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상담술 또는 하늘에서 본 대한민국. 1: 제주도 경상도 강원도
땅끝
2025-05-09 07:09
97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14회 연결
본문
명리상담술

도서명 : 명리상담술
저자/출판사 : 안성재, 한솜미디어
쪽수 : 405쪽
출판일 : 2012-05-05
ISBN : 9788959593101
정가 : 20000
추천사 / 4
머리말 / 6
제1장 명리학의 발전사
1. 명리학의 출발점 _ 18
1) 고법 사주학의 근원 / 19
2) 귀곡자 선생의 유래 / 19
3) 고법 사주학의 연대와 특징 / 21
4) 신법 사주학의 연대와 특징 / 22
제2장 명리학의 기초원리
1. 천간론 _ 26
1) 오행의 특성 / 26
2) 천간의 특성 / 27
3) 천간의 작용 / 34
2. 지지론 _ 36
1) 12지지의 특성 / 36
2) 지지의 작용 / 41
3) 지지 합 해설 / 42
4) 지지 충 해설 / 45
5) 지지 형 해설 / 48
6) 지지 원진 해설 / 49
제3장 인체도와 명리학의 관계
1. 인체도 구성 _ 52
2. 인체도 역할 _ 53
3. 사주와 인체도 _ 57
4. 지장간 원리 해설 _ 58
1) 지장간 이론 / 58
2) 산명학 이론 / 58
3) 지장간을 알아야 하는 이유 / 60
5. 대운 구성법 _ 62
1) 남자 대운 구성법 / 62
2) 여자 대운 구성법 / 63
3) 대운 구성 해설 / 64
4) 월두법 이해 / 64
제4장 상생·상극론 작용
1. 주성의 상생 · 상극론 _ 68
1) 주성의 상생관계 / 68
2) 십성의 상생관계 / 69
3) 십성의 상생·상극관계 / 70
4) 오행의 多·少 이론 / 71
2. 고법 십성론 _ 80
1) 관색(貫索) / 80
2) 석문(石門) / 81
3) 봉각(鳳閣) / 81
4) 조서(調舒) / 82
5) 녹존(祿存) / 83
6) 사록(司祿) / 83
7) 차기(車騎) / 83
8) 견우(牽牛) / 84
9) 용고(龍高) / 84
10) 옥당(玉堂) / 85
3. 주성의 역할 _ 87
1) 주성의 기질 / 87
2) 주성의 특성 / 87
4. 주성이 원국에 많을 때 _ 94
1) 비견·겁재가 많을 때 / 94
2) 식신·상관이 많을 때 / 95
3) 편재·정재가 많을 때 / 97
4) 편관·정관이 많을 때 / 98
5) 편인·정인이 많을 때 / 99
5. 주성이 원국에 약할 때 _ 100
1) 비견·겁재의 작용 / 100
2) 식신·상관의 작용 / 101
3) 편재·정재의 작용 / 101
4) 편관·정관의 작용 / 103
5) 편인·정인의 작용 / 103
제5장 12운성론
1. 12운성론 _ 106
1) 12운성 적용법 / 106
2) 12운성의 이해 / 107
3) 음간 구성법 / 107
2. 12운성과 에너지 관계 _ 109
1) 12운성별 점수 / 109
3. 12운성 작용 _ 114
1) 천귀성(天貴星) / 114
2) 천황성(天恍星) / 114
3) 천남성(天南星) / 115
4) 천록성(天祿星) / 115
5) 천장성(天將星) / 115
6) 천당성(天堂星) / 116
7) 천호성(天胡星) / 116
8) 천극성(天極星) / 117
9) 천고성(天庫星) / 117
10) 천치성(天馳星) / 117
11) 천보성(天報星) / 118
12) 천인성(天印星) / 118
4. 12운성과 에너지 표기 _ 119
1) 지지 에너지 작용 / 120
2) 대운의 에너지가 상승할 때 / 122
3) 대운의 에너지가 감소할 때 / 123
제6장 인체도의 작용
1. 인체도를 통한 특성 _ 130
