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삶 전략이 필요하다 또는 EU 공동시장법
땅끝
2025-05-09 07:09
70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91회 연결
본문
당신의 삶 전략이 필요하다

도서명 : 당신의 삶 전략이 필요하다
저자/출판사 : 이상석, 보는소리
쪽수 : 161쪽
출판일 : 2011-10-27
ISBN : 9788993282153
정가 : 11500
1장 - 성공에 필요한 전략이란 무엇인가?
‘성공'에 있어 '목표'와 '전략'의 관계 그리고 전략적 삶의 필요성
내 삶에 ‘목표와 전략’은 존재하는가?
자기 분야의 최고들은 명확한 목표와 그에 맞는 전략이 있다
전략적 삶의 필요성
같은 목표에도 불구하고 전략은 다를 수 있다
전략의 발전과 메커니즘 이론
‘전략’ - 기업과 인간의 유사성
전략의 개념과 경영학내에서의 전략이론의 발달과정
전략이론의 세 가지 주요 관점
세 가지 주요 관점의 한계점(1)
세 가지 주요 관점의 한계점(2)
메커니즘 이론의 탄생과 ‘성공학’ 분야의 적용
2장 - 자신만의 전략 수립을 위해선 E(환경), S(주체), R(자원) 요소와 각각의 세부요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환경(E : Environment)
훌륭한 종자도 적절한 온도와 습도가 갖춰졌을 때 싹을 틔운다
환경의 첫 번째 세부요소 : 시대
환경의 두 번째 세부요소 : 국가
환경의 세 번째 세부요소 : 조직
환경의 네 번째 세부요소 : 가정
주체(S : Subject)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 모든 일은 마음먹기에 달렸다
‘주체’는 정확한 정의와 이해가 필요하다.
주체의 첫 번째 세부요소 : 자기존중감
주체의 두 번째 세부요소 : 자기효능감
주체의 세 번째 세부요소 : 자기관찰력
자원(R : Resource)
장인(匠人)은 실력으로서 자신을 입증한다
자원의 첫 번째 세부요소 : 재능
자원의 두 번째 세부요소 : 기술
자원의 세 번째 세부요소 : 건강
3장 - 전략 수립의 첫 단계 : 자기 자신을 철저히 분석하라(知己)
전략수립을 위해 자신을 분석하라
재회(再會)와 권유
자기측정분석도구 바로알기
정훈이의 자기측정분석도구 결과
제언 및 전략수립의 방향성 제시
EU 공동시장법

도서명 : EU 공동시장법
저자/출판사 : 김두수, 한국학술정보
쪽수 : 276쪽
출판일 : 2010-08-15
ISBN : 9788926812570
정가 : 17000
서문ㆍ5
인용약어ㆍ16
제1부 EU통합의 법적 기초
제1장
머리말
제2장
EU의 통합법제사
Ⅰ. 서언
Ⅱ. EC와 EU
1. EC
2. EU
Ⅲ. 현재 EU의 통합 정도
1. 정치적 측면
2. 경제적 측면
Ⅳ. 결언
1. 리스본조약의 체결과 발효
2. 리스본조약상 변화된 주요 법적 내용
3. 리스본조약의 발효 이후 전망
제3장
EU의 주요기관
Ⅰ. 이사회
1. 구성
2. 의결절차
3. 상임대표위원회(Committee of Permanent Representatives:COREPER)
4. 이사회의 직무와 권한: 의결권의 일반원칙과 범위
Ⅱ. 위원회
1. 구성
2. 직무와 권한
Ⅲ. 유럽의회
1. 구성과 운영
2. 직무와 권한: 입법절차에의 참여
Ⅳ. 사법기관
1. 국내법원
