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시대를 위한 논어 또는 나는 민주당이다
땅끝
2025-05-09 07:09
78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64회 연결
본문
새 시대를 위한 논어

도서명 : 새 시대를 위한 논어
저자/출판사 : 서정기, 한국학술정보
쪽수 : 660쪽
출판일 : 2012-05-21
ISBN : 9788926833995
정가 : 39000
머리말
만세도통심법전수가(萬世道統心法傳授歌)
일러두기
제1편 학이(學而)/도덕윤리로 몸을 닦는 군자학(君子學)
제2편 위정(爲政)/도덕정치의 이념과 체제 및 사업
제3편 8일(八佾)/예약(禮藥)문화는 대순(大順)의 화합질서
제4편 이인(里仁)/마을에 어진 풍속을 일으킴
제5편 공야장(公冶長)/춘추난세에 공문(孔門)의 학문정신
제6편 옹야(瓮也)/난세에 이상(理想)을 추구하는 고난
제7편 술이(述而)/공부자(孔夫子)의 6경학풍(六經學風)
제8편 태백(泰伯)/지덕(至德)의 성학(聖學)을 숭상(崇尙)
제9편 자한(子罕)/초야에서 장수도학(藏修道學)하는 정열
제10편 향당(鄕黨)/공부자(孔夫子)의 생활예절과 의식예절
제11편 선진(先進)/인격수양의 진도와 특색 비교평가
제12편 안연(顔淵)/인(仁)의 본체와 인자(仁者) 및 인정(仁政)
제13편 자로(子路)/언어의 소통과 정명사상(正名思想)
제14편 헌문(憲問)/고금에 현우선악(賢愚善惡)의 우열(優劣)논평
제15편 위령공(衛靈公)/도덕세계 건설에 일로매진(一路邁進)
제16편 계씨(季氏)/가정불화를 방지하는 치가요법(治家要法)
제17편 양화(陽貨)/난세에 경계할 일과 지켜야 할 사항
제18편 미자(微子)/고금의 시변(時變)에 군자(君子)의 처세
제19편 자장(子張)/공부자(孔夫子)의 도덕에 대한 제자의 책무
제20편 요왈(堯曰)/천하귀인(天下歸仁)을 자임(自任)한 학통(學統)
나는 민주당이다

도서명 : 나는 민주당이다
저자/출판사 : 김부겸, 미래인
쪽수 : 327쪽
출판일 : 2011-09-15
ISBN : 9788983946744
정가 : 15000
1부
뚜벅뚜벅 한 걸음씩-정치인생 20년의 기록
향기 품은 군사우편
아들 때문에 아버지의 날개는 꺾이고
2년 조기 입학의 후유증
첫 도전, 경북고 학생회장
혼란 속에 날아든 서울대 합격 소식
국가 폭력에 맞서
좌경 용공으로 낙인찍힌 청춘들
어둠의 시대를 사는 학우여, 모입시다!
뺑끼통에서 얻은 깨달음
강철은 어떻게 단련되었는가
피지 못한 ‘서울의 봄’
통한의 서울역 회군
광주가 죽어가고 있습니다
더 이상의 내조는 없다
백두서점의 외상 손님, 이재호
민통련 간사생활
6월 항쟁의 불씨는 민주세력의 분열로 스러지고
직업 정치인의 길
이선실 사건과 김대중 총재
하룻밤 사이에 돌아선 홍준표
‘통추’와 노무현
세비 기부로 시작한 의정활동
열린우리당 창당과 대통령 탄핵
열린우리당 원내수석부대표를 맡고
손학규를 데려와라
내 정치인생의 기준이 된 제정구
통합과 상생을 정치적 화두로
2부
허약한 민주주의와 비열한 자본주의-민주 진보세력의 통합을 꿈꾸며
약속의 감옥에 스스로를 가두며
‘김미’에서 해방시켰던 나의 첫 월급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허약한 민주주의와 비열한 자본주의
휴머니즘, 대장정의 출발점: 손호철 교수의 《레드 로드》를 읽고
지역 구도에서 벗어난 이념 구도의 정당이 바람직하다.
대연정과 지역주의
블라인드 테스트
실질적 민주주의로 나아가기 위하여
백 년을 기다린 과거사법
수도는 관습이 아니라 정책
개혁과 실용
민주당의 딜레마
오바마를 만든 미국 민주당의 힘
내 마음의 작은 비석 하나
이명박 대통령은 정치적 무생물인가?
대안 있는 야당, 생활 속의 진보 정당
민주주의를 죽이고 경제를 살릴 수 없다
4대강이 아니라 목욕탕이 실용이다
의회주의의 위기
빅 텐트론
우리끼리 싸우지 말자
영남 권위주의 세력의 귀환: 한나라당의 위장막과 방어막
3부
상생 복지국가로 가는 새로운 해법-일자리, 교육, 복지, 통일 정책
여는 글 / 공감과 비평을 통한 상생의 정치
1. 사회 양극화,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분당의 충격
가계 양극화, 어디까지 왔나?
상위 10%와 하위 10%의 격차
괜찮은 직업과 안 괜찮은 직업의 격차
부실한 교육 사다리
이명박 정부의 후퇴하는 복지
2. 성장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한다
대기업 위주의 성장주의는 그만
청년들은 괜찮은 일자리에서 일하고 있는가?
고용률 높이고 소득 격차 해소하라
질 좋은 고용 확대를 위한 노력
3. 교육 혁신을 위한 새로운 대안
교육이라는 사다리
교육체제 개혁 방향
통합 국립대: 서울대를 광역화하자
4. 미래는 상생의 경제와 복지정책에 달려 있다
세계 최저 출산율, 세계 최고 자살률
소득세와 사회보험료의 불가피한 인상
불환빈 환불균
복지 지출의 우선순위
5.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한 제언
평화에서 전쟁으로 가는 이명박 정부
통일정책은 없고 군사정책만 남아
북한의 붕괴가 목표? 방법은 안 퍼주기?
‘급변 사태’는 사실상 전쟁 위기로 갈 것
전쟁이냐 평화냐?
더욱 중요해진 햇볕정책
김부겸 연보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