1) 사주와 인체도 관계 / 130
2) 인체도 구성 / 134
제7장 천중살
1. 천중살 구성 _ 202
1) 천중살이란 / 202
2) 천중의 원리 / 202
3) 천중의 의미 / 204
4) 천중의 작용 / 204
5) 해당 육친이 천중일 때 / 205
6) 천중 방위 해설 / 205
7) 대운·세운 천중 작용 / 206
2. 대운 천중살 해설 _ 208
3. 세운 천중살 해설 _ 212
4. 년운과 월운이 천중살일 때 _ 226
1) 세운 비견성이 천중살 / 226
2) 세운 천중살이 겁재성 / 228
3) 세운 천중살이 식신성 / 229
4) 세운 천중살이 상관성 / 231
5) 세운 천중살이 편재성 / 233
6) 세운 천중살이 정재성 / 235
7) 세운 천중살이 편관성 / 237
8) 세운 천중살이 정관성 / 240
9) 세운 천중살이 편인성 / 242
10) 세운 천중살이 정인성 / 245
제8장 격국 용신론
1. 격국론 _ 250
2. 격국 분석론 _ 253
1) 격국 판단법 / 254
2) 격국을 정하는 방법 / 256
3) 격국과 학과와의 상관관계 / 259
3. 용신 활용법 _ 261
1) 용신은 누구에게 필요한가? / 261
2) 용신의 개념을 새롭게 정리 / 264
제9장 세운·대운 해설
1. 세운 해설 _ 270
1) 세운에 나타난 운세 / 270
2) 세운이 합이 될 때 / 278
3) 세운이 충이 될 때 / 280
4) 세운이 형이 될 때 / 281
5) 세운이 원진이 될 때 / 282
2. 대운 해설 _ 284
1) 천간 해설 / 284
2) 지지 해설 / 293
제10장 궁합론
1. 궁합 _ 308
2. 나와 상대의 가슴과의 관계 _ 309
1) 나의 가슴이 비견성 / 309
2) 나의 가슴이 겁재성 / 314
3) 나의 가슴이 식신성 / 318
4) 나의 가슴이 상관성 / 322
5) 나의 가슴이 편재성 / 326
6) 나의 가슴이 정재성 / 331
7) 나의 가슴이 편관성 / 335
8) 나의 가슴이 정관성 / 339
9) 나의 가슴이 편인성 / 343
10) 나의 가슴이 정인성 / 346
제11장 직업·학과론
1. 직업론 _ 352
1) 비견성 / 352
2) 겁재성 / 353
3) 식신성 / 355
4) 상관성 / 356
5) 편재성 / 357
6) 정재성 / 358
7) 편관성 / 359
8) 정관성 / 360
9) 편인성 / 361
10) 정인성 / 362
2. 학과론 _ 363
제12장 인생 굴곡 그래프
1. 굴곡 그래프 상담법 _ 368
2. 주성과 그래프 _ 370
3. 세운과 인생 굴곡 그래프 _ 376
제13장 재물과 인연
1. 재물과 인연이 되는 십성 _ 384
1) 식신성일 때 / 384
2) 상관성일 때 / 385
3) 편재성일 때 / 385
4) 정재성일 때 / 386
2. 직장인이 유리한 운 _ 388
3. 학생에게 유리한 운 _ 391
제14장 실전 상담
1. 실전 상담에 필요한 내용 _ 394
2. 인체도와 인생 굴곡 그래프 _ 396
3. 그래프를 통한 대운 분석 _ 399
4. 명리학 상식론 _ 403
참고문헌 / 405
하늘에서 본 대한민국. 1: 제주도 경상도 강원도

도서명 : 하늘에서 본 대한민국. 1: 제주도 경상도 강원도
저자/출판사 : 이태훈, 21세기북스
쪽수 : 400쪽
출판일 : 2010-10-18
ISBN : 9788950926533
정가 : 18000
제주도
| 0 0 1 | 섬 속에 또 다른 섬, 마라도 & 가파도
| 0 0 2 | 전라도가 아닌 제주도에 속하는 추자도
| 0 0 3 | 제주보다 더 유명한 우도
| 0 0 4 |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성산일출봉
