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교육혁명 또는 디버블링
땅끝
2025-05-09 07:09
84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14회 연결
본문
스마트 교육혁명

도서명 : 스마트 교육혁명
저자/출판사 : 천세영 , 김진숙 , 계보경 , 정순원 , 정광훈, 21세기북스
쪽수 : 208쪽
출판일 : 2012-08-28
ISBN : 9788950938789
정가 : 13000
프롤로그 스마트 교육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1부 2015년, 교육을 혁명하라!
01 교실 이데아
지금 우리 교육은 스마트한가
디지털 세대가 원하는 교육
디지털 세대는 교과서를 뛰어넘는다
1등 없는 교육이 시작된다
국·영·수가 중요하던 시대는 갔다
02 우리 교육, 이것이 문제다
우리 교육은 재미가 없다?
우리 교육은 예나 지금이나 똑같다?
우리 교육은 결과만 중요하다?
우리 교육은 학벌을 중요시한다?
03 교육 혁명의 물꼬를 터라
학교가 사라진다?
사회와 학교의 경계가 무너지다
학교를 재정의하다
학습이 된 놀이, 놀이가 된 학습
부모의 마인드 변화가 먼저다
교사는 가르치는 사람이 아닌 도와주는 사람
본연의 교육으로 돌아가자
04 세계는 이렇게 변하고 있다
미국의 NETP 2010
핀란드의 이노스쿨
일본의 FSP 프로젝트
싱가포르의 퓨처스쿨
호주의 스마트 교실
[쉬어 가기] 디지털 기술은 우리 아이들을 어떻게 변화시켰는가
2부 21세기형 인재를 기르는 스마트 교육
05 미래는 어떤 인재를 원하는가
성공의 기준이 변하고 있다
세상과 자유롭게 소통하라
실전형 기술을 보유하라
21세기형 인재가 가져야 할 5C
06 아이가 행복한 교실 혁명, 스마트 교육
스마트 교육은 개인별 맞춤형 교육이다
스마트 교육은 모두에게 기회를 주는 교육이다
스마트 교육은 스스로 선택하는 교육이다
스마트 교육은 지식과 소통하는 교육이다
07 스마트 교육, 무엇이 핵심인가
‘SMART’ 교육이란
스마트 교육의 핵심은 기술이 아닌 교육이다
스마트 교육의 세 가지 기본 관점
스마트 교육의 5대 과제
스마트 교육의 순기능과 역기능
[쉬어 가기] 우리 아이들은 어떤 교실에서 학습해야 하는가
3부 디지털 시대, 스마트 교육으로 완성하라!
08 스마트 교육을 통한 다섯 가지 변화
모든 지식이 담긴 디지털 교과서의 시대
누구나 듣고, 제대로 평가하는 교육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교육
자유로운 교육을 위한 법과 제도
스마트한 교사의 탄생
09 스마트 교육 시대를 여는 디지털 교과서
디지털 교과서란 무엇인가
디지털 교과서를 사용해야 하는 세 가지 이유
상상했던 것이 현실이 되다
기존 교육이 갖고 있던 한계를 뛰어넘다
제대로 된 콘텐츠 오픈 마켓이 필요하다
10 즐겁게 배우는 스마트 교실
세상과 교실의 경계를 허물다 - 통합 교실 수업
소통으로 새로운 가치를 만들다 - 창의 체험 활동 수업
스마트한 소통이 학습의 질을 높인다 - 일반/특별 교실 수업
11 모두에게 열려 있는 온라인 수업
배우고 싶은 것을 배우게 하다 - 미개설 과목 온라인 수업
학교를 옮겨도 문제 없이 - 집중 이수 수업으로 인한 미이수 과목의 온라인 수업
학교에 가지 못해도 - 원격 화상 온라인 수업
학원보다 더 다양한 수업 기회를 - 방과후 보충 심화 수업
[쉬어 가기] 열린 공간, 자유로운 선택 - 사이버가정학습
에필로그 스마트 교육이 만드는 미래
디버블링

도서명 : 디버블링
저자/출판사 : 우석훈, 개마고원
쪽수 : 568쪽
출판일 : 2011-02-21
ISBN : 9788957691182
정가 : 27000
■ 서문
■ 프롤로그│토건 경제, 생태계 그리고 재생산
‘한국 자본주의’의 재생산력
5만원권과 난설헌 허초희
다산 정약용과 실학, 그리고 생태학
백사 이항복과 ‘개도맹정신’
차별의 재생산과 생식의 차별
생태계, 재생산되지 않는 것: 복원성의 문제
경제를 죽여야 경제가 산다
1장 * 생식의 위기, 가족의 위기
1. 생태학, 섹스의 학문
2. 맬서스와 제임스 밀 그리고 존 스튜어트 밀
3. 결혼과 동거
4. 모노가미와 폴리가미: 한국 신자유주의와 위기의 모노가미
5. 가족의 확장, 게이 가족 그리고 연대 가족
6. 생식의 위기인가, 섹스의 위기인가?
2장 * 토무현, 토명박, 토근혜, 그리고 토건의 완성
1. 회복력과 천이
2. 시장이 문제인가, 토건이 문제인가?: 탈토건 1세대의 등장
3. 토무현의 토건주의, 토명박의 공사주의
4. 공사주의, 파국으로의 질주
3장 * 2012년 대선과 탈토건의 정치경제학
1. 4퍼센트의 승리와 11퍼센트의 승리, 미국과 일본의 변화 사이
2. 박근혜가 탈토건의 희망이 될 수 있을까?
3. 국토 생태의 정치경제학
4. 탈토건의 끼어들기와 새 판짜기: 마이너들의 정치 전략
5. 골프 동맹군
6. 2012년, 탈토건 대연정
4장 * 디버블링과 국민경제의 생태적 대전환
1. 두 경제학자 이야기
2. 생태적 전환의 기본 모델
3. 일주일에 이틀 일하는 정규직, 재택근무 그리고 완전 연봉제
4. 사교육 폐지, 주 4일제 수업
5. 등록금100만원 시대
6.‘ 집’ 대신 ‘방’을 꿈꾸는 세대를 위한 주거권 논의
7. 디폴트와 모라토리엄 그리고 공간의 위기
8. 교통 문제와 무료 버스 운행
9. 탈토건의 정부체계 개편
10. 생태적 세제개편
11. 주상복합의 비극 그리고 공간의 재구성
12. 생태적 삶과 국민들의 경제생활, '마케팅 사회'의 해체
■ 에필로그│푸어맨스 무디 블루스
■별첨1 생태경제학의 짧은 역사
■별첨2 독습자를 위한 짧은 참고문헌록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