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순환 희유금속 도시광산 실태와 전망 또는 영국 명연설문 베스트 30
로즈
2025-04-28 10:48
11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1회 연결
본문
자원순환 희유금속 도시광산 실태와 전망

도서명 : 자원순환 희유금속 도시광산 실태와 전망
저자/출판사 : 데이코 편집부, 데이코
쪽수 : 360쪽
출판일 : 2013-12-27
ISBN : 9791185037165
정가 : 300000
Ⅰ. 자원순환산업 현황과 관련산업 정책동향 21
1. 자원순환 및 자원순환산업 개황 21
1-1. 개요 21
1) 개념 21
2) 정책 패러다임의 전환 23
(1) 개요 23
(2) 국내?외 자원순환사회의 여건 23
(2) 국외여건 25
3) 자원순환정책의 성과 및 평가 27
(1) 그간 추진현황 27
(2) 주요 성과 및 평가 29
(3) 향후 과제 32
1-2. 자원순환지표와 주요 품목 재활용 현황 35
1) 자원순환지표 35
2) 한국?일본의 물질흐름 및 순환지표 비교 35
3) 주요 품목별 재활용률 36
(1) 전기ㆍ전자제품 36
(2) 폐자동차 37
(3) 폐지 37
(4) 유리병 38
(5) 페트병 38
(6) 플라스틱(용기류) 39
(7) 폐자원 에너지화율 39
1-3. 국내 자원화시설 현황 41
1) 전처리시설 41
2) 바이오가스화 시설 41
3) 매립가스 자원화시설 41
1-4. 해외의 자원순환정책 추진현황 43
1) 일본 43
2) EU 44
3) 독일 45
1-5. 주요 통계 48
2. 자원순환 기본계획과 추진전략 56
2-1. 제1차 자원순환 기본계획 개요 56
1) 개요 56
(1) 수립배경 및 필요성 56
(2) 기본계획 역할 57
2) 비전 및 목표 59
3) 소요재원(공공부문) 60
(1) 기본계획 이행을 위한 조사?연구?시스템 구축 소요재원 60
(2) 공공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역별?시설별 최적화를 통한
시설 설치 및 재정투자 계획(안) 61
2-2. 추진전략과 중점 과제 62
1) 자원순환형 사회구조로 전환 62
(1) 국가 자원순환 평가지표 개발 등 기반 조성 62
(2) 개발사업에 대한 자원순환성 강화 63
(3) 제품 全 과정 자원순환성 확산 65
(4) 자원절약형 녹색 구매?소비문화 조성 68
2) 가치상향형 자원순환(4R) 실현 71
(1) 유용자원 매립 최소화 71
(2) 국가 폐자원 순환망 구축 74
(3) 자원의 재사용?재이용 촉진 78
(4)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개선 등 질적 재활용 제고 80
(5) 폐자원의 에너지원으로의 사용 확대 83
3) 통합형 폐기물처리 인프라 구축 86
(1) 폐기물처리 최적화 추진 86
(2) 유해폐기물 등에 대한 관리 강화 90
4) 자원순환산업 육성 및 기술개발 촉진 93
(1) 고부가가치 자원순환 기술개발 93
(2) 자원순환산업의 전략적 육성 및 해외진출 기반구축 96
5) 국가 자원순환성 평가 등 실행기반 마련 100
(1) 경제주체별 역할분담체계 구축 100
(2) 자원순환정책 이행 평가 및 공표 103
Ⅱ. 희유금속, 도시광산 자원개발 동향과 전망 107
1. 희유금속과 도시광산업의 최근 동향과 전망 107
1-1. 주요 개념과 최근 동향 107
1) 희소(희유)금속이란? 107
(1) 희소(희유)금속의 정의 107
(2) 희소(희유)금속 종류 107
(3) 산업별 희유금속 사용현황 108
2) 도시광산이란? 108