2. 유럽사법법원(ECJ)
3. 제1심법원(CFI)
Ⅴ. 감사원
1. 구성
2. 직무
Ⅵ. 유럽중앙은행
Ⅶ. 경제사회위원회ㆍ지역위원회
1. 경제사회위원회
2. 지역위원회
제4장
EU법의 법원
Ⅰ. 공동체 설립조약
Ⅱ. 2차 입법
1. 규칙
2. 지침
3. 결정
4. 권고 및 의견
Ⅲ. 국제법(국제협정)
Ⅳ. 법의 일반원칙
Ⅴ. 사법적 해석과 판결
Ⅵ. 결의 및 방침
제2부 EU공동시장의 법제와 판례
제5장
공동시장법상 자유이동에 관한 개관
제6장
상품의 자유이동
Ⅰ. 서언
Ⅱ. EU의 관세동맹과 역내 관세금지의 엄격성
1. 관세 및 ‘이와 동등한 효과’를 갖는 과세의 금지
2. 회원국들 간 관세부과 금지의 엄격성
Ⅲ. EU회원국들 간 수입품에 대한 과세(내국세)의 금지
1. 차별적 내국세와 보호적 내국세의 금지
2. ‘간접적 차별’의 내국세 및 ‘보호적’ 내국세의 성질 인정문제
Ⅳ. 상품의 자유이동에 있어서의 수량제한과 동등한 효과를 갖는 조치의 금지
1. 수량제한의 금지에 관한 개관
2. EC조약 제28조(수입, TFEU 제34조)상의 ‘수량제한과 동등한 효과’를 갖는 조치의 인정 문제
3. EC조약 제29조(수출, TFEU 제35조)상의 ‘수량제한과 동등한 효과’를 갖는 조치의 인정 문제
4. 수량제한의 금지에 대한 예외: 정당화 사유
5. 역내시장 질서를 위한 조화 지침의 기능
Ⅴ. 결언
제7장
사람의 자유이동
Ⅰ. 서언
Ⅱ. EU법상 사람의 자유이동에 관한 개괄적 고찰
1. 사람의 자유이동의 적용 대상의 광범위한 인정
2. 회사설립(개업)의 자유와 사람의 자유이동
3. 서비스의 자유이동과 사람의 자유이동
4. 경제적 목적뿐만이 아닌 사회적 목적을 위한 사람의 자유이동: 시민권의 부여
5. 이주통제(입국통제)의 폐지와 예외
Ⅲ. EU시민과 회원국의 국적을 갖지 않는 가족구성원의 자유이동
1. 통합법규로서의 지침 2004/38의 의미
2. 동 지침의 일반적 규정
3. 출ㆍ입국의 권리
4. 거주권
5. 영주권
6. 공공정책ㆍ공공안보ㆍ공중보건상의 출입 및 거주의 제한
7. 위장결혼 방지를 위한 국내조치의 인정
8. 지침 2004/38의 EU 내 이행 현황
Ⅳ. 제3국 국민의 EU 내 장기거주
1. 동 지침의 일반적 규정
2. 제1회원국에서 장기거주자의 지위
3. 제2회원국에서 장기거주자의 지위
Ⅴ. 사람의 자유이동에 있어서 비차별적 대우의 예외
1. 역내 공동시장에서 비차별적 대우의 의의
2. 비차별적 대우의 적용 예외 문제
Ⅵ. 결언
제8장
회사설립의 자유
Ⅰ. 서언
Ⅱ. 회사설립의 자유의 법제에 관한 일반적 고찰
1. EC조약(TFEU)상 회사설립의 자유
2. EC조약(TFEU)상 회사설립의 자유의 적용 예외
Ⅲ. 변호사의 회사설립의 자유에 관한 주요 사례의 분석 및 평가
1. Reyners 사건: 변호사의 개업권과 직종의 공무집행성의 문제와 관련하여
2. Klopp 사건: 다른 회원국에서의 변호사사무소 설치 장소 문제와 관련하여
3. Gebhard 사건: 다른 회원국 변호사협회의 가입의무와 변호사자격의 인정문제와 관련하여
Ⅳ. 결언
제9장
한ㆍEU FTA의 이해
Ⅰ. WTO체제하에서의 FTA 실현
Ⅱ. EU의 FTA정책의 법적 기초
Ⅲ. 한ㆍEU FTA에 대한 EU의 전략
Ⅳ. EU가 원하는 한ㆍEU FTA의 경제통합수준
Ⅴ. 한ㆍEU FTA 협상과정
부록
찾아보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