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터 실용한자 또는 어느 정형외과 의사가 바라본 몸과 마음 그리고 운명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마스터 실용한자 또는 어느 정형외과 의사가 바라본 몸과 마음 그리고 운명

땅끝
2025-05-09 07:09 83 0

본문




마스터 실용한자
9788960234550.jpg


도서명 : 마스터 실용한자
저자/출판사 : 박상욱, 에세이
쪽수 : 320쪽
출판일 : 2010-11-16
ISBN : 9788960234550
정가 : 15000

머리말 | 4

First Month
첫째달 1일차 : 皇帝(황제), 韓龍哲(한용철) | 16
쉬어가는 페이지 : 태껸(托肩戱 : 탁견희)과 태권도(跆拳道) | 21

첫째달 2일차 : 前夜祭(전야제), 斷行(단행) | 25
쉬어가는 페이지 : 태권도 품새와 품세 | 30

첫째달 3일차 : 明寶(명보), 開場(개장) | 33
쉬어가는 페이지 : 중국(中國)의 콘텐츠산업 용어 | 38

첫째달 4일차 : 興奮(흥분), 最大人波(최대인파) | 39

첫째달 5일차 : 巨作(거작), 空手道(공수도) | 45
쉬어가는 페이지 : 이소룡 영화의 중국어 제명(題名) | 51

첫째달 6일차 : 破壞力(파괴력), 歷史的(역사적) | 55

첫째달 7일차 : 爆彈(폭탄), 强烈(강렬) | 61
쉬어가는 페이지 : 이소룡의 절권도 | 66

첫째달 8일차 : 龍爭虎鬪(용쟁호투), 特選(특선) | 67
쉬어가는 페이지 : 태껸(택껸, 탁견), 무예인가 놀이인가 | 72

첫째달 9일차 : 流浪(유랑), 大開封(대개봉) | 75
쉬어가는 페이지 : 한강(漢江)을 한강(韓江)으로 부르자 | 80

첫째달 10일차 : 荒野(황야), 國都(국도) | 81

첫째달 11일차 : 無法者(무법자), 早朝(조조) | 87
첫째달 12일차 : 團成社(단성사), 憂愁(우수) | 93

첫째달 13일차 : 忽然(홀연), 登場(등장) | 99
쉬어가는 페이지 : ‘황야의 무법자’ 와 ‘속 황야의 무법자(원제 : 쟝고)’ | 104

첫째달 14일차 : 伊太利(이태리), 痛快(통쾌) | 107
쉬어가는 페이지 : 국명(國名)의 음차( 音借) | 112

첫째달 15일차 : 殘酷(잔혹), 冬日(동일) | 115
쉬어가는 페이지 : 국가별 한자 음차어 정리(한글 자모순 배열) | 120

첫째달 16일차 : 西部劇(서부극), 記念(기념) | 122

첫째달 17일차 : 硝煙(초연), 血霧(혈무) | 128
쉬어가는 페이지 : 나성(羅城)에 가면(노래 : 세샘 트리오) | 133

첫째달 18일차 : 告別(고별), 最後(최후) | 134
쉬어가는 페이지 : 나이와 관련된 한자어 | 139

첫째달 19일차 : 蛇形(사형), 鶴攻(학공) | 140
쉬어가는 페이지 : 베스트 키드(The karate kid, 1984년) | 145

첫째달 20일차 : 猫拳(묘권), 飛猫神拳(비묘신권) | 148
쉬어가는 페이지 : 쇼 브라더즈와 골든 하베스트 | 153

Second Month
둘째달 1일차 : 特別(특별), 輸入(수입) | 160
쉬어가는 페이지 : 훈몽자회(訓蒙字會)에 대한 자료 | 165

둘째달 2일차 : 奇蹟(기적), 戰爭(전쟁) | 166
쉬어가는 페이지 : 호칭(呼稱)과 관련된 한자어 | 171

둘째달 3일차 : 激讚(격찬), 民族(민족) | 172
쉬어가는 페이지 : 民 : 백성 민 | 177

둘째달 4일차 : 十戒(십계), 敍事詩(서사시) | 178

둘째달 5일차 : 歡喜(환희), 悅樂(열락) | 184

둘째달 6일차 : 翰林(한림), 作品(작품) | 190
쉬어가는 페이지 : 조선시대 사관(史官)과 왕(王)의 관계 | 195

둘째달 7일차 : 映像(영상), 演出(연출) | 197

둘째달 8일차 : 手法(수법), 深夜(심야) | 203
쉬어가는 페이지 : 짜장면의 유래 : 작장면(炸醬麵) = 자장면? | 208

둘째달 9일차 : 大望(대망), 世紀(세기), 大河(대하) | 210
쉬어가는 페이지 : 쇼군(장군 : 將軍)이란? | 216

둘째달 10일차 : 將軍(장군), 突破(돌파) | 217

둘째달 11일차 : 德川家康(덕천가강), 最高(최고) | 223
쉬어가는 페이지 : 소설 ‘대망(大望)’에서 | 229

둘째달 12일차 : 不可能(불가능), 極秘(극비) | 230

둘째달 13일차 : 特命(특명), 萬能(만능) | 236
쉬어가는 페이지 : 한자(漢字)의 정체성(正體性) | 241

둘째달 14일차 : 時限(시한), 開始(개시) | 243
쉬어가는 페이지 : 塞友康(새우강) 멀리 있는 벗의 편안함을 바라며 … | 248

둘째달 15일차 : 行動(행동), 原爆(원폭) | 249
쉬어가는 페이지 : 국가(國家)의 기념일(紀念日) | 254