(1) 도시광산 대상 자원은? 109
(2) 도시광산 산업의 활성화 배경과 필요성 110
3) 최근 주요동향 112
(1) 희소금속 소재화 사업 본격 추진 112
(2) 희소금속 산업 생태계 조성 계획 114
(3) 도시광산자원에 대한 표준화된 자원관리기법 개발 120
1-2. 자원개발 투자와 전략광물 자주개발 124
1) 개요 124
2) 자주개발률 실적 125
3) 광물자원 개발 사업 현황 126
(1) 사업수 126
(2) 투자지역 127
(3) 투자 광종 127
(4) 투자액 127
(5) 투자 회수실적 128
(6) 최근의 자원개발 특징 129
1-3. 자원개발기술 전략로드맵 130
1) 개요 130
2) 8대 자원개발기술 전략로드맵 136
1-4. 해외 주요국 도시광산, 희토류 산업동향 154
1) 중국 154
2) 일본 157
3) 기타 국가의 희토류 동향 162
(1) 개요 162
(2) 러시아 166
(3) 미국, EU 167
2. 국내 금속자원 현황 171
2-1. 국내 금속자원 매장량 및 생산량 171
1) 금속자원 전국 매장량 171
2) 금속자원 생산량 174
3) 금속자원 매장량 구성비 175
4) 금속자원 생산량 구성 178
2-2. 국내 금속광산 현황 179
1) 등록 광구현황 179
2) 가행광구 현황 180
3) 광종별 생산 광산 등록현황 182
4) 국내 광물 생산현황 183
3. 해외 희소금속 자원 현황 184
3-1. 주요 희소금속별 시장동향 184
1) 동 184
(1) 최근동향 184
(2) 시장 전망 185
2) 알루미늄(보크사이트) 187
(1) 최근동향 187
(2) 시장전망 188
3) 아연 189
(1) 시장동향 189
(2) 시장 전망 191
4) 연 191
(1) 최근 동향 191
(2) 시장전망 193
5) 니켈 193
(1) 최근 동향 193
(2) 시장 전망 194
6) 주석 197
(1) 최근 동향 197
(2) 시장 전망 198
7) 몰리브덴 198
(1) 최근 동향 198
(2) 시장 전망 199
8) 망간 200
(1) 최근 동향 200
(2) 시장 전망 201
9) 텅스텐 202
(1) 최근 동향 202
(2) 생산 및 소비 동향 203
(3) 시장 전망 204
10) 안티모니 204
(1) 최근 동향 204
(2) 시장 전망 206
11) 크롬 206
(1) 국별 크롬 매장량 206
(2) 시장 전망 207
12) 희토류 208
(1) 최근 동향 208
(2) 시장 전망 211
13) 마그네슘 212
(1) 최근 동향 212
(2) 시장 전망 214
4. 북한지역 금속자원 현황 216
4-1. 개요 216
4-2. 금속자원 매장 현황 217
1) 철 217
2) 동 218
3) 연?아연 218
4) 니켈 218
5) 알루미늄 219
6) 몰리브덴 219
7) 중석 219
8) 망간 220
9) 티타늄 220
10) 마그네사이트 220
4-3. 철, 비철금속 생산현황 221
1) 철 221
2) 동 222
3) 연아연 223
4) 니켈 223
5) 알루미늄 224
6) 몰리브덴 224
7) 중석 225
8) 망간 225
9) 티타늄 226
10) 마그네사이트 226
4-4. 북한의 주요 광산 228
1) 금?은?동 광산 228
(1) 등광광산(장강군 소재) 228
(2) 홀동금광산(연산군 소재) 228
(3) 혜산청년 광산(혜산시 소재 ) 229
(4) 상농광산 련합기업소(허천군 소재) 230
2) 몰리브덴 광산 231
(1) 신파광산(양강도 소재) 231
(2) 부성광산(장진군 소재) 232
(3) 가무리 광산(신계군 소재) 232
3) 철광산 233
(1) 은률철 광산(금산포로동자구 소재) 233
