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멘터리 만들기. 2: 전문가편(5/E) 또는 기적의 도서관
땅끝
2025-05-09 07:09
95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01회 연결
본문
다큐멘터리 만들기. 2: 전문가편(5/E)

도서명 : 다큐멘터리 만들기. 2: 전문가편(5/E)
저자/출판사 : 마이클 래비거, 비즈앤비즈
쪽수 : 396쪽
출판일 : 2012-06-15
ISBN : 9788997716036
정가 : 27000
서문_9
2권 전문가 단계
제6부: 다큐멘터리 미학
17장 시점과 스토리텔러 _17
18장 극적 전개, 시간, 서사 구조 _42
19장 형식, 통제, 스타일 _78
20장 재연, 재구성, 다큐드라마 _87
제7부: 다큐멘터리 제작
제7부 A: 사전 제작
21장 사전 조사 _99
22장 가치 및 윤리, 선택 등의 문제 _112
23장 전문 다큐멘터리 제안서 작성 _123
24장 연출 준비 _132
제7부 B: 제작
25장 렌즈 _148
26장 카메라와 기타 장비 _160
27장 로케이션 사운드 _184
28장 조직, 스태프, 제작 진행 _202
29장 연출 _213
30장 인터뷰 진행과 촬영 _227
제7부 C: 후반 작업
31장 녹취에서 대본까지 _253
32장 내레이션 쓰기 _261
33장 음악 사용, 작곡가와 함께 일하기 _275
34장 편집: 수정 및 구조의 문제 _285
제8부: 교육과 경력 쌓기
35장 교육 _297
36장 학교에서 영화산업으로 _314
부록 _326
번역을 마치며 _394
기적의 도서관

도서명 : 기적의 도서관
저자/출판사 : 정기용, 현실문화
쪽수 : 341쪽
출판일 : 2010-11-20
ISBN : 9788965640028
정가 : 25000
여는 글 - 도정일
서문
1장
불꽃
도정일 선생님의 근대 프로젝트
사회가 원하는 건축, 사회를 대변하는 건축주
창조적 만남들
도정일 선생님의 짧은 글 거대한 효과: 김영희 PD와의 만남
책사회와 지방자치단체의 만남
맹렬 아줌마들과의 만남
새로운 시작: 협치의 건축
과정과 현실
기적의 도서관을 위한 이미지 스케치: 개념의 산책
2장
우주 속의 미로, 순천 기적의 도서관
터와 배치: 전체 문장을 바꾸는 새로운 단어
새로운 건축풍경 만들기
외부 이미지: 건물을 바라보는 것도 건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나의 집과 같은 도서관 만들기: 책도 만나고 세상도 만나고
진입공간: 사회와 만나는 열린 공간
열람공간: 골목(서가 사이)과 마당(오목 공간)과 작은 방(아빠랑 아가랑)이 어우러져 있는 열람실
다목적실: 미로(지혜의 샘)를 머리 위에 인, 에워싸고 에워싸이는 공간
증축: 새로운 요구들을 수용하다
증축의 건축원칙: 다르게 그러나 함께
근린공원을 설화공원으로
짧은 공기 적은 예산: 그러나 모두 함께 치른 건축생산의 거버넌스 전쟁
바람직한 사회디자인이란? 그리고 젊은 어머니들의 감응……
공원 속의 정자, 진해 기적의 도서관
터(대지): 이 세상의 모든 터는 하나이고, DNA를 갖는다
외부공간 계획도 건축이다
진입: 모든 사람들은 밖에서 안으로 들어간다
건축은 필연적으로 주변과 관계를 맺을 수밖에 없다
빛에 대하여
색채계획: 어른들이 선호하는 어린이 색은 도서관이 원하는 색이 아니다
‘작은’ 큰 열람실
작은 다목적실 증축: 절실히 요구된 소통과 이벤트 공간
건축가, 자기모순과 만나다
이이효재 선생님의 기쁨
풍경과 정원, 제주 기적의 도서관
입지: 동네 한복판, 평범한 땅, 조절된 풍경
대지에 대한 해석: 동서남북, 하늘과 땅과 대응하기
하늘과 만나기: 마을의 정원
동네에서 도서관으로 들어가다: 작은 쉼표, 큰 괄호
너무나 쉬운 해결책: 녹색 플라스틱
남쪽 빛으로 열린 열람실
삼각형 천창
세 개의 벽감(壁龕, niche)
아직 실현되지 않은 계획들
지혜의 오름, 서귀포 기적의 도서관
제주도에서 집짓기
터: 한라산이 바라보이는 소나무공원 끝자락
나무와 건축: 건축은 늘 나무를 필요로 하지만 나무는 건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오름: 소나무를 심은 타원형의 큰 화분
도서관과 공원을 연결하는 올레
도시를 연속시키는 빨간 기둥
도시건축과 의미의 생성
타원형 오름의 생성
사서데스크로 다가서는 올레
훈육의 공간에서 자유로운 공간으로
건축 외관의 색은 어떻게 정하는가?
무지개와 달팽이, 정읍 기적의 도서관
분석과 종합
달팽이 공간과 무지개 공간: 숨은 공간과 꿈꾸는 공간
소통의 건축: 말하는 건축, 말을 거는 건축
비닐하우스: 흙으로 채소를 키우는 비닐하우스와 책으로 아이들을 자라게 하는 도서관
꿈꾸면서 느리게 자라기
야경: 밤에 달팽이가 지붕 위를 걷다
무지개: 건축의 소통을 쉽게 하는 언어
가변적 전시공간
개관 전: 정읍초등학교 어린이들이 주인공이 된 잔치
다목적공간: 집단적 소통의 장소
열람실과 다양한 방들
창
작은 연못: 물로 쓴 책
남아 있는 숙제들: 아이들과 노인들이 만나는 정원은 불가능한가?
연속된 대지의 풍경, 김해 기적의 도서관
김해와 가야: 설화와 역사의 땅
율하1지구 신도시 개발지역
터: 개울 따라 만들어진 선형의 공원
집으로 풍경 만들기
지붕: 집의 원형질, 지붕열람실
녹색 지붕: 연속된 대지의 풍경, 등나무열람실
기능에 따른 채 나눔
단숨에 읽히지 않는 건축: 움직임을 통해서만 파악되는 건축
어깨동무 담을 지나 역사의 길을 지나 책 읽어주는 할머니를 만나다
외부 입면에 진열된 책
열람실: 4차원의 방, 신화의 방
별 따러 가는 길
지구를 생각하는 건축, 녹색의 방
3장
지금 기적의 도서관은?
기적의 도서관 답사 중 인터뷰
건축개요 및 운영현황
맺는 말: 협치의 건축
통치에서 협치로
건축의 협치
문제도 이 땅에 있고 해법도 이 땅에 있다
건축: 사회디자인
좋은 건축, 좋은 도시에 살 권리
주석
(주1) 도정일 선생님의 근대 프로젝트
(주2) 시카고의 ‘앵무새’ 열풍
(주3) 느낌표 출연진들과 아이들의 만남
(주4) 동화나라의 행복한 할머니 - 이이효재
부록
책읽는사회만들기국민운동
기적의 도서관 협약서
순천 어린이 도서관 건립 및 운영계약서
실태조사
어린이 전용 공공도서관 건립 기본계약서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