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밥 절대로 먹지마라 또는 현장에서 바로 통하는 노인간호기술
땅끝
2025-05-09 07:09
95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97회 연결
본문
아침밥 절대로 먹지마라

도서명 : 아침밥 절대로 먹지마라
저자/출판사 : 마쓰이 지로, 펜하우스
쪽수 : 224쪽
출판일 : 2012-06-30
ISBN : 9788994310039
정가 : 12000
들어가며 5
1장 : 왜 이렇게 아침에 일어나면 피곤한가?
▶ 눈을 뜨면 이미 피곤해져 있는 당신에게
▶ 나의 체험담 - 매일 피곤에 지쳐 있던 날들
▶ 아침을 굶으니 피곤함을 모르게 되었다!
▶ 피곤함의 원인은 식사에 있다
2장: 아침을 굶으면 정말 건강에 해로울까?
▶ ‘하루 세 끼’라는 생각을 버리십시오
▶ 아침을 먹어야 성적이 좋아진다?
▶ 니시건강법(西式健康法)과 고다 미쓰오(甲田光雄) 선생님
▶ ‘아침 식사 찬성파’의 주장을 무턱대고 받아들일 수 없다
▶ ‘아침 식사 찬성파’ vs ‘아침 식사 반대파’ 논쟁은 진행 중
▶ 아침을 굶는 것에 승리의 판정을 내리는 이유
3장: 아침을 굶으면 건강해진다
▶ 18시간의 공복이 필요했다
▶ 식사는 ‘영양’과 동시에 ‘피곤함’을 가져다준다
▶ 식욕이 없으면 먹지 않아도 된다
▶ 배가 고픈 것은 지나치게 먹기 때문
▶ 아침을 굶어도 뇌는 움직인다
▶ 잘못된 상식이 몸을 피곤하게 만든다
▶ 오전은 배설의 시간이라고 생각한다
▶ 숙변이 몸에 나쁜 이유
▶ 아침을 굶으면 숙변이 나온다
▶ 하루 두 끼 식사로 뚱뚱한 사람은 날씬해지고, 마른 사람은 살이 찐다
▶ 하루 두 끼 식사로 스태미나와 면역력이 생긴다
▶ 하루 두 끼 식사로 수명도 늘어난다
4장: 바르게 아침을 굶는 방법
▶ 무턱대고 아침을 굶는 것은 아닙니다
▶ 오전에는 수분만 섭취
▶ 점심, 저녁은 배부르지 않게
▶ 간식과 야식을 끊는다
▶ 그래도 간식이나 야식을 먹고 싶다면
▶ 저녁을 굶는 하루 두 끼는 안 되는가?
▶ 여러분이 물을 마시는 방법, 괜찮습니까?
▶ 아침을 굶어 어질어질하다면
▶ 75점이라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 질 좋은 식품을 섭취한다
▶ 어린아이도 하루 두 끼 식사를 실천할 수 있을까?
▶ 하루 두 끼 식사가 안 좋은 사람은?
▶ 임산부, 수유 중인 분이 주의할 점
▶ 식사는 이 정도까지 줄여도 괜찮다
“하루 두 끼 건강법, 바르게 실천하세요!”
5장: 더 건강해지기 위해
▶ 백미를 현미로 바꾼다
▶ 고기를 먹지 않아도 살아갈 수 있다
▶ 계란도 되도록 줄이는 것이 좋다
▶ 생선은 작은 생선을 먹는다
▶ 우유는 칼슘을 뺏는다
▶ 기름이 얼마나 무서운지 알고 계십니까?
▶ 설탕은 몸도 마음도 좀먹는다
▶ 마셔도 좋은 물과 나쁜 물
▶ 술은 마셔도 되나요?
6장: 오늘이 당신의 건강기념일
▶ 모든 사람이 과식을 하는 시대에 살아가는 방법
▶ 자신의 운명은 자신의 행동에 따라 달라진다
▶ 건강해지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건강해지기 위해서가 아니다
마치며
부록
하루 두 끼 식사의 매력
추천 간단식
하루 두 끼 ? 일주일 식단
현장에서 바로 통하는 노인간호기술

도서명 : 현장에서 바로 통하는 노인간호기술
저자/출판사 : 야마다 리츠코 , 이데 사토시 , 사사키 히데타다 ,, 한언
쪽수 : 567쪽
출판일 : 2010-11-05
ISBN : 9788955965926
정가 : 30000
들어가며
노인 간호 전개의 사고방식
이 책의 구성과 사용방법
제1편 생활행동 정보의 주안점
1. 활동
2. 휴식
3. 식사
4. 배설
5. 옷차림
6. 의사소통
제2편 병태로 본 간호 과정의 전개
제1부 질환별 간호 과정의 전개
<뇌신경계 질환>
7. 치매
8. 뇌졸중(뇌경색, 뇌출혈, 지주막하 출혈)
9. 파킨슨병
10. 척수소뇌변성증
<운동기계 질환>
11. 대퇴골 경부 / 전자부 골절
12. 퇴행성 슬관절염
<호흡기계 질환>
13. 폐렴(흡인성 폐렴)
14.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순환기계 질환>
15. 심부전(만성 울혈성 심부전)
<대사질환>
16. 당뇨병
<신 ㆍ 비뇨기계 질환>
17. 전립선비대증
18. 신경인성 방광
<피부질환>
19. 노인성 피부소양증(노인성 건조증)
20. 욕창
21. 백선
<안과 질환>
22. 백내장
<정신질환>
23. 우울 상태(우울증)
<감염증>
24.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25. 옴
26. 요로감염증
제2부 증상ㆍ기능장애별 간호 과정의 전개
27. 섭식ㆍ연하장애
28. 탈수
29. 부종
30. 배뇨장애(요실금, 배뇨곤란, 빈뇨)
31. 배변장애(변비, 설사)
32. 수면장애
33. 낙상ㆍ골절
34. 언어장애(실어, 구음장애)
35. 감각ㆍ지각장애
36. 섬망
37. 혈압조절 장애(저혈압 / 고혈압)
38. 폐용증후군
색인 감염증> 정신질환> 안과> 피부질환> 신> 대사질환> 순환기계> 호흡기계> 운동기계> 뇌신경계>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