(2) 재령광산(재령군 소재) 233
(3) 천동광산(개천시 소재) 234
4) 마그네사이트 광산 235
(1) 룡양광산(단천시 소재) 235
(2) 대흥광산(단천시 소재) 235
(3) 생장광산(운흥군 소재) 236
(4) 남계광산 237
(5) 쌍룡광산(김책시 소재) 237
5) 중석 광산 238
(1) 만년광산(신평군 소재) 238
6) 연?아연 광산 238
(1) 검덕광업련합기업소(단천시 소재) 238
(2) 성천광산(성천군 소재) 239
(3) 은파광산(은파군 소재) 240
7) 기타 광산 241
(1) 만덕광산(허천군 소재) 241
(2) 상농철 광산(허천군 소재) 241
(3) 덕성철 광산(덕성군 소재) 242
(4) 덕현철 광산(의주군 소재) 243
(5) 오룡철 광산(회령시 소재) 243
(6) 홀동철 광산(연산군 소재) 244
(7) 장방철 광산(해주시 소재) 245
(8) 영삼티탄광산(원산시 소재) 245
(9) 추동철광산(허천군 소재) 245
(10) 무산광산련합기업소(무산군 소재) 246
5. 해외자원개발 목표 및 추진전략 248
5-1. 해외자원개발의 정책방향 248
1) 목 표 248
2) 정책방향 248
5-2. 광종별 자주개발 목표 249
5-3. 해외자원개발 분야 주요 추진과제 250
1) 자원개발 전문기업 육성 및 역량 강화 250
(1) 석유공사 250
(2) 가스공사 252
(3) 광물자원공사 254
2) 전략적 자원개발 추진 256
(1) 자원부국 여건에 따른 맞춤형 협력전략 수립 256
(2) 동반진출 사업의 활성화 258
(3) 해외자원개발 활동에 대한 적합한 평가 및 유인제공 259
3) 자원개발 투자재원 확충 260
(1) 자원개발 금융 활성화 260
(2) 조세 및 융자지원 강화 261
4) 자원개발 인프라 지속 강화 262
(1) 자원개발 서비스산업 육성 262
(2) 자원개발 인력양성 263
(3) 자원개발 연구개발 264
(4) 자원개발 정보수집 분석 및 지원 역량강화 265
5) 新전략광물, 비전통 에너지자원, 극지 개발확대 266
(1) 희유금속의 안정적 확보 266
(2) 비전통 에너지자원 개발 역량 확충 272
(3) 극지개발 추진 273
Ⅲ. 희유금속, 도시광산 관련 사업 참여업체 동향 277
1. 희유금속 관련 주요 업체 사업동향 277
1-1. 현황 277
1-2. 주요 관련업체 동향 280
1) LS-Nikko 동제련(주) 280
(1) LS-Nikko 동제련(주) 개요 280
(2) LS-Nikko 동제련(주) 부문별 사업동향 283
2) 고려아연 289
(1) 고려아연 개요 289
(2) 고려아연 부문별 사업동향 291
3) 포스코엠텍(구, (주)삼정피앤에이) 295
4) (주)영풍 299
5) 희성금속(주) 301
6) 메탈화학 305
7) 한국야금(주) 307
2. 주요 도시광산 관련업체 동향 310
2-1. 현황 310
2-2. 주요 도시광산 업체 동향 312
1) GRM 312
2) 토리컴(구,휘닉스m&m) 313
3) (주)리싸이텍코리아 314
4) 화창 316
5) (주)나인디지트 316
6) (주)리코금속 317
7) (주) 대웅 318
8) (주)GS에코메탈 319
9) 리컴(주) 320
10) 희성피엠텍(주) 321
11) (주)애강리메텍 323
12) 성일하이텍(주) 326
13) 인선이엔티(주) 329
14) 서흥인테크(주) 332
15) (주)포스벨 333
16) (주)Sontec 335
17) GM TECH 336
18) 대구텍(유) 337
19) ㈜대창 338
20) 삼보산업(주) 340
21) (주)우신금속 341
22) (주)지엠에스21 342
23) (주)세아엠앤에스 344
24) ㈜남도이엔지 345
