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N3 청해(일본어능력시험답다) 또는 중앙아시아 분쟁과 이슬람
땅끝
2025-05-09 07:09
91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03회 연결
본문
NEW N3 청해(일본어능력시험답다)

도서명 : NEW N3 청해(일본어능력시험답다)
저자/출판사 : 이종권, 사람in
쪽수 : 201쪽
출판일 : 2010-10-18
ISBN : 9788960491847
정가 : 13000
일본어능력시험의 이해
청해 만점을 위한 워밍업
1. 기본 연습
(1) 발음
(2) 숫자와 수사
(3) 뉘앙스 파악
(4) 문제를 잘 듣는다.
(5) 필요한 정보를 찾아 듣는다.
(6) 들은 정보를 다른 말로 바꾼다.
(7) 마지막에 나오는 포인트를 놓치지 않는다.
(8) 오답을 정리한다.
(9) 질문의 요점을 파악한다.
2. 메모의 기술
(1) 대상 (몇 명, 몇 개, 누구, 어떤 등)
(2) 날짜, 요일, 시간 등
(3) 숫자 (금액 등)
(4) 기타 (그림 보고 답하기)
3. 청해를 위한 문법
(1) 축약형
(2) 종조사
(3) 기타
청해 만점을 위한 실전 연습
1. 문제 유형별 집중 연습
문제 유형1
문제 유형2
문제 유형3
문제 유형4
문제 유형5
2. 실전 대비 모의고사
모의고사 제1회
모의고사 제2회
모의고사 제3회
스크립트&정답
해답 용지 3회분
중앙아시아 분쟁과 이슬람

도서명 : 중앙아시아 분쟁과 이슬람
저자/출판사 : 장병옥, 한국학술정보
쪽수 : 478쪽
출판일 : 2012-02-17
ISBN : 9788926831700
정가 : 25000
■머리말
Chapter 01
중앙아시아 지역의 분쟁과 이슬람 원리주의
Ⅰ. 중앙아시아 지역의 이슬람화 과정
Ⅱ. 이슬람 정체성과 원리주의 운동
Ⅲ. 중앙아시아 분쟁과 이슬람 원리주의
Chapter 02
중앙아시아 이슬람 원리주의 단체
Ⅰ. 정치색을 띤 이슬람 단체
Ⅱ. 범이슬람 부흥당(IRP)
Ⅲ. 우즈베키스탄 이슬람 운동(IMU)
Ⅳ. 이슬람 해방당(HT)
Ⅴ. 아크로미야(Akromiya)와 이슬람 지하드 단체(IJG)
1. 아크로미야(Akromiya)
2. 이슬람 지하드 단체(Islamic Jihad Group, IJG)
Ⅵ. 이슬람 세계와 서구 세계의 시각의 편차
Chapter 03
남북 분단의 아제르바이잔-이란과의 역사적 관계
Ⅰ. 역사적으로 중동의 일부였던 아제르바이잔
Ⅱ. 아제르바이잔의 정체성과 이란
1. 역사-문화적 배경
2. 아제르바이잔 정체성과 이란의 영토보전
Ⅲ. 아제르바이잔 이슬람과 이란 관계
1. 이슬람과 정체성
2. 이란-아제르바이잔 관계
Ⅳ. 남북 아제르바이잔 통일과 주변 강대국
Ⅴ. 아제르바이잔의 과제
Chapter 04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의 원인
Ⅰ. 나고르노-카라바흐 비극의 기원
Ⅱ.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의 역사적 배경
Ⅲ. 인구학적 나고르노-카라바흐 문제
1. 제정 러시아 시대
2. 소련 강점기
Ⅳ. 분쟁의 성격
1. 민족적 분쟁
2. 이슬람-기독교 종교적 분쟁
3. 영토적 분쟁
4. 정치적 분쟁
Ⅴ.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간의 민족주의적 분쟁
Chapter 05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과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평화과정
