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과 서학의 만남 또는 푸르른 정원(Aspects of the poetry)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동학과 서학의 만남 또는 푸르른 정원(Aspects of the poetry)

땅끝
2025-05-09 07:09 100 0

본문




동학과 서학의 만남
9788926838716.jpg


도서명 : 동학과 서학의 만남
저자/출판사 : 홍경실, 한국학술정보
쪽수 : 314쪽
출판일 : 2012-11-20
ISBN : 9788926838716
정가 : 22000

절대자에 관한 자작시-‘주와 한울님’

■ 제1장 키에르케고어와 수운의 인간 이해 비교
1. 들어가면서
2. 키에르케고어의 인간에 대한 이해
3. 수운의 인간에 대한 이해
4. 쇠렌과 수운의 인간 이해 비교
5. 나오면서
참고문헌

■ 제2장 시간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한 키에르케고어의 실존의 삼 단계설
1. 들어가면서
2. 세 가지 실존의 단계
3. 나오면서
참고문헌

* 사랑에 관한 에세이-『사랑의 역사』를 읽고서

■ 제3장 키에르케고어와 베르그송의 사랑에 대한 이해 비교
1. 들어가면서
2. 키에르케고어의 사랑에 대한 이해
3. 베르그송의 사랑에 대한 이해
4. 베르그송의 신관과 기독교의 사랑의 하느님
5. 남겨진 문제
참고문헌

■ 제4장 키에르케고어와 레비나스의 주체성 비교
1. 내재성과 외재성의 문제
2. 키에르케고어의 주체성 이해
3. 레비나스의 주체성 이해
4. 키에르케고어와 레비나스의 감성적 주체성-신과 이웃 사랑
5. 모더니즘의 주체와 포스트모더니즘의 해체를 넘어서
참고문헌

■ 제5장 동학의 종교학적 이해
1. 동?서양의 만남과 종교문화
2. 신과 인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동학 이해
3. 21세기와 영성(spirituality) 그리고 동학
참고문헌

■ 제6장 갑진개화운동의 근대통섭주의철학
1. 들어가면서
2. 인내천사상의 계보학적 이해
3. 나오면서
참고문헌

■ 제7장 동학의 선악관
1. 선과 악에 대한 예비적 고찰
2. 천도교의 선악관
3. 지금 이곳에서, 여러분에게 적용 가능한 수운 대신사님의 가르침에 대하여 생각해 봅시다. (질의응답과 전체 토론 및 의견 교환의 시간)

■ 제8장 동학의 인본주의에 관한 고찰
1. 들어가면서-동학은 인본주의사상인가?
2. 수운과 해월의 사상을 통한 인본주의와 신본주의의 관계
3. 나오면서-새로운 인본주의를 향하여
참고문헌

* 몸에 관한 자작시-‘몸과 나’

■ 제9장 데카르트와 멘 드 비랑의 우리의 몸에 대한 이해 비교

1. 문제의 제기
2. 데카르트의 코기토(Cogito)와 육체 이해
3. 멘 드 비랑의 볼로(Volo)와 몸 이해
4. 데카르트에 대한 멘 드 비랑의 비판과 우리의 몸에 대한 새로운 이해
참고문헌

■ 제10장 베르그송과 메를로-퐁티의 우리의 몸에 대한 이해 비교
1. 문제의 제기
2. 베르그송의 몸 이미지와 이원론의 문제
3. 메를로-퐁티의 몸-주체와 살의 존재론
4. 몸과 언어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본 메를로-퐁티의 베르그송 비판
5. 나오면서
참고문헌

■ 제11장 푸코철학의 전기와 후기에 있어서 우리의 몸에 대한 이해 비교
1. 들어가면서
2. 탈주체와 주체의 희박화-푸코의 전기철학
3. 주체화와 우리의 몸-푸코의 후기철학
4. 나오면서
참고문헌

* 각 논문의 발표지에 관한 서지사항




푸르른 정원(Aspects of the poetry)
9788994102191.jpg


도서명 : 푸르른 정원(Aspects of the poetry)
저자/출판사 : 이경교, 미래기획
쪽수 : 288쪽
출판일 : 2012-02-25
ISBN : 9788994102191
정가 : 16000

머 리 말

제1장. 시를 위한 전제들
1. 예술적 사유, 예술의 숨결
2. 변화의 아름다움과 시적 상상력
3. 예술, 상대주의 세계관
4. 길항, 성숙의 징표들

제2장. 시작과 매듭, 운명의 부여
1. 언어와 문자
2. 시의 시작과 매듭
3. 퇴고와 운명의 수정

제3장. 은유와 상상, 전환의 길목

제4장. 상상력, 일상을 건너는 힘

제5장. 선, 근대성, 현대시

제6장. 전환, 하이퍼, 파괴

1. 젊은 시인들에게
2. 하이퍼 텍스트 세대의 사유
3. 주변인들
4. 주문들

제7장. 소외와 에로티즘의 시학
1. 무엇이 문제인가
2. 소외의 심층
3. 시와 에로티즘
4. 시의 내면 지향성

제8장. 교감과 감응의 시편들
1. 교감, 뜻밖의 정경
2. 자연편력, 심층의 지형학
3. 식물적 상상력
4. <꽃사태> 에 관한 두 개의 시선

제9장. 동양적 비유의 정신사
1. 차이들
2. 천지의 마음과 꾸며낸 말
3. 흥비와 양념을 친 언어
4. 직관, 동양적 비유의 샘

제10장. 북한의 현대시 읽기
1. 중세적 사유
2. 사실과 진실의 차이
3. 체제에 복무하는 시인들
4. 변화의 징후
5. 문제들 꽃사태>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