25) 사카팬코리아(주) 345
26) 삼화비철공업(주) 346
27) 신한다이아몬드공업(주) 347
28) 자화전자(주) 349
29) 코리아니켈(주) 351
30) (주)픽슨 352
31) (주)리소스 354
32) 아세아자석공업(주) 355
33) (주)에스알엑스 356
34) (주)천보정밀 356
표목차
Ⅰ. 자원순환산업 현황과 관련산업 정책동향 21
《표1-1》 폐기물 종류별 발생량 전망(톤/일) 25
《표1-2》 EU의 주요 환경규제 27
《표1-3》 년차별 가연성/유기성 폐자원 에너지화율 목표 40
《표1-4》 전국 전처리시설 설치?운영 현황(톤/일) 41
《표1-5》 바이오가스시설 설치?운영 현황(톤/일) 41
《표1-6》 매립가스 에너지화시설 설치ㆍ운영 현황 42
《표1-7》 제2차 순환기본계획의 핵심요소 및 지표 44
《표1-8》 EU 주요 환경 규제 45
《표1-9》 주요 선진국의 자원순환정책 현황 46
《표1-10》 연도별 폐기물 발생 현황 (단위 : 톤/일) 48
《표1-11》 폐기물 성상 변화추이(단위:톤/일) 48
《표1-12》 사업장 배출시설계 폐기물 (단위 : 톤/일) 49
《표1-13》 건설폐기물 성상현황 (단위 : 톤/일) 49
《표1-14》 폐기물 연도별 처리방법 현황 (단위 : 톤/일) 50
《표1-15》 생활폐기물 연도별 처리방법 현황 (단위 : 톤/일) 50
《표1-16》 사업장배출폐기물 처리방법 현황 (단위 : 톤/일) 50
《표1-17》 건설폐기물 연도별 처리방법 현황 (단위 : 톤/일) 50
《표1-18》 폐기물 처리주체별 처리현황(2011) (단위 : 톤/일) 51
《표1-19》 일반 및 지정 폐기물 재활용 실적 (단위 : 개소, 톤/년, 천원) 51
《표1-20》 일반 및 지정 폐기물 재활용업체 현황 (단위 : 개소) 52
《표1-21》 2011년 등록형태별 재활용업체 재활용실적 52
《표1-22》 주요 일반폐기물 재활용추이 (단위 : 천톤/년) 53
《표1-23》 주요 지정폐기물 재활용추이 (단위 : 천톤/년) 53
《표1-24》 폐지 재활용 추이 (단위 : 천톤) 53
《표1-25》 고철 재활용 실적 추이 (단위 : 천톤) 54
《표1-26》 금속캔 재활용 실적 추이 (단위 : 천톤, %) 54
《표1-27》 폐유리 재활용 실적 추이 (단위 : 천톤, %) 54
《표1-28》 폐타이어 재활용 실적 추이 (단위 : 천개, %) 54
《표1-29》 폐윤활유 재활용 실적 추이 (단위 : 톤, %) 54
《표1-30》 연도별 폐기물 해양배출량 추이 (단위 : 천㎥/년) 55
《표1-31》 연도별 종류별 폐기물 해양배출량 추이 55
《표1-32》 부처별 주요 자원순환정책 58
《표1-33》 세부과제별 추진일정 63
《표1-34》 세부과제별 추진일정 65
《표1-35》 세부과제별 추진일정 68
《표1-36》 세부과제별 추진일정 70
《표1-37》 분별해체공사 의무화 대상공사의 분류(안) 73
《표1-38》 세부과제별 추진일정 74
《표1-39》 자원순환특화단지 추진방향 76
《표1-40》 세부과제별 추진일정 78
《표1-41》 세부과제별 추진일정 80
《표1-42》 세부과제별 추진일정 83
《표1-43》 산림바이오매스 일관시스템 85
《표1-44》 세부과제별 추진일정 86
《표1-45》 세부과제별 추진일정 90
《표1-46》 세부과제별 추진일정 93
《표1-47》 기술포럼 주요 논의내용 95
《표1-48》 세부과제별 추진일정 96
《표1-49》 세부과제별 추진일정 100
Ⅱ. 희유금속, 도시광산 자원개발 동향과 전망 107
《표2-1》 희소금속 종류와 원소 108
《표2-2》 희유금속의 산업분야별 수요 분류 108
