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자는 영화에서 과학을 본다 또는 가족의 치료중단 요구와 의사의 생명보호의무
땅끝
2025-05-09 07:09
80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37회 연결
본문
물리학자는 영화에서 과학을 본다

도서명 : 물리학자는 영화에서 과학을 본다
저자/출판사 : 정재승, 어크로스
쪽수 : 320쪽
출판일 : 2012-07-18
ISBN : 9788997379057
정가 : 15000
개정 2판 서문(2012) | 영화 속 숨은 과학 찾기
초판 서문(1999) | 물리학자와의 저녁 식사
개정증보판 서문(2002) | 영화와 과학의 행복한 만남
PART 01
옥에 티, 과학이 발견한 영화의 오류
Cinema 1. 할로우맨 |투명한, 그래서 텅 빈 과학자의 비극
Cinema 2. 콘택트 | 조디 포스터는 외계인과 18시간 동안 접촉할 수 없다
Cinema 3. 쉬리 | 한석규, 야시경을 쓰고 전등을 비추다
Cinema 4. 아마겟돈 | 굴착기 기사들이 NASA 우주선을 몰고 지구를 구하다
Cinema 5. 쥬라기 공원 | 쥬라기 공원에는 쥬라기 공룡이 없다?
Cinema 6. 데몰리션 맨 | 실베스터 스탤론이 무슨 금붕어냐?
Cinema 7. 고질라 | 고질라의 임신은 자가진단 키트로 확인할 수 없다
Cinema 8. 뽀빠이 | 시금치를 먹으면 뽀빠이가 아니라 올리브가 된다
Cinema 9. 페이스 오프 | 피부 이식을 해도 얼굴이 바뀌진 않는다
[동시상영] 왜 영화에선 항상 주인공이 이기는 걸까
Cinema 10. 죠스 | ‘죠스’가 불러일으킨 백상아리에 관한 오해들
[동시상영] 니모를 찾아서: 고래 배 속에서 탈출?
Cinema 11. 은하철도 999 | 과연 철이는 안드로메다로 갈 수 있을 것인가?
Cinema 12. 스타워즈 | 영화 속 ‘우주 전쟁’의 허와 실
Cinema 13. 블루썬더 | 헬리콥터는 360도 회전할 수 없다?
PART 02
이 장면 꼭 있다, SF 영화 공식에서 만난 과학
Cinema 14.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 HAL 컴퓨터와 인공 지능
[동시상영] 터미네이터 2: 복사기여, 로봇을 카피하라
Cinema 15. 아폴로 13호 | 우주를 향한 인간의 꿈은 끝나지 않는다
[동시상영] 제5원소: 우주를 완성하는 다섯 번째 원소
Cinema 16. 로스트 인 스페이스 | 우주 생활의 A TO Z
[동시상영] 우주 공간은 무중력이 아니다
Cinema 17. 토탈 리콜 | 화성을 제2의 지구로 건설하자
[동시상영] 코어: 지구 외핵으려 여행하기?
Cinema 18. E.T | UFO, 외계인과의 조우를 꿈꾸며
Cinema 19. 스피어 | 시간 여행자를 위한 매뉴얼
Cinema 20. 더 플라이 | 순간 이동 장치는 실현 가능할까?
Cinema 21. 스타게이트 | 고대 문명의 기원과 신비 고고학
[동시상영] 싸인: 미스터리 써클
Cinema 22. 007 시리즈 | 영화 속에 등장하는 최첨단 생체 인식 보안 시스템
Cinema 23. 프레데터 |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적외선의 세상
Cinema 24. 체인 리액션 | 최첨단 물리학 이론이 영화에 등장하다
Cinema 25. 트위스터 | 카오스를 알면 자연이 보인다
[동시상영] 어벤져: 날씨를 마음대로 조작한다?
Cinema 26. 잃어버린 세계 | ‘복잡성의 과학’으로 공룡의 멸종을 설명한다
PART 03
영화가 과학에 묻다
Cinema 27. 바이센티니얼 맨 | 인간이 되고 싶은 로봇
[동시상영] 아톰의 생일
Cinema 28. 포켓몬스터 | TV 만화를 보다가 발작을 일으킨 일본 아이들
[동시상영] 해리슨 버저론: ‘평등’으로 유혹하는 거세된 미래 사회
Cinema 29. 블래이드 러너 | 컴퓨터 시대의 반항아, 사이버 펑크
[동시상영] 코드명J: 가상 현실과 종이 없는 세상
Cinema 30. 매트릭스 | 문화의 경계를 지운 세상의 출현
Cinema 31. 라스트 액션 히어로 | 2050년 우리는 뭘 하며 놀까?
Cinema 32. 에드 TV | 자신의 사생활을 공개하려는 욕망
Cinema 33. 토이 스토리 2| 우디는 톰 행크스를 대체할 것인가?
chapter 34. 스파이더 맨 | 방사능에 대한 두려움이 낳은 돌연변이들
chapter 35. 배트맨 | 미친 과학자가 만드는 디스토피아
[동시상영] 유너바머와 네오 러다이트 운동, 과학기술을 반대하다
가족의 치료중단 요구와 의사의 생명보호의무

도서명 : 가족의 치료중단 요구와 의사의 생명보호의무
저자/출판사 : 송기민, 한국학술정보
쪽수 : 210쪽
출판일 : 2011-02-01
ISBN : 9788926819067
정가 : 14000
추천사
ㆍ조남훈_한양대학교 고령사회연구원장
ㆍ신현호_변호사 법학박사 고려대학교 법대 겸임교수
ㆍ이인영_홍익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머리말
제1장 들어가며
제2장 응급환자의 치료중단
제1절 의료행위에 대한 법적 의미
1. 의의
2. 법적 성질
3. 환자의 동의
제2절 응급의료의 개념과 특징
1. 개념
2. 응급의료의 특징
3. 응급환자 치료중단 현황
4. 가족결정권의 한계
제3절 응급환자 치료중단 사례
1. 사건개요
2. 사건의 재조명
제4절 생명보호의무의 한계
1. 생명보호의무와 자기결정권
2. 생명보호의무와 가족결정권
제3장 국가의 응급환자 생명보호책임과 역할
제1절 응급환자 생명보호책임
1. 의사의 생명보호책임과 기대 가능성
2. 국가의 생명보호의무의 해태
3. 의료보장기능의 구조적 결함
제2절 국가의 생명보호의무
1. 개념
2. 생명권의 법적 근거
3. 국민건강보호 의무의 실현
제3절 국내외 응급의료 현황
1. 건강권 보장을 위한 예산 규모
2. 선진외국의 응급의료제도
3. 현행 의료보장의 취약성
제4장 응급의료비미수금대불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제1절 응급의료비미수금대불제도의 본질
1. 개요
2.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3. 응급의료기금
4. 응급의료 대불사업 현황
5. 법리적 고찰
제2절 응급대불청구권의 적격성
1. 적용대상의 확대
2. 외국인 적용에 대한 법적 근거 마련
제3절 청구권 보호 강화
제4절 대불심사제도의 타당성 재고
1. 목적 부합성
2. 심사기준의 개선
3. 공정성 확보
제5절 부양의무자에 대한 구상의 현실성 제고
1. 부양의무에 대한 인식의 변화
2.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제6절 이의신청 등 권리구제
1. 현행 법규정상의 문제
2. 권리구제 청구권자 확대
3. 심의절차의 객관성 보장
제7절 소멸시효 및 처벌규정 개선
1. 소멸시효기산 및 이자손실전가
2. 실효성 보장을 위한 처벌규정
제8절 실행방안 제언
제5장 결론
참고문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