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상입궁 또는 선과 교의 통로
땅끝
2025-05-09 07:09
82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56회 연결
본문
천상입궁

도서명 : 천상입궁
저자/출판사 : 인황, 한솜미디어
쪽수 : 256쪽
출판일 : 2012-10-30
ISBN : 9788959593316
정가 : 12000
책을 집필하면서 -살아있어 달라는 간절한 소원 _ 8
제1부 인간 시험장
하늘과 땅, 산 자와 죽은 자 _ 16
죄를 빌 수 있는 마지막 기회 _ 22
질병과 죽음의 기운을 받은 곳 _ 27
전생의 죄와 현생의 죄 _ 33
죄부터 먼저 사면받고 살아야 _ 40
하늘을 배신한 역천자와 도망자 _ 44
인간세상은 하늘이 내신 시험장 _ 47
제2부 천상입궁
태어나서 가장 잘하는 일 _ 54
천륜을 어기면 재앙이 내린다 _ 58
조상님들의 죄를 비는 천상입궁 _ 64
조상님들의 소원은 오직 한 가지 _ 66
낙태 유산 영가의 저주 _ 70
신과 생령들의 죄를 비는 천인합체 _ 74
대단한 천상의식 _ 77
조상님이 복주머니이다 _ 80
자빠지는 무서운 기운의 정체 _ 84
천제(天祭) _ 91
제3부 영의 부모
존귀하신 영혼의 부모님 _ 98
신들이 간절히 원하는 것 _ 102
자미천황님을 찾지 않으면 _ 104
몸 안의 신이 가장 무서운 존재 _ 109
천지를 통합하는 공무 _ 111
인류의 구심점으로 추대 _ 115
제4부 신비한 천지조화
금강산 산신님이 말하는 세상 _ 120
천지조화 부릴 수 있는 기운 _ 123
청와대 터의 기운은 100년 _ 126
말하는 대로 천지조화가 일어나 _ 131
하늘의 기운과 하늘의 말씀 _ 135
제5부 생령의 존재
생령과 운명의 천지조화 _ 140
생령이란 무엇인가? _ 144
하늘이 숨겨놓은 보물찾기 _ 149
하늘을 찾으러 다니는 생령들 _ 155
생령들을 부르는 능력자 _ 158
생령들이 가장 싫어하는 것 _ 161
생령을 만나 상대를 알았다 _ 165
각 방 쓰기와 이혼과 별거 _ 169
전생의 비밀을 알고 있는 생령 _ 173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존재 _ 177
생령과 만남으로 새로운 미래가 _ 182
이름에 대한 하늘의 비밀 _ 187
제6부 하늘과 땅
인류의 수도 _ 190
재물과 권력의 주인 _ 194
인류의 종착역 _ 198
천공을 올려야 _ 203
영의 대통령 _ 206
임명장을 받으면 _ 211
천지대업 _ 215
생년별 전생에 진 빚 _ 218
인류의 수도 건립 사명자 _ 225
전생의 빚과 죗값 _ 230
하늘과 땅에 감사해야 _ 232
천공(天貢) _ 234
처음이자 마지막 경고 메시지 _ 237
천지기운을 몸과 마음으로 느끼려면 _ 240
책을 맺으면서 -하늘을 몰라보고 무시하면 _ 243
선과 교의 통로

도서명 : 선과 교의 통로
저자/출판사 : 규봉종밀, 한국학술정보
쪽수 : 218쪽
출판일 : 2010-05-25
ISBN : 9788926810460
정가 : 11000
해제
『禪源諸詮集都序』
『禪源諸詮集都序』 卷上之一
1. 『禪源諸詮集都序』
2. 禪源은 眞性
3. 禪定의 종류
4. 禪敎一致
5. 『都序』를 편찬한 목적
1) 스승에도 本과 末이 있다
2) 선에도 제종이 있어서 서로 간에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3) 경은 繩墨과 같아서 邪와 正을 가름하는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4) 넷째는 경에도 權과 實이 있어서 모름지기 요의경에 의거해야 하기 때문이다
5) 세 가지 인식방법은 판단에 있어 모름지기 계합되어야 한다
6) 많은 의심에 대하여 모름지기 깨끗이 풀어 줘야 한다
7) 비록 法과 義가 다르지만 모름지기 그것을 잘 변별해야 한다
8) 마음이 性과 相에 달통하면 명칭은 같더라도 뜻이 다름을 안다
9) 悟와 修 및 頓과 漸은 어긋나는 듯 보이지만 서로 부합된다
10) 스승이 방편을 구사할 때 모름지기 약과 병을 알아야 한다
『禪源諸詮集都序』 卷上之二
6. 三宗과 三敎
1) 禪의 三宗
2) 敎의 三敎
7. 達磨禪의 계승
1) 荷澤宗의 知
2) 洪州宗의 用
『禪源諸詮集都序』 卷下之一
8. 空宗(密意破相顯性敎)과 性宗(顯示眞心卽性敎)의 차이
1) 法ㆍ義에는 眞ㆍ俗의 차이가 있다
2) 心ㆍ性에는 두 가지 명칭의 차이가 있다
3) 性字에는 두 가지 體의 차이가 있다
4) 眞智ㆍ眞知의 차이가 있다
5) 有我ㆍ無我의 차이가 있다
6) 遮詮ㆍ表詮의 차이가 있다
7) 認名ㆍ認體의 차이가 있다
8) 二諦ㆍ三諦의 차이가 있다
9) 三性에 대하여 각각 空ㆍ有의 차이가 있다
10) 佛德에 대하여 각각 空ㆍ有의 차이가 있다
9. 禪敎一味
1) 頓敎와 漸敎
2) 敎法과 一眞心體
10. 敎法의 구성
1) 迷十重
2) 悟十重
『禪源諸詮集都序』 卷下之二
3) 迷十重과 悟十重의 관계
11. 藉敎悟宗
12. 『都序』 편찬의 의의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