《표2-3》 주요 대상물질과 관련기업 현황 110
《표2-4》 리튬 수입추이 116
《표2-5》 주요 희소금속의 가격변화 (단위 : ($/톤) 117
《표2-6》 연도별 자주개발율 (단위 : U$백만) 125
《표2-7》 지역별 ’10년 투자실적 및 전년대비 증감률(U$백만불) 128
《표2-8》 투자 주체별 실적 추이 (단위:U$백만) 128
《표2-9》 도시광산 건설사업 관련 정책 156
《표2-10》 주요 도시광산 시범기지 157
《표2-11》 일본의 주요 기초금속의 축적량과 비중 158
《표2-12》 희토류의 종류의 따른 용도 163
《표2-13》 금속자원 전국 매장량 (단위 : 천톤, 사금은 kg) 172
《표2-14》 금속자원 지역별 매장량 (단위 : 천톤, 사금은 kg) 173
《표2-15》 금속자원 생산량 175
《표2-16》 연도별 금속자원 생산량 추이 (단위 : 천톤) 178
《표2-17》 국내 등록 광구현황 180
《표2-18》 국내 가행광구 현황 181
《표2-19》 국내 광종별 생산광산 등록현황 182
《표2-20》 국내 광물 생산현황 183
《표2-21》 2013년 동 세계 전망 (단위 :천톤) 186
《표2-22》 주요 금속자원 남북한 매장량 비교 216
《표2-23》 개발유력대상 북한의 광물자원의 부존가치와 남한
내수시장 비교 217
《표2-24》 철광석 생산량 (단위: 천톤) 221
《표2-25》 공장별 철강 생산능력 (단위: 만톤/년, %) 221
《표2-26》 동 생산량 추이 (단위 : 톤) 222
《표2-27》 연아연 생산량 추이 (단위 : 천톤) 223
《표2-28》 연아연 생산능력 (단위 : 천톤/년) 223
《표2-29》 도별 니켈 광산 수 224
《표2-30》 도별 알루미늄 광산 수 224
《표2-31》 도별 몰리브덴 광산 수 225
《표2-32》 연간 중석 생산량???(중석 : 톤) 225
《표2-33》 도별 중석 광산 수 225
《표2-34》 도별 망간 광산 수 225
《표2-35》 도별 티타늄 광산 수 226
《표2-36》 마그네사이트 생산량?(단위 : 천톤) 226
《표2-37》 주요 마그네사이트 공장 현황 226
《표2-38》 주요 비철금속 공장 현황 227
《표2-39》 등광광산 현황 228
《표2-40》 홀동금 광산 현황 229
《표2-41》 혜산청년 광산 현황 230
《표2-42》 상농광산 련합기업소 현황 231
《표2-43》 신파광산 현황 231
《표2-44》 부성광산 현황 232
《표2-45》 가무리 광산 현황 232
《표2-46》 은률철 광산 현황 233
《표2-47》 재령광산 현황 234
《표2-48》 천동광산 현황 234
《표2-49》 룡양광산 현황 235
《표2-50》 대흥광산 현황 236
《표2-51》 생장광산 현황 236
《표2-52》 남계광산 현황 237
《표2-53》 쌍룡광산 현황 237
《표2-54》 만년광산 현황 238
《표2-55》 검덕광업련합기업소 현황 239
《표2-56》 성천광산 현황 240
《표2-57》 은파광산 현황 240
《표2-58》 만덕광산 현황 241
《표2-59》 상농철 광산 현황 242
《표2-60》 덕성철 광산 현황 243
《표2-61》 덕현철광산 현황 243
《표2-62》 오룡철 광산 현황 244
《표2-63》 홀동철 광산 현황 244
《표2-64》 장방철 광산 현황 245
《표2-65》 영삼티탄 광산 245
《표2-66》 추동철 광산 현황 246
《표2-67》 무산광산련합기업소 현황 247
《표2-68》 자주개발 개념의 구분 249
《표2-69》 단계별 추진 방향 250
《표2-70》 단계별 추진 방향 252
《표2-71》 단계별 추진 방향 254
《표2-72》 3대 지역별 석유?가스개발 협력전략 257
