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크로드 시안 티베트 베이징에서 참나를 만나는 길 또는 진로와 전공
땅끝
2025-05-09 07:09
93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77회 연결
본문
실크로드 시안 티베트 베이징에서 참나를 만나는 길

도서명 : 실크로드 시안 티베트 베이징에서 참나를 만나는 길
저자/출판사 : 김지화 , 김기현, 한솜미디어
쪽수 : 320쪽
출판일 : 2010-10-07
ISBN : 9788959592456
정가 : 13000
길을 찾아 _ 4
chapter 1.
실크로드의 바람, 사막, 초원 / 13
톈산 천지는 초겨울 _ 17
따반청의 풍경구 _ 25
소금 호수 _ 28
강풍의 30리 풍구 _ 30
투루판 _ 38
카레스 수로 _ 42
교하고성 _ 44
화염산, 천불동 _ 50
사막이 아름다운 것은 샘이 있기 때문 _ 55
하미 _ 64
빠리쿤 초원 _ 67
쇄양과 하미과 _ 75
사막에서 자연에 감사드리고, 수국생풍 _ 77
돈황, 막고굴 _ 82
명사산은 울음도 돈이 되었다 _ 85
양관 _ 92
서진화상전묘 _ 100
우루무치, 홍산공원 _ 104
chapter 2.
남동의 봄바람 / 113
남해 송정해수욕장 _ 116
가야산, 매화산 _ 121
와가송무 _ 123
운석산방의 밤과 아침 _ 124
하이, 베이징! _ 138
chapter 3.
시안과 티베트, 흙과 바람의 문화 / 163
시안 도착 _ 166
이상한 체온계 _ 167
진시왕의 병마용갱과 무덤 _ 172
음양의 화청지 _ 178
시원한 족료 _ 184
예술의 비림 _ 186
티베트로 들어가는 문 _ 192
라사시는 랍비와 보살의 도시 _ 194
마시고의 시작 _ 195
포탈라궁의 양과 음 _ 209
드레풍스 _ 215
조캉 사원 _ 221
진짜 고산 시작 _ 230
얌드록쵸 호수 _ 232
넨칭캉산에서 자연에 감사드리고 _ 237
장체, 펠코르체데 _ 247
시가체 _ 249
타쓰룬포 사원 _ 252
담슝으로 가는 길은 고산병의 길 _ 255
세상에서 가장 넓고 높은 감사의 제단 _ 257
고소에서의 지옥과 극락, 괴로움과 즐거움, 사랑과 미움 _ 266
하늘 아래 첫 집, 유목민의 집 _ 270
담슝, 백마호텔의 혼미 _ 274
남쵸 호수의 일출 _ 278
시안에서 태백산으로 _ 290
약산, 태백산 _ 294
시안의 OTC _ 311
고산병은 오래갔 _ 317
진로와 전공

도서명 : 진로와 전공
저자/출판사 : 안성재, 한솜미디어
쪽수 : 328쪽
출판일 : 2012-05-05
ISBN : 9788959593118
정가 : 17000
추천사 / 4
머리말 / 6
제1장 천간론
1. 천간론 _ 18
1) 오행론 / 20
2) 오행이 많을 때 / 21
3) 오행이 약할 때 / 26
4) 오행과 육신 / 29
5) 오행과 계절 / 30
2. 십간의 작용 _ 34
1) 木이 원국에 많을 때 / 34
2) 火가 원국에 많을 때 / 35
3) 土가 원국에 많을 때 / 36
4) 金이 원국에 많을 때 / 37
5) 水가 원국에 많을 때 / 38
3. 지지론 _ 41
1) 계절론 / 41
2) 계절의 심리 구성 / 43
3) 지지 해설 / 47
제2장 십성론
1. 십성의 심리 작용 _ 54
1) 비견성 / 54
2) 겁재성 / 55
3) 식신성 / 55
4) 상관성 / 56
5) 편재성 / 56
6) 정재성 / 57
7) 편관성 / 58
8) 정관성 / 58
9) 편인성 / 59
10) 정인성 / 60
2. 월지의 특성 _ 61
1) 일간과 월지, 일지 관계 / 65
2) 십성론 / 65
3) 고법 십성론 / 66
제3장 격국론
1. 격국의 종류 _ 74
2. 격국의 중요성 _ 76
1) 격국 판단 우선순위 / 76
2) 격국, 용신의 활용성 / 77
3) 고전 문헌편 / 79
4) 격국 선정 방법 / 85
3. 용신 이론 _ 91
1) 용신의 종류 / 91
2) 용신의 의미 / 93
3) 용신의 자격 요건 / 95
4) 용신 연구 / 96
제4장 12운성론
1. 12운성 활용 _ 100
2. 에너지 판단법 _ 105
1) 12운성의 순서 / 105
2) 천간의 주성 / 110
제5장 천중살
1. 공망(천중살) 이론 _ 114