Ⅰ. 비극적인 분쟁의 발단
Ⅱ.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의 초기 양상
Ⅲ.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의 전개과정
Ⅳ.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평화과정
Ⅴ. 분쟁 종식을 위한 제안
Chapter 06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과 국제관계
Ⅰ. 민족국가 수립의 갈등과 외세개입
Ⅱ.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과 러시아의 외교정책
Ⅲ.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과 이란-터키 관계
1. 이란-터키 패권관계
2. 아제르바이잔-이란-아르메니아 관계
Ⅳ. 미국의 정책과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
1. 미국의 국익과 파이프라인 전략
2. 미국의 정책
Ⅴ. 카라바흐 분쟁에 있어서의 UN과 NATO
1. UN
2. NATO
Ⅵ. 중앙아시아를 둘러싼 역학관계
Chapter 07
체첸-러시아 갈등의 역사와 이슬람 세력화
Ⅰ. 이슬람과 체첸 민족 공동체
Ⅱ. 체첸 민족문화와 이슬람
1. 체첸 민족문화와 사회
2. 체첸 민족의 이슬람화
Ⅲ. 체첸-러시아 갈등의 역사
1. 러시아의 남진정책과 카프카스 1~2차 전쟁
2. 체첸의 이슬람 민족국가 건설과 투쟁의 역사
Ⅳ. 체첸 수피 이슬람 종단의 對러시아 항전
Ⅴ. 체첸의 이슬람 민족주의
Chapter 08
체첸-러시아 분쟁의 원인과 전개과정
Ⅰ. 체첸-러시아 분쟁 개관
Ⅱ. 분쟁의 원인
1. 민족주의와 민족 간의 갈등
2. 북카프카스의 민족문제
3. 이슬람 요인과 지하드
Ⅲ. 체첸-러시아 분쟁 발발의 과정
Ⅳ. 체첸-러시아 분쟁과 국가이익
Chapter 09
체첸-러시아 전쟁의 전개과정과 국가테러
Ⅰ. 체첸-러시아 전쟁 개관
Ⅱ. 제1차 체첸-러시아 전쟁(1994~1996)
Ⅲ. 제2차 체첸-러시아 전쟁(1999~2000)
Ⅳ. 체첸-러시아 전쟁 이후 보복 테러전(2000~2010)
1. 체첸 지하드주의자의 자살폭탄 공격과 테러
2. 러시아의 보복 국가테러
Ⅴ. 체첸-러시아 관계 전망
Chapter 10
타직 민족의 정체성과 페르시아 문화
Ⅰ. 이란과 타지키스탄의 문화적 연계성
Ⅱ. 타지키스탄-페르시아의 역사적 관계
1. 타직의 어원과 타직 민족의 문화 정체성
2. 타직 민족의 역사
Ⅲ. 타직 민족 정체성과 페르시아어
Ⅳ. 페르시아-타직문화의 연계성과 타직 민족주의
Ⅴ. 타직 국가발전과 이란모델
Ⅵ. 타지키스탄-이란 관계에 대한 전망
Chapter 11
타지키스탄 내전의 갈등 요인
Ⅰ. 타직 내전의 배경
Ⅱ. 인종적 요인: 이질적 민족
Ⅲ. 종교적 요인: 이슬람
Ⅳ. 경제적 요인: 지역 불균형 발전
V. 정치사회와 안보적 요인
Ⅵ. 타직 내전의 시사점
Chapter 12
타지키스탄 내전과 평화과정
Ⅰ. 타직 내전 과정
Ⅱ. 타직 반정부 세력 전선의 성립
Ⅲ. 타직 2월 소요사태와 내전의 초기 단계(1990.2~1992.4)
Ⅳ. 5월 위기와 내전의 격화(1992.5~1993)
Ⅴ. 외세의 내전 개입과 평화과정(1993~1997)
Ⅵ. 타직 내전의 결과와 전망
■참고문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