《표2-73》 광종별 중점협력국 및 미래대비 전략국 257
《표2-74》 희유금속 수요전망 (단위: 천톤) 268
Ⅲ. 희유금속, 도시광산 관련 사업 참여업체 동향 277
《표3-1》 주요 대상물질별 관련기업 현황 277
《표3-2》 희유금속 원소별 주요 제조업체 현황(1) 277
《표3-3》 희유금속 원소별 주요 제조업체 현황(2) 279
《표3-4》 LS니꼬동제련(주) 업체 프로필 288
《표3-5》 고려아연(주) 업체 프로필 290
《표3-6》 주요 생산 품목 매출액 비중 (단위 : 백만원) 291
《표3-7》 고려아연 매출추이 (단위 : 백만원) 292
《표3-8》 고려아연 주요 희소금속 제품현황 293
《표3-9》 (주)포스코엠텍 업체 프로필 297
《표3-10》 (주)영풍 업체 프로필 300
《표3-11》 희성금속(주) 업체 프로필 304
《표3-12》 메탈화학 업체 프로필 306
《표3-13》 한국야금(주) 업체 프로필 307
《표3-14》 (주)지알엠 업체 프로필 312
《표3-15》 (주)토리컴 업체 프로필 313
《표3-16》 (주)리싸이텍코리아 업체 프로필 315
《표3-17》 (주)화창 업체 프로필 316
《표3-18》 (주)나인디지트 업체 프로필 317
《표3-19》 (주)리코금속 업체 프로필 318
《표3-20》 (주)대웅 업체 프로필 319
《표3-21》 GS에코메탈 업체 프로필 319
《표3-22》 리컴(주) 업체 프로필 321
《표3-23》 희성피엠텍(주) 업체 프로필 322
《표3-24》 (주)애강리메텍 업체 프로필 325
《표3-25》 성일하이텍(주) 업체 프로필 328
《표3-26》 인선이엔티(주) 업체 프로필 330
《표3-27》 서흥인테크(주) 업체 프로필 332
《표3-28》 (주)포스벨 업체 프로필 334
《표3-29》 (주)Sontec 업체 프로필 335
《표3-30》 GM TECH 업체 프로필 336
《표3-31》 대구텍(유) 업체 프로필 337
《표3-32》 (주)대창 업체 프로필 339
《표3-33》 삼보산업(주) 업체 프로필 340
《표3-34》 (주)우신금속 업체 프로필 342
《표3-35》 (주)지엠에스21 업체 프로필 343
《표3-36》 ㈜세아엠앤에스 업체 프로필 344
《표3-37》 ㈜남도이엔지 업체 프로필 345
《표3-38》 사카팬코리아(주) 업체 프로필 346
《표3-39》 삼화비철공업(주) 업체 프로필 347
《표3-40》 신한다이아몬드공업(주) 업체 프로필 348
《표3-41》 자화전자(주) 업체 프로필 350
《표3-42》 코리아니켈(주) 업체 프로필 352
《표3-43》 (주)픽슨 업체 프로필 353
《표3-44》 (주)리소스 업체 프로필 354
《표3-45》 아세아자석공업(주) 업체 프로필 355
《표3-46》 (주)에스알엑스 업체 프로필 356
《표3-47》 (주)천보정밀 업체 프로필 357
그림목차
Ⅰ. 자원순환산업 현황과 관련산업 정책동향 21
《그림1-1》 자원순환 개념도 21
《그림1-2》 자원순환 개념도 22
《그림1-3》 폐기물관리 정책의 변화 28
《그림1-4》 1인당 GDPㆍ폐기물발생량 증감비 29
《그림1-5》 연도별 폐기물 처리 추이 30
《그림1-6》 연도별 생활계폐기물 처리 추이 31
《그림1-7》 전기ㆍ전자제품 재활용률(안) 37
《그림1-8》 폐자 재활용률 목표 38
《그림1-9》 유리병 재활용률 목표 38
《그림1-10》 페트병 재활용률 목표 39
《그림1-11》 플라스틱(용기류) 재활용률 목표 39
《그림1-12》 일본의 자원순환 개념도 43
《그림1-13》 독일의 폐기물 분류체계 목표 46
《그림1-14》 자원순환기본계획과 관련 계획간 관계 57
