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국토를 꿈꾼 그들 또는 한국사회 갈등 해소를 위하여
땅끝
2025-05-09 07:09
90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20회 연결
본문
불국토를 꿈꾼 그들

도서명 : 불국토를 꿈꾼 그들
저자/출판사 : 정민, 문학의문학
쪽수 : 376쪽
출판일 : 2012-08-14
ISBN : 9788943103965
정가 : 18000
머리말
도깨비 대장 비형랑
진지왕과 도화녀
무슨 일이 있었는가?
도깨비 무리를 부리는 비형랑
여우로 변한 길달
비형랑과 용춘
귀신을 물리치는 주술사들
삼기산의 여우 귀신
퇴마사 밀본의 주술
교룡이 혜통에게 항복한 이야기
국난을 막아 낸 명랑의 문두루 비법
서동과 선화, 미륵 세상을 꿈꾸다
사리 봉안기, 미륵사 창건의 블랙박스
《일본서기》의 의자왕 정변 기사의 행간
지룡과 과부가 교통하여 낳은 아들 서동
서동과 선화, 결연에서 즉위까지
미륵사 창건 설화의 행간과 미륵 하생 신앙
전륜성왕을 꿈꾼 무왕, 진평왕을 벤치마킹하다
불국토의 중심축, 황룡사 9층탑
가섭불의 연좌석과 전불 시대 가람터
알지 못할 장륙존상 기사
황룡사 9층탑의 위용
황룡사 대종 조성과 황룡사의 의미
황룡사, 시로 남은 기억
산속의 두 수행자
광덕과 엄장, 같은 꿈 다른 길
살아서 부처가 된 두 사람, 노힐부득과 달달박박
나무들이 고개 숙여, 관기와 도성
점찰 신앙, 뼈를 바수어 서원을 세우다
벙어리 소년 사복, 입을 열다
비구니 지혜와 원광의 점찰 법회
진표와 점찰 계법 수행
진표의 189간자 점찰법과 미륵보살
점찰 신앙의 확산과 후계자들
거리로 뛰쳐나온 승려들
원효는 밥이다
원효와 대안
불지의‘새털’도령
원효의 광태
초지보살 새벽 스님
새벽 스님의 각설이 춤
후대의 시 속에 남은 원효
오대산의 오만진신
문수보살이 내린 범게
갈반지의 미친 거사
오대산의 두 태자
오만진신의 현신과 장천굴 굴신의 회개
오대산에 활짝 핀 화엄 만다라
깊은 산속 독경 소리
까마귀가 알려 준 소식
구름 타는 낭지 스님
시들지 않는 연꽃
썩지 않는 혀
대나무에 대한 기억
만파식적 이야기
백률사의 부례랑
죽지랑 개망신 사건
모량부와 사량부, 해묵은 악연
미추왕의 댓잎 군사
당나귀 귀 임금님의 속사정
헌안왕과의 문답
범교사의 충고
뱀이 몰려들고, 혀가 배를 덮다
당나귀 귀로 변하다
화랑들의 후원
남는 생각
한국사회 갈등 해소를 위하여

도서명 : 한국사회 갈등 해소를 위하여
저자/출판사 : 임현진, 백산서당
쪽수 : 381쪽
출판일 : 2010-03-10
ISBN : 9788973274482
정가 : 14000
첫째 마당 - 중도를 다시 읽어 본다
이대로 총선을 치를 것인가?
열린우리당의 과제와 진로
참여정부, 귀를 열어라
국방부 문민화의 선결조건
역사를 조감하는 안목을 갖자
개헌논의, 어떻게 할 것인가?
연정론, 무엇을 남겼나?
성공한 전직 대통령을 보고 싶다
우리에게 중도는 무엇인가?
열린우리당, 정체성을 가져라
룰라와 차베스, 그리고 노무현
프랑스 대선 우파 승리에 대한 오해와 이해
한국 민주주의, 어디에 와 있는가?
