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법무 관리의 이론과 실무 또는 한국 고대의 동아시아 교역사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기업법무 관리의 이론과 실무 또는 한국 고대의 동아시아 교역사

땅끝
2025-05-09 07:09 83 0

본문




기업법무 관리의 이론과 실무
9788974427115.jpg


도서명 : 기업법무 관리의 이론과 실무
저자/출판사 : 송순근, 매일경제신문사
쪽수 : 900쪽
출판일 : 2010-12-24
ISBN : 9788974427115
정가 : 50000

제1편 채권계약관리의 이론과 실무
제1장 채권계약관리 일반
제2장 계약과 계약관리

제2편 여신관리의 이론과 실무
제1장 개관
제2장 여신관리 제도

제3편 신용조사의 이론과 실제
제1장 채권관리와 신용조사
제2장 각종신용조사 절차

제4편 금융과 대부업
제1장 대부업과 사금융
제2장 대부업등록 절차
제3장 대부업의 등록 및 금융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제4장 대부업법과 제도권 제2금융권(저축은행,할부금융사 등)의 동향

제5편 채권담보관리
제1장 담보제도
제2장 보증제도
제3장 소멸시효제도

제6편 어음.수표의 이론과 실무

제7편 부실채권관리와 채권회수
제1장 부실채권관리
제2장 임의회수기법
제3장 채권양도
제4장 채무인수

제8편 거래처부도위험의 사전적 탐지와 대응방법
제1장 부도(도산)일반
제2장 채무자 등의 임의변제
제3장 대손처리 실무

제9편 민사소송의 이론과 실무
제1장 민사소송의 개관
제2장 소송의 제기

제10편 민사집행법의 이해
제1장 강제집행의 실효성확보제도
제2장 집행보전처분
제3장 민사집행법의 일반적 이해
제4장 강제집행과 집행권원
제5장 부동산강제경매
제6장 유체동산강제집행
제7장 채권에 대한 강제집행

부록




한국 고대의 동아시아 교역사
9788962460681.jpg


도서명 : 한국 고대의 동아시아 교역사
저자/출판사 : 박남수, 주류성
쪽수 : 461쪽
출판일 : 2011-10-25
ISBN : 9788962460681
정가 : 25000

Ⅰ. 삼국의 교류와 동아시아

삼국의 경제와 교역활동

1. 머리말 3
2. 삼국의 경제 발전 추이 4
3. 삼국의 전쟁과 교역 16
1) 삼국의 전쟁과 경제적 배경 16
2) 삼국의 외교와 교역 30
4. 맺음말 40

백제 미륵사지 서탑 출토 금정의 성격과 동아시아 교류상의 의의(상)
-익산 미륵사지 출토 금정과 백제의 형제衡制-
1. 머리말 45
2. 미륵사지 출토 금정의 화폐적 성격 47
3. 미륵사지 출토 금정金鋌의 양사量詞와 백제의 문자 55
4. 백제의 형제衡制와 미륵사지 출토 금정金鋌의 의의 60
5. 맺음말 69

백제 미륵사지 서탑 출토 금정의 성격과 동아시아 교류상의 의의(하)
-백제 대외교역상의 금정과 익산-
1. 머리말 72
2. 백제의 동아시아 교역과 금정의 유통 74
3. 백제의 웅진강熊津江 유역 대외교역항 개설과 익산益山 경영 80
4. 맺음말 93

Ⅱ. 통일 신라의 동아시아 교역과 향약

8세기 신라의 동아시아 외교와 영빈 체계

1. 머리말 99
2. 8세기 신라·일본간의 외교형식 분쟁 101
3. 『대당개원례大唐開元禮』와 신라·일본의 빈례賓禮 105
4. 신라 영빈 관사의 운영과 그 성격 126
5. 맺음말 142

8세기 신라의 동아시아 교역과 법륭사 백단향
1. 머리말 145
2. 법륭사 묵서명 백단향의 헌납 시기 147
3. 『법륭사가람연기병유기자재장法隆寺伽藍緣起幷流記資財帳』의 향약 153
4. 신라의 동아시아 교역과 법륭사法隆寺 향약香藥의 전래 165
5. 맺음말 173

752년 김태렴의 대일교역과 「매신라물해」의 향약
1. 머리말 177
2. 「매신라물해」와 김태렴의 교역 규모 179
3. 「매신라물해」의 향약류香藥類와 그 성격 184
1) 향약香藥 184
2) 약재藥材 192
3) 색료色料 200
4) 조합제調合劑·벽사용품?邪用品 205
4. 김태렴의 향약 교역의 의미 207
5. 맺음말 215

Ⅲ. 장보고의 등장과 동아시아 교역체계의 전환

통일신라의 대일교역과 애장왕대 '교빙결호'

1. 머리말 219
2. 신라·일본간 '사신내왕'에 대한 몇 가지 문제 224
3. 7~8세기 신라의 대일교역품과 그 성격의 변화 235
4. 애장왕대 신라·일본의 '교빙결호' 248
5. 맺음말 262

8~9세기 한·중·일 교역과 장보고의 경제적 기반
1. 머리말 266
2. 신라의 당·일본과의 교역 268
3. 장보고의 청해진淸海鎭 설치와 동아시아 교역망 운용 276
4. 장보고의 교역과 경제적 기반 290
5. 맺음말 296
원인圓仁의 귀국과 재당 신라상인의 대일교역
1. 머리말 299
2. 원인圓仁의 귀국과 재당 신라인 301
3. 장보고張保皐 사후 재당 신라상인의 대일교역 310
4. 맺음말 319

9세기 신라의 대외 교역물품과 그 성격
1. 머리말 322
2. 『제도로諸道路 및 제왕국지諸王國志』의 신라 교역물품과 향약香藥 324
3. 『제번지諸蕃志』의 신라 교역물품과 약재藥材 332
4. 맺음말 342

[보론]

고구려 조세제와 민호편제

1. 머리말 345
2. 고구려 조세제 기사의 재검토 347
1) 『수서』·『주서』 고구려전 조세제 기사 347
2) 조租와 세稅, 삼등호제三等戶制 353
3. 유인遊人과 유녀遊女의 성격 366
1) 유인遊人 366
2) 유녀遊女 371
4. 고구려의 계급구성과 민호편제民戶編制 379
1) 하호下戶의 성격과 식읍제 379
2) 민호편제民戶編制의 전개 391
5. 맺음말 404

◆ ResumeThe Commercial History of Korea and East Asia in Ancient Times -411
◆ 찾아보기 -425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