《그림1-15》 생활계 유가자원 현행 및 新수거 경로 비교 72
《그림1-16》 국가 폐자원 순환망 개념도 75
《그림1-17》 자원순환망 주요요소 77
《그림1-18》 최적화 권역설정(안) 88
《그림1-19》 최적화 권역설정(안) 89
《그림1-20》 프로그램 체계화 개요 96
《그림1-21》 신규 재활용 방법 검증절차 98
《그림1-22》 역할분담 구조 103
Ⅱ. 희유금속, 도시광산 자원개발 동향과 전망 107
《그림2-1》 도시광산과 자원순환 흐름도 109
《그림2-2》 도시광산 사업모델 개념도 109
《그림2-3》 LED용 갈륨(Gallium) value chain 112
《그림2-4》 세계 희소금속 생산량 현황(점유율, %) 116
《그림2-5》 신성장산업과 희소금속의 관계 116
《그림2-6》 도시광산자원의 이동 및 재자원화 경로 121
《그림2-7》 연도별 전략광물 자주개발률 추이 126
《그림2-8》 사업진출 수 126
《그림2-9》 연도별 투자액 변동추이 127
《그림2-10》 연도별 회수액 변동추이 129
《그림2-11》 자원개발기술 전략로드맵 132
《그림2-12》 세계 매장량 대비 일본 축적량과 순위 158
《그림2-13》 키타큐슈 히비키시 리사이클 단지 161
《그림2-14》 연도별 희토류 가격 상승 동향과 전망 163
《그림2-15》 시대별 희토류 생산량의 변화 164
《그림2-16》 희유금속 국별 매장량/생산량 165
《그림2-17》 희토류 용도별 수요전망 165
《그림2-18》 희토류가 사용되는 산업과 희토류 보유국과 가격동향 167
《그림2-19》 금속광 매장량 구성비 176
《그림2-20》 금속광 잠재가치 구성비 176
《그림2-21》 금속광 도별 매장량 분포현황 177
《그림2-22》 금속광 매장량 증감 현황 177
《그림2-23》 금속자원 생산량 구성비 178
《그림2-24》 금속광 등록?소멸 현황 179
《그림2-25》 금속광 가행 광구수 현황 181
《그림2-26》 지역별 니켈 공급 전망 195
《그림2-27》 지역별 니켈 수요 전망 196
Ⅲ. 희유금속, 도시광산 관련 사업 참여업체 동향 277
《그림3-1》 고려아연 주요 생산품목 289
영국 명연설문 베스트 30

도서명 : 영국 명연설문 베스트 30
저자/출판사 : 강홍식, 탑메이드북
쪽수 : 336쪽
출판일 : 2013-09-15
ISBN : 9788971727119
정가 : 15000
SPEECH 01 David Cameron’s Commons Tribute to Margaret Thatcher
데이비드 캐머런의 하원에서의 마거릿 대처 조사(弔詞)
SPEECH 02 Deputy Prime Minister Nick Clegg’s Speech on Immigration
닉 클레그 부총리의 이민 연설
SPEECH 03 UK Chancellor’s Budget Speech 2013
영국 재무장관의 2013 예산 연설
SPEECH 04 UK Prime Minister’s 2013 Davos Forum Speech
영국 총리의 2013 다보스 포럼 연설
SPEECH 05 Aung San Suu Kyi’s Nobel Peace Prize Speech
아웅산 수지 여사의 노벨 평화상 수상 소감
SPEECH 06 Queen Elizabeth II’s Christmas Message 2012
엘리자베스 2세의 2012 크리스마스 메시지
SPEECH 07 Foreign Secretary’s Conservative Party Conference Speech
외무장관의 보수당 의원총회 연설
SPEECH 08 Ed Miliband’s Speech to Labour Party Annual Conference
에드 밀리밴드의 연례 노동당 의원총회 연설