2. 세운 천중살 해설 _ 116
제6장 대운론
1. 대운론 _ 132
1) 대운 천간론 / 132
2) 대운 작용력 / 133
2. 12운성과 대운 지지론 _ 142
1) 대운에서 살펴야 할 내용 / 157
2) 대운의 에너지 / 158
3. 세운론 _ 162
1) 년운에 나타난 운세 / 163
제7장 격국 용신과 진학 분석
1. 설문지 참여 분포도 _ 171
2. 설문 미 참여자 분석 _ 172
3. 대학 진학 통계율 _ 173
4. 수시, 정시 진학률 _ 174
5. 일간, 용신과 진학 현황 _ 176
6. 진학자 계열 변동 _ 180
7. 학교, 학과의 중요성 _ 183
8. 격국 선정 기준 _ 185
9. 일간별 격국 분류 _ 187
10. 격국과 진학 계열 _ 189
11. 격국과 진학 계열에 대한 크러스컬-월리스 분석 _ 193
12. 격국과 학과 _ 195
1) 인문 계열 진학 / 195
2) 사회 계열 진학 / 196
3) 교육 계열 진학 / 198
4) 자연 계열 진학 / 199
5) 공학 계열 진학 / 201
6) 의학 계열 진학 / 203
7) 미술 계열 진학 / 204
8) 음악 계열 진학 / 205
9) 체육 계열 진학 / 206
13. 용신 선정 _ 207
14. 용신 오행에 의한 계열 분포 _ 209
15. 용·희신과 기·구신 진학 현황 _ 211
16. 미 진학자 용신 분석 _ 212
17. 일간과 대학명 _ 217
1) 남자인 경우 / 217
2) 여자인 경우 / 219
18. 용신과 대학명 _ 221
1) 남자인 경우 / 222
2) 여자인 경우 / 222
19. 용신과 대학명 [남] _ 225
20. 용신과 대학명 [여] _ 228
21. 성적 기준 진학 _ 231
22. 일간과 대운의 진학 관계 _ 233
23. 대학 진학 관계 _ 237
1) 비겁격과 전공 선택 / 238
2) 식상격과 전공 선택 / 239
3) 재성격과 전공 선택 / 240
4) 관성격과 전공 선택 / 241
5) 인성격과 전공 선택 / 242
제8장 진학 정보
1. 진학 안내 자료 _ 244
1) 용신 오행별 대학 정보 / 245
2. 십간과 대학명 _ 248
1) 甲일간과 대학명 / 249
2) 乙일간과 대학명 / 249
3) 丙일간과 대학명 / 250
4) 丁일간과 대학명 / 250
5) 戊일간과 대학명 / 251
6) 己일간과 대학명 / 251
7) 庚일간과 대학명 / 252
8) 辛일간과 대학명 / 252
9) 壬일간과 대학명 / 253
10) 癸일간과 대학명 / 253
3. 십성 용신과 대학명 [남] _ 255
4. 십성 용신과 대학명 [여] _ 257
5. 용신과 세운의 진학 관계 [천간 金] _ 259
1) 木일간 용신과 진학 / 259
2) 火일간 용신과 진학 / 260
3) 土일간 용신과 진학 / 261
4) 金일간 용신과 진학 / 262
5) 水일간 용신과 진학 / 262
6. 대학 진학 통계 분석 비교 _ 264
1) 세운이 길성운일 때 / 264
2) 일간과 대운의 진학 관계 / 265
3) 용·희신과 기·구신 진학 현황 / 267
4) 미 진학자 용신 오행 분석 / 268
7. 격국(본기)과 대학명 _ 270
1) 십정격과 대학명 / 271
2) 십성을 기준하여 진학한 대학명과의 관계 / 272
8. 격국과 계열, 학과와의 밀접성 _ 276
1) 격국을 통한 계열 안내 / 276
2) 격국을 통한 학과 안내 / 278
제9장 전국 대학 계열 및 학과
1. 전국 대학 계열 및 학과 _ 284
1) 4년제 대학 계열 / 284
2) 전문대학 계열 / 287
2. 전국 대학 학교 안내 _ 290
1) 4년제 대학 안내 / 290
2) 전문대학 안내 / 294
제10장 효율적 학습 시간대
1. 학습 시간대 _ 298
1) 설문조사 실시 방법 / 298
2) 설문응답 결과 / 299
제11장 실전 상담술
1. 인생 상담의 과제 _ 304
2. 진학 상담법 _ 306
1) 일간과 세운 관계 / 306
2) 용신과 진학 관계 / 307
3) 대운과 세운 관계 / 312
3. 진학과 에너지 관계 _ 314
1) 대학 진학에 유리한 경우 / 318
2) 수시로 대학을 진학한 경우 / 321
3) 정시로 대학을 진학한 경우 / 324
참고문헌·논문 / 328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