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인 영어교수를 위한 외래어 활용 방안 또는 득도하는 수련법
땅끝
2025-05-09 07:09
78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72회 연결
본문
효과적인 영어교수를 위한 외래어 활용 방안

도서명 : 효과적인 영어교수를 위한 외래어 활용 방안
저자/출판사 : 천승미, 한국학술정보
쪽수 : 284쪽
출판일 : 2012-05-01
ISBN : 9788926833353
정가 : 20000
머리말
제1장 서 론
제2장 어휘교육
제1절 어휘교육의 중요성
제2절 코퍼스를 이용한 어휘교육
제3절 외래어를 이용한 어휘교육
제3장 외래어
제1절 외래어 표기문제
제2절 외래어 사용실태
제4장 외래어 전자사전의 구축
제1절 외래어 어휘 데이터 구축
제2절 데이터 원어 구축
제3절 데이터 분류
제4절 외래어 어휘의 음차 변이형 구축
제5절 대표형 설정
제5장 코퍼스를 이용한 외래어 어휘 데이터 구축
제1절 코퍼스 구축과 분석
제6장 전자사전(EDUT)의 개발
제1절 부분문법이론
제2절 EDUT의 구축
제7장 외래어 전자사전의 활용 방안
제1절 영어교재의 개발
제2절 발음 교육
제3절 사전을 활용한 영어 어휘교육
제8장 결론
<자료 1> UNITEX_FSTgraphs
<자료 2> FST 그래프 초콜렛(chocolate)의 태킹 예
REFERENCES
BIBLIOGRAPHY 자료> 자료>
득도하는 수련법

도서명 : 득도하는 수련법
저자/출판사 : 윤태현, 안암문화사
쪽수 : 512쪽
출판일 : 2010-07-06
ISBN : 9788972350378
정가 : 29000
서문
제 1장 도가
제 1절 도가의 맥류
1. 황제
2. 노자
3. 여동빈
4. 장삼풍
5. 용문파 오충허
6. 유화양
7. 조피진
제2절 단법이란 무엇인가
1. 단법의 3대 요소
가. 조식
나. 조심
다. 조신
2. 단법의 3대 보배
가. 정
나. 기
다. 신
제 2장 도가의 수련법
제 1절 기초 입문
1. 운동법
2. 정신 통일법
가. 이완법
나. 수식법
다. 단전호흡법
제2절 주천
1. 소주천이란 무엇인가
가. 운기법과 소약 채취법
나. 감리교구
2. 대주천 운기법
3. 소, 대 주천이 운기되면 일어나는 현상
가. 현상
나. 치유되는 질병
다. 예방에 효과 있는 질병
제 3절 단의 형성과 출태
1. 단을 만드는 법
가. 성명 합일
나. 십계
다. 9기 존양
라. 단이 형성될때 나타나는 현상
2. 복식
3. 도태
4. 출신
가. 육신통
제 4절 양신이 아온 인물들
1. 우리나라
가. 진묵대사
나. 이 토정
다. 정 북창
2. 중국
가. 혜능 선사
나. 마조 선사
다. 조주 대사
라. 제갈량
마. 적무 선사
3. 기타
가. 예수
제 3장 요가와 불교 이론
제 1절 인도 철학과 요가
1. 인도 철학
2. 요가
가. 쿤달리니
나. 차크라 즉 법륜
3. 공 이론
제 2절 불교 이론
1. 사성제와 팔정도
가. 사성제
나. 팔정도
2. 12연기설
3. 사법인
4. 공 이론
5. 여래장
6. 육식론
7. 선정과 삼마지
가. 집중
나. 선정
다. 삼마지
8. 기타 이론
가. 소송과 대승
나. 법륜
다. 세친의 삼자성설
라. 삼신불
제 3절 석가의 신통력
제4장『안반수의경』에 의한 수련법
제1절 안반수의의 의미
1. 안과 반과 수의
2. 육사의 의미
제 2절 육사의 종류
1. 수식
2. 상수
3. 지
가. 선정의 종류
4. 관
가. 관법
나. 법륜의 종류
5. 환
6. 정
7. 육사 설명
제3절 『안반수의경』의 기타 중요이론
1. 공과 기에 대한 이론
가. 도를 행하는 삼요소
나. 도를 행함
다. 공에 들어가는 방법
2. 불과
가. 수다원과
나. 사다함과
다. 아나함과
라. 아라한과
마. 벽지불과
제 5장 능엄경에 의한 수련법
제 1절 여래장
1. 법회개최
2. 여래장의 종류
가. 육식의허상을 밝힘
나 오온의 허상을 밝힘
1)색음
가) 성품설
2) 수음
3) 상음
4) 행음
5) 식음
다. 육입의 허망함을 밝힘
라. 12처의 허망함을 밝힘
마. 18계의 허망함을 밝힘
바. 칠대 원소
사. 칠대 원소를 종합시킴
3. 여래장의 비유
제 2절 법륜을 돌리는 법
1. 유위법
2. 법륜 즉 소주천을 돌리는 법
3. 중도 사상
4. 공을 깨닫는 방법
5. 득오법
가. 육진오
나. 육근오
다. 육식오
라. 칠대오
6. 법왕자들의 종합적인 수련방법
가. 관세음보살 방법
나. 문수보살 방법
7. 계정혜 세 가지 수양
제 3절 수련 비법
1. 상근기를 닦는 방법
2. 중하근기를 닦는 방법
3. 관조
4. 상근을 만드는 방법
5. 기단을 만듬
6. 중근기와 하근기 수련법
7. 만다라 설치
제 4절 단 즉 보주 형성법
1. 혜명
2. 단의 형성
3. 도태와 출산법
가. 십신
나. 십주
다. 신행
라. 십회향
마. 사가행
바. 십지
사. 등각위
아. 금강혜
자. 묘각
제 6장 화엄경에 의한 수련법
제 1절 수련법
1. 십신
2. 십주
3. 십행
4. 십회향
5.십지
6. 등각
7. 묘각
제 7장 기타 경전에 의한 수행법
제1절 육바라밀경에 의한 수행법
1. 보시바라밀
2. 지계바라밀
3. 인욕바라밀
4. 정진바라밀
5. 선정바라밀
가. 선정바라밀 종류
나. 신통 지혜
다. 방편과 지혜 수행
라. 선정 삼매
마. 선정의 종류
6. 지혜바라밀
가. 지혜바라밀의 비유
나. 8선교의 수련법
제2절 『반야심경』의 재해석
1. 설교시기
2. 『반야심경』의 해석
제 3절 수련법의 종합
1. 운동
2. 자세
3. 단전호흡법
4. 감리교구
5. 소주천 운기법
가. 소주천 운행 공법가
6. 대주천 운기법
7. 단의 형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