대선 이후가 걱정이다
시계추의 정치, 가능성을 찾아서
새로운 정책이 보이지 않는다
한국 민주주의, 위기를 넘어
난장판, 국회개혁의 전기로
여야, 갈등적 협력자가 되라
한국 민주주의, 어디까지 왔나?
MB식 중도, 콘텐츠가 문제
진보정치에 주는 죽산의 교훈
해방 이후 한국정치, 윤회인가 진화인가?
무엇을 위한 개헌인가?
둘째 마당 - 세계 속의 한국을 알아 본다
'제국'은 잘못 가고 있다
우리는 시간을 아껴야 한다
다시 가 본 몽골, 전략적 동맹이 필요하다
미국은 한국이 아니다
남북한을 보는 일본의 시각
세계 은행의 정치화가 우려된다
민족주의 바람에 흔들리는 아시아 지역공동체
독도 사랑에 가려지 한일관계의 진상
APEC, 한국의 리더십
유럽은 하나인가?
한·중·일, 상생은 가능한가?
중국 민족주의의 안과 밖
페일린 효과는 지속될 것인가?
오바마, 미국의 꿈을 살릴 것인가?
한·중·일, 이제 시작이다
셋째 마당 - 한국사회의 문제를 풀어본다
방사능폐기물 서울대 유치론의 허실
좌우는 색깔이 아니라 방법이다
역사의 진실과 화해의 역사
사회해체가 일어나고 있다
강중국의 발전모델을 넘어
한국사회 갈등과 해소의 사회학
생명복제, 희망인가 재앙인가?
LA폭동 이후 코리아타운의 현실
변화하는 한국의 기업: 사회적 책임의 과제
그 해 겨울은 추웠다
「사상계」의 복간을 기다리며
사회적 양극화, 어떻게 풀 것인가?
무심한 한국, 입양아의 서러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어디까지인가?
월드컵 열풍, 승화가 필요하다
우리가 자초한 물난리
인구감소와 불란서의 교훈
NGOs, 사회적 책임의 과제
진보를 다시 얽어 본다
지구를 살리기 위한 행동규범
자유 속에서 속박을 느낀 아웃사이더
세계화의 대안을 찾아서
인터넷시대의 민주주의
개방과 참여의 담론구조를 위하여
전환기 시민운동의 과제
시대의 등불을 기대한다
넷째 마당 - 한국적 발전모델을 찾아 본다
한국은 중남미화의 길을 가고 있나?
얼굴 없는 외국자본, '약'인가 '독'인가?
우리 나름의 발전 모델은 없는가?
한국, 미래를 준비하자
주주 자본주의가 최선인가?
아시아 자본주의는 가능한가?
중국의 자본주의화, 기회인가 위협인가?
세계화, 대안은 있는가?
21세기 한국의 미래를 묻는다
다가오는 경인년, 역사의 매듭을 풀자
다섯째 마당 - 사회과학의 역할을 물어 본다
서울대, 어떻게 바꿔야 하나?
우리는 고구려사 왜곡으로부터 자유로운가?
대학 구조조정, 다시 짚어 보자
누구를 위한 식민지 근대화론인가?
세계 한국학을 살리는 길
젊은이는 우리의 미래
한국의 미래, 인문학이 힘이다
한국학의 세계화 전략
지식인의 과제는 남아 있다
한국 대학의 미래
사회과학은 위기를 먹고 자란다
사회과학도가 보이지 않는다
고등교육의 개선이 중요하다
여섯째 마당 - 북한은 변화가 필요하다
분단의 벽을 넘은 평양어린이병원
북한은 변하고 있나?
북한의 경제개혁 어디까지 왔나? -변화 3년, 모습과 전망-
중국, 북한, 그리고 한국의 선택
결국 북한이 하기 나름이다
남북관계의 외연으로서 북미관계
북한, 후계체제를 향한 준비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