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에 읽는 동의보감 또는 미국사산책. 4: 프런티어의 재발견
땅끝
2025-05-09 07:09
91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63회 연결
본문
마흔에 읽는 동의보감

도서명 : 마흔에 읽는 동의보감
저자/출판사 : 방성혜, 리더스북
쪽수 : 282쪽
출판일 : 2012-10-05
ISBN : 9788901150826
정가 : 15000
시작하면서 마흔의 생로병사를 말하다
1부 동의보감으로 보는 마흔의 몸, 마음, 습관
제1장 마흔, 몸이 예전 같지 않다
깜빡깜빡하기 시작한다 :기억력 저하
과장님, 벌써 노안이세요? :침침한 눈
흰머리 대머리 듬성 머리 :탈모
어제 또 달리셨군요 :음주
마라톤과 정력 :정력 감퇴
기름때와 물때가 쌓인다 :대사증후군
부의 상징? 병의 상징! :뱃살
야식의 부작용 :위염과 소화불량
피곤해죽겠다는 말 :만성피로
혈압의 노예가 되기 전에 :고혈압
곰팡이의 습격 :무좀과 발냄새
방귀대장 뿡뿡이 :입냄새와 방귀냄새
소변에 말 못할 문제가 생긴다 :가늘어진 소변줄기
이 없으면 잇몸으로? :치통
몸이 안 좋아보인다는 말을 듣는다 :혈색
제2장 오장육부와 마음은 연결되어 있다
화가 사람을 망친다 :분노조절장애
축의금보다 부의금을 더 많이 내는 나이 :우울증
고민이 지나치면 몸이 상한다 :불면증
쉽게 놀라는 중년의 심장 :공황장애
왜 이렇게 안 낫죠? :조급증
못 고칠 병은 없다, 못 고칠 태도만 있다 :여섯 가지 불치병
늙는다는 것은 곧 철든다는 것 :노안과 동안
답답한 가슴이 편안해지는 법 :욕심병
제3장 100세 장수하는 생활습관
꿀벅지 열풍에 동참하라
책임감을 내려놓고 마음껏 웃어라
나이 들수록 채식을 하라
불규칙하게 흥청망청 살지 마라
돈 안 들이고 건강해지는 법, 적게 먹어라
무엇이든 따뜻하게 먹어라
항상 끊임없이 움직여라
시도 때도 없이 먹어대지 마라
화났을 땐 절대 먹지 마라
오색을 골고루 먹어라
2부 동의보감의 철학으로 삶을 경영하라
제4장 몸의 이치와 삶의 이치는 일맥상통한다
한 사람의 몸은 한 나라와 같다
높이 올라갈수록 가파르게 추락한다
리더의 통찰이 중요한 이유
뿌리를 도려내지 않으면 고칠 수 없다
무엇이든 흐려지기는 쉽고 맑아지기는 어렵다
병든 몸일수록 양 극단의 증상이 함께 생긴다
사람이 살아가는 이치와 천지자연의 이치는 같다
제5장 마흔, 가장 활발히 인생을 살아야 할 시간
오장육부를 씻어내야 환골탈태할 수 있다
시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씨앗을 만들어가는 것이다
청춘의 시련이 클수록 중년의 삶은 아름답다
세상을 넓게, 따뜻하게 바라볼 수 있는 나이
다시 시작하기 너무 늦은 나이는 없다
마음을 치료하지 않으면 병은 재발한다
호미로 막을 병을 가래로 막지 마라
마흔에는 스스로 명품이 되어라
끝마치면서 언젠가 찾아올 찬란한 때를 준비하라
용어설명
미국사산책. 4: 프런티어의 재발견

도서명 : 미국사산책. 4: 프런티어의 재발견
저자/출판사 : 강준만, 인물과사상사
쪽수 : 328쪽
출판일 : 2010-03-12
ISBN : 9788959061433
정가 : 14000
제1장 이민의 물결과 노동운동
“엄마! 우리 아빠는 어디 있어요?”: 1884년 대선
‘점보’와 『허클베리 핀의 모험』: P. T. 바넘과 마크 트웨인
조선 개신교의 탄생: 언더우드·아펜젤러의 입국
“나에게 다오. 지치고 가난한 사람들을”: ‘자유의 여신상’과 ‘헤이마켓 사건’
“파괴를 향한 열정이 창조적인 열정”: 미국 아나키즘의 초기 발달사
광고와 백화점의 유혹: 코카콜라와 ‘쇼핑’의 탄생
제2장 자동차와 영화의 발명
한미(韓美) 문화충돌: 주미 한국공관 설립
해리슨-벨라미-이스트먼: 1880년대 후반의 사회상
‘속도 숭배’: 자전거-전차-자동차의 발명
“부의 집중은 불변의 법칙”: 트러스트의 시대
“리틀 빅혼을 기억하자”: 운디드니의 인디언 학살
영화의 발명: 에디슨의 키네토스코프와 뤼미에르의 시네마토그라프
제3장 프런티어의 정치학
‘신대륙 발견 400주년’: 인민당 창당과 시카고 박람회
‘미국 역사에서 프런티어의 의미’: 미국의 정체성은 무엇인가?
미국의 ‘지식혁명’: 프레더릭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
“인류를 금 십자가에 못박지 말지어다”: 농민에 대한 기업의 승리
백인과 흑인의 ‘분리평등’: 호머 플래시 사건
‘황색 저널리즘’의 탄생: 퓰리처와 허스트의 신문전쟁
‘새로운 프런티어’: 미국-스페인 전쟁
제4장 실용주의와 제국주의
“실용주의는 상업주의의 철학적 표현”인가?: 실용주의의 탄생
‘풍요가 낳은 속물근성’: 베블런의 『유한계급의 이론』
‘백인의 의무’: 제국주의의 ‘벨 에포크’
“새로운 시장이 필요하다”: 문호개방 정책
시어도어 루스벨트와 마크 트웨인: 필리핀전