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과 한국상고사의 제문제 또는 한국의 경제개발계획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고고학과 한국상고사의 제문제 또는 한국의 경제개발계획

땅끝
2025-05-09 07:09 82 0

본문




고고학과 한국상고사의 제문제
9788962460407.jpg


도서명 : 고고학과 한국상고사의 제문제
저자/출판사 : 최정필, 주류성
쪽수 : 375쪽
출판일 : 2010-02-25
ISBN : 9788962460407
정가 : 25000

제Ⅰ장 선사문화의 접근 17
1. 선사시대 17
2. 고고학과 선사학 20
3. 고고학과 역사학 23
4. 고고학과 인류학 25
1) 체질인류학 27
2) 문화인류학 28
5. 고고학의 학문적 목표 31
1) 문화사의 복원 32
2) 과거사회의 생활양식 설명 34
3) 문화의 변천과정 설명 36
6. 고고학과 문화 38

제Ⅱ장 고고학의 발달 43
1. 19세기 이전 43
2. 19세기 53
3. 20세기 초반 73
4. 1960~2000년 82
1) 신고고학과 후기과정주의 82
2) 후기과정주의 89
3) 젠더 고고학과 경관고고학 96

제Ⅲ장 신석기 연구의 현황과 과제 101
1. 머리말 101
2. 연구사적 검토 104
3. 쟁점 및 검토 114
1) 토기의 전파와 편년문제 115
2) 농경의 제문제 121
3) 주민구성문제 132
4. 과제 및 전망 135

제Ⅳ장 인류학상으로 본 한민족 기원연구의 재검토 141
1. 머리말 141
2. 형질인류학과 한민족의 기원 145
1) 인종과 형태학적 분류의 문제점 146
(1) 피부색 148
(2) 두개골의 형태 151
(3) 눈꺼풀의 형태 154
3. 한민족의 기원과 종족명칭 문제 160
1) 古아시아족 161
2) 퉁구스족 166
4. 고고학과 한민족의 기원 172
1) 신석기시대와 고아시아족 설 174
2) 청동기시대와 주민교체 설 180
5. 맺음말 184

제Ⅴ장 농경도구를 통해 본 한국 선사농경의 기원 189
1. 머리말 189
2. 한반도 원시농경문화의 전개 192
3. 도작의 발생과 농경도구 200
4. 반월형 석도 206
1) 장방형석도 208
2) 즐형석도 210
3) 어형석도 212
4) 주형석도 214
5) 삼각형석도 217
5. 맺음말 218

제Ⅵ장 신진화론과 한국상고사 해설의 비판에 대한 재검토 223
1. 머리말 223
2. 문화진화론의 역사적 배경 227
3. 신진화론과 문화단계의 분류문제 230
4. 족장사회(Chiefdom) 248
1) 문화단계로서의 족장사회 249
2) 족장사회의 식별과 적용문제 253
3) 족장사회의 연구현황 261
5. 맺음말 268

제Ⅶ장 한국 상고사와 족장사회 271
1. 머리말 271
2. 족장사회의 성향과 최근 연구경향 274
3. 족장사회와 지석묘 287
4. 맺음말 304

부록
제Ⅷ장 DEVELOPMENT OF SUBSISTENCE PATTERNS IN
NEOLITHIC CULTURE IN KOREA 309
Introduction 309
Ⅰ. The Bissalmuneui Period 311
Ⅱ. Perspectives on Hunter-Gatherer Subsistence and
Small-Scale Cultivation 314
Ⅲ. Post-Pleistocene Environment and Social Conditions
on the Korean Peninsula 317
Ⅳ. Subsistence and Settlement in the Early Bissalmuneui
Subperiod 326
Ⅴ. Subsistence in the Middle Bissalmuneui Period 338
Discussion and Conclusions 344




한국의 경제개발계획
9788942330966.jpg


도서명 : 한국의 경제개발계획
저자/출판사 : 변형윤, 지식산업사
쪽수 : 652쪽
출판일 : 2012-10-15
ISBN : 9788942330966
정가 : 35000

발간사

제1편 개발의 논리와 경제개발계획
한국의 경제개발계획
한국의 계량경제학적 모형
개발계획은 경제정책 속에서: 5개년계획의 실적과 전망에 관하여
경제개발계획
외국차관 도입과 근대화 문제
Economic Models for Planning and Policy Making
경제계획과 국토개발의 재원 조성
한국경제의 진단과 반성: 자주적 근대화의 방향과 한국경제
민간주도형 경제란 무엇인가
경제계획 10년의 결산
서평《산업연관과 경제개발》
서평《경제개발계획》
서평《한국의 경제사상ㆍ이론ㆍ현실》
서평《한국자본주의론》
서평《민족경제론》ㆍ《전후 30년의 세계 경제사조》: 민중을 위한 경제학의 모색
서평《21세기 시민경제 이야기》: 우리가 직면한 경제현실에 대한 진단
경제개발 5개년계획, 나는 이렇게 본다
경제계획 조기 달성을 서두르지 말라
3차 5개년계획: 상위 중진국에의 청사진, 그 허와 실
대담-경제계획과 GNP
3차 5개년계획: 인구ㆍ고용 부문
5차 계획의 전략과 전술: 물가안정이 선진된 교두보
5차 계획 수정의 길
경제개발전략
민간주도경제
7차 계획의 성패
경제계획의 조정기간

제2편 발전전략과 경제정책
민족형명형 개발정책에로의 전환
새로운 경제정책의 방향
한국의 경제정책
1백억 달러 수출 이후의 경제정책 방향
한국 경제정책 20년 결산
경제현실과 경제정책: 제5차 5개년계획 수정 발표에 부쳐
한국 경제정책의 개관
석유파동이 한국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중화학공업 투자조정과 경제안정의 과제
'80년 국내 경제전망과 정책선호
석유난 타개를 위한 시책과 방향
스크랩화 절실한 중화학공업, 통폐합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
Change in the Global Economic Order and Challenges for the Korean Economy
대담-선량의 역할과 책임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