| 0 0 5 | 380여 개 오름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다랑쉬오름과 아부오름
| 0 0 6 | 걷기를 통해 자연의 미를 느낄 수 있는 산방산 올레길
| 0 0 7 | 에메랄드 빛 바다를 품은 섭지코지
| 0 0 8 | 제주 사람들의 소박한 삶을 엿볼 수 있는 민속촌박물관
| 0 0 9 | 제주에서 가장 붐비는 도시, 중문
| 0 1 0 | 제주 사람들의 삶의 애환이 스민 돌무덤
| 0 1 1 | 한라산을 사랑한 또 하나의 섬, 비양도
| 0 1 2 | 우리나라 최고의 명산, 한라산
경상남도
| 0 0 1 | 비단과 푸른 바다로 둘러싸인 남해 금산과 보리암 8
| 0 0 2 | 세계문화유산을 간직한 합천 해인사
| 0 0 3 | 불보사찰의 양산 통도사
| 0 0 4 | 논개의 애국심이 스며 있는 진주 남강
| 0 0 5 | 야생 차밭과 소설 『토지』의 도시, 하동
| 0 0 6 | 함양에서 만난 한국 전통건축의 백미, 정여창 고택
| 0 0 7 | 부산 시민의 영혼의 안식처 금정산과 범어사
| 0 0 8 | 여름 최대의 휴양지, 해운대와 광안리
| 0 0 9 | 자연 생태의 보고, 창녕
| 0 1 0 | ‘은밀한 햇살’의 도시, 밀양에서 만난 영남루
| 0 1 1 | 자다가도 일어나 바다로 가고 싶은 곳, 통영 매물도
| 0 1 2 | 1년에 백만 명이 다녀가는 거제의 또 다른 섬, 외도
| 0 1 3 | 세상의 모든 것을 품어주는 어머니의 산, 지리산
경상북도
| 0 0 1 | 유치환이 사랑한 심해선 밖의 한 점 섬 울릉도
| 0 0 2 | 한민족의 늠름한 기상이 스며 있는 독도
| 0 0 3 | 올곧은 선비의 정신이 살아 있는 안동 하회마을
| 0 0 4 | 선비 정신을 엿볼 수 있는 병산서원과 도산서원
| 0 0 5 | 우리나라 전통 건축의 진수를 보여주는 안동 한옥
| 0 0 6 | 엘리자베스 여왕이 다녀간 천년의 절집 봉정사
| 0 0 7 | 은은한 달빛처럼 차분하고 고즈넉한 영주 부석사
| 0 0 8 | 퇴계 선생이 사랑한 봉화 청량산
| 0 0 9 | 회재 이언적 선생의 고향, 경주 양동마을
| 0 1 0 | 유네스코에 등록된 세계문화유산의 도시, 경주
| 0 1 1 | 불국정토로 가는 길에 만난 불국사와 석굴암
| 0 1 2 | 봄꽃이 지천으로 깔린 운문사의 봄
| 0 1 3 | 푸른 바다와 푸른 맛이 있는 영덕
| 0 1 4 | 과메기의 맛과 일출이 아름다운 포항
| 0 1 5 | 솔바람과 물소리만 머무는 청송 주왕산
| 0 1 6 | 새도 바람도 넘기 어려운 문경새재
| 0 1 7 | 연꽃과 은행나무가 인상적인 영양 서석지
강원도
| 0 0 1 | 파도 따라 울리는 감미로운 거문고 소리 강릉 선교장
| 0 0 2 | 강릉에서 만나는 한옥의 미학
| 0 0 3 | 산과 바다 그리고 한옥문화가 어우러진 고성
| 0 0 4 | 만인에게 평등한 불교의 가르침을 구현한 백담사와 봉정암
| 0 0 5 | 굽이치는 고갯길과 넓은 광야가 있는 곳, 대관령
| 0 0 6 | 소박한 사람들의 꿈과 열정이 있는 추암마을과 묵호항
| 0 0 7 | 동해의 푸른 바다를 벗 삼은 설악산
| 0 0 8 | 파도와 모래에 의해 만들어진 석호의 도시, 속초
| 0 0 9 | 석탄의 도시에서 관광의 도시로 발돋움한 영월
| 0 1 0 | 천년의 향기가 스민 전나무 숲길, 월정사
| 0 1 1 | 한 편의 서정시가 흐르는 정동진
| 0 1 2 | 아리랑에 맞춰 춤을 추는 정선 민둥산의 억새
| 0 1 3 | 우리의 자생식물이 가득한 평창 자생식물원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