둘째달 16일차 : 武俠(무협), 雌雄(자웅) | 257

둘째달 17일차 : 密使(밀사), 螳螂(당랑) | 262
쉬어가는 페이지 : 한자로 숫자표기 | 268

둘째달 18일차 : 決戰場(결전장), 東南亞(동남아) | 271

둘째달 19일차 : 野望(야망), 衝擊(충격) | 277

둘째달 20일차 : 支配(지배), 感動(감동) | 283

부록
1. 가차문자(假借文字) 에 대하여 | 290
2 . 중국(中國) 의 영화용어 | 302
3 . 신문한자 영화광고 원본 | 318




어느 정형외과 의사가 바라본 몸과 마음 그리고 운명
9788998268107.jpg


도서명 : 어느 정형외과 의사가 바라본 몸과 마음 그리고 운명
저자/출판사 : 고태홍, 북랩
쪽수 : 342쪽
출판일 : 2012-10-26
ISBN : 9788998268107
정가 : 20000

추천사
머리말

CHAPTER 01 몸(Medicine, 醫)
1. 현재의 의료계를 바라보는 시각
2. 현대의학과 동양의학은 상호 보완관계다
3. 건강과 질병은 시소놀이와 같다
4. 건강해지면 질병을 어떻게 이겨낼까?
5. 건강을 증진하는 방법들이 제도권 안에 들어오지 못하는 이유
6. 평균수명과 건강수명
7. 이제는 100세를 준비해야 한다
8. 서구문명은 의학적인 면에서 실패한 문명이다
9. 우리 몸의 구조, 척추의 중요성
10. 우리 몸의 의학적 평가방법
11. 건강상태 자가진단 방법
12. 기(氣, Energy)의 관점에서 보는 척추의 중요성
13. 인체에 질병이 생기는 과정: 척추중심으로 접근
14. 이제는 부교감신경을 살려야 건강해진다
15. 기氣의 실체가 밝혀진다면?
16. 우리 인체는 몇 차원의 구조물일까?
17. 인간의 기氣 측정법이 이 세상에 나온다면?
18. 잘못된 건강정보(진료실에서 자주 접하는 질문들)
19. 검사결과와 증상은 일치하지 않는다
20. 현대의학의 한계를 보여주는 또 다른 증례
21. 과연 체질이란 무엇이고, 있기는 있는 것인가?(25체질)
22. 무병장수 비결은 없는가?
23. 인체는 나무와 같다
24. 인생과 건강은 계절과 같다
25. 나의 유언은?
26. 편작의 이야기
27. 컴퓨터가 의사들을 먹여 살리는 시대
28. 노화방지법
29. 뼈가 튼튼해지려면 어떤 음식이 좋을까?
30. 몸의 균형을 유지하며 근력을 기르는 이상적인 운동법
31. 슬관절 통증에 유익한 운동
32. 신체 관절을 부드럽게 풀어주는 준비운동(유연공)
33. 음식과 건강
34. 질병의 원인을 간단히 요약하면
35. 건강해지는 운동법을 간략히 요약하면
36. 정형외과 의사가 경험한 근육내 신경자극술 IMNS
37. 태반치료에 관하여
38. 도인법導引法: 좌식팔단금座式八段錦

CHAPTER 02 마음(Way, 道)
1. 마음을 다스리는 선관무를 접하고
2. 몸과 마음을 바르게 하는 선관무禪觀武
3. 세상은 바뀌지 않는다
4. 명상경험
5. 수행과 현세와의 갈등
6. 희망과 불만족
7. 행복이란?
8. 열복과 청복
9. 내 마음을 보는 제3의 마음을 길러야 한다
10. 몸과 마음은 하나일까? 둘일까?
11. 늘 깨어있으라!
12. 도道를 닦는 주체는 무엇인가?
13. 번뇌라는 것은 어떤 과정을 거쳐 생기는가?
14. 초보자를 위한 명상Meditation 요령
15. 명상Meditation의 의학적 효과
16. 호흡의 종류
17. 명상을 좀 더 쉽게 하는 요령
18. 나라는 존재 의식
19. 자연법칙의 관점에서 바라 본 불편함과 편안함
20. 수행지침
21. 천도天道의 대의大義는 생육生育에 있다
22. 천하를 통일하려면
23. 사주팔자와 수행, 어떤 것을 선택할 것인가?
24. 금강승金剛乘 선관무禪觀武 유연공의 의학적 고찰
25. 금강승 선관무에서 착안한 척추교정 운동법
26. 마음 챙김의 거처
27. 안반수의(安般守意) Anapanasati
28. 호흡과 명상수련의 방해물 18가지
29. 호흡과 마음을 조절하는 방법 6가지
30. 젊은이들에게 결혼에 대해 말한다면

CHAPTER 03 운명(Change, 卜)
1. 역易이란?
2. 운명을 알면 변해야 하는 이유
3. 의사가 왜 역학을?
4. 의사와 역술가는 종이 한 장 차이?
5. 남녀궁합에 대한 고찰
6. 남녀궁합(2)
7. 가족제도와 궁합
8. 부귀富貴에 대하여
9. 사주가 같으면 똑같은 인생을 사나요?
10. 사주팔자와 건강
11. 운명을 바꾸는 법(개운법開運法)
12. 음식으로 운명을 바꾸는 법(개운법 2)
13. 사주팔자는 전생의 씨앗이다
14. 사주팔자는 마음이요, 기운氣運이다
15. S-Line에 대 자연의 이치가 있다
16. 우리가 받은 교육의 문제점
17. 주역周易 계사하전繫辭下傳(오장五章)에서 말하는 소인小人과 군자君子
18. 주역의 괘로 설명한 인간의 성장과 죽음의 과정
19. 주역으로 보는 도道
20. 주역으로 보는 색즉시공 공즉시생

맺는 말
도움을 준 책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