구와 이론적 분석 틀
1. 선행연구 검토
(1) 주체과학기술의 형성 과정과 동인 연구
(2) 김정일의 과학기술중시노선과 과학기술중시정책 연구
2. 국가발전과 과학기술의 역할
(1) 경제발전과 과학기술
(2) 국방력 강화와 과학기술
3. 사회주의 국가의 과학기술혁명론
(1) 마르크스의 사회적 과정으로서의 과학
(2) 소련의 과학기술혁명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4. 북한의 기술혁명론과 연구 분석 틀
(1) 주체의 경제이론
(2) 주체의 기술혁명론
(3) 사회주의 경제건설방식과 주체과학의 한계
(4) 연구 분석 틀

제3부 유훈통치기의 체제생존 노력과 주체과학 강화: 1994∼1997
1. 대외환경
(1) 북ㆍ미, 북ㆍ일 간 관계 개선과 남북관계 단절
(2) 북ㆍ중, 북ㆍ러 간 우호관계 회복
2. 통치이념ㆍ리더십
(1) 주체사상과 주체과학의 한계
(2) 선군정치와 선군사상의 태동
3. 3대 제일주의의 ‘혁명적 경제전략’
(1) 1980년대 중반∼1990년대의 내포적 성장체제 추진과주체과학의 퇴조
(2) ‘혁명적 경제전략(1994∼1996)’과 주체과학의 강화
4. 과학기술정책의 특성
(1) 경제-국방 병진노선과 과학기술 연구개발
(2) 전자, 자동화공학 발전 역점: 내포적 성장체제 추진
(3) 첨단 군사기술ㆍ컴퓨터기술 개발과 전문인력 양성
(4) 대외 과학기술 교류협력
(5) 과학기술적 성과와 신년공동사설(1995∼1997)의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제4부 김정일 체제의 실리사회주의와 선진과학 추구: 1998∼2002
1. 대외환경
(1) 북ㆍ미, 북ㆍ일 간 관계 급변과 남북관계 급진전
(2) 북ㆍ중 관계 복원, 북ㆍ러 관계 정상화 및 대서방 전방위 외교
2. 통치이념ㆍ리더십
(1) 수령절대주의 강화와 강성대국 건설론
(2) 김정일의 통치이념ㆍ통치방식: 선군사상과 선군정치
(3) 선군정치와 과학기술중시노선의 정합성
3. 김정일 정권의 ‘혁명적 경제정책’
(1) 김정일 정권의 ‘혁명적 경제정책’: 과학기술과 실리 중시
(2) 김정일 정권의 ‘선택과 집중’의 생존전략
(3) 신년공동사설(1998∼2002)의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4. 과학기술정책의 특성
(1) 과학기술 관리시스템과 과학기술 연구과제 채택과정
(2) 과학기술발전 5개년계획(1998∼2002)의 추진
(3) 선군시대 ‘선택과 집중’의 생존전략: IT산업 중점 육성
(4) 과학기술정책의 성과

제5부 김정일 체제안보와 과학기술의 불균형 발전 심화: 2003∼2009
1. 대외환경
(1) 북ㆍ미, 북ㆍ일 간 관계 악화와 남북관계 변화
(2) 북ㆍ중, 북ㆍ러 간 관계 긴밀화
2. 통치이념ㆍ리더십
(1) 선군사상과 선군정치의 강화
(2) 핵전략의 본격 추진: 2012년 강성대국 건설의 핵심
3. 선군시대 경제건설노선: 국방공업 우선발전
(1) 국방공업 우선발전 전략
(2) 북한 체제의 전근대성 지속과 대량살상무기(WMD) 생존전략
(3) 신년공동사설(2003∼2009)의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4. 과학기술정책의 특성
(1) 과학기술발전 전망계획(2003∼2012)의 추진
(2) 첨단 국방과학기술 개발과 군수산업 육성 강화
(3) 과학기술정책의 결과: 과학기술의 불균형적(기형적) 발전 심화

제6부 나가는 말

부록
참고문헌
색인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