SPEECH 09 Nick Herbert’s Speech on Criminal Justice Reform
닉 허버트의 형사 사법 개혁 연설
SPEECH 10 David Cameron’s First Speech as Prime Minister
데이비드 캐머런의 총리 취임 연설
SPEECH 11 Gordon Brown’s Farewell Speech
고든 브라운의 고별사
SPEECH 12 Jacqui Smith’s Speech to Labour Party Annual Conference
재키 스미스의 연례 노동당 의원총회 연설
SPEECH 13 J.K. Rowling’s 2008 Harvard Commencement Speech
J.K. 롤링의 2008년 하버드 졸업 연설
SPEECH 14 Tony Blair’s Speech to Launch the Faith Foundation
토니 블레어의 종교 재단 출범 연설
SPEECH 15 Tony Blair’s London Bombing Speech
토니 블레어의 런던 폭탄 테러 연설
SPEECH 16 Tony Blair’s General Election Victory Speech
토니 블레어의 총선 승리 소감
SPEECH 17 Margaret Thatcher’s Eulogy ? Late Ronald Reagan
마거릿 대처의 고 레이건 대통령 조사(弔詞)
SPEECH 18 Robin Cook’s Resignation Speech
로빈 쿡의 사임 연설
SPEECH 19 Queen Elizabeth II’s Jubilee Speech
엘리자베스 2세의 즉위 50주년 기념 연설
SPEECH 20 Kofi Annan’s Nobel Peace Prize Speech
코피 아난의 노벨 평화상 수락 연설
SPEECH 21 Earl Spencer’s Eulogy for Princess Diana
스펜서 백작의 다이애나 왕세자비에 대한 송덕문
SPEECH 22 Nelson Mandela’s Inaugural Address
넬슨 만델라의 대통령 취임 연설
SPEECH 23 Princess Diana’s Speech on Depression
다이애나 왕세자비의 우울증에 대한 연설
SPEECH 24 Nelson Mandela’s Nobel Peace Prize Speech
넬슨 만델라의 노벨 평화상 수락 연설
SPEECH 25 Margaret Thatcher’s 1982 Falklands Invasion Speech
마거릿 대처의 1982년 포클랜드 제도 침공 규탄 연설
SPEECH 26 The Lady’s Not for Turning
이 사람은 돌아가지 않겠습니다
SPEECH 27 Margaret Thatcher’s Remarks on Becoming Prime Minister
마거릿 대처의 총리 취임 연설
SPEECH 28 Winston Churchill’s Iron Curtain Speech
윈스턴 처칠의 철의 장막 연설
SPEECH 29 Winston Churchill’s Blood, Toil, Tears and Sweat Speech
윈스턴 처칠의 피, 수고, 눈물, 땀 연설
SPEECH 30 Edward VIII’s Abdication Speech
에드워드 8세의 퇴위 연설
★부록★ 영국식 영어발음과 표현 바로 알기
1. 영국식 발음의 6대 특징(미국식 발음과 비교해서)
2. 영국 영어와 미국 영어의 차이
3. 영국식 발음과 영국식 영어 공부 관련 팁
4. IELTS 및 영국 명연설문에 자주 나오는 숙어
5. 미국 아나운서 발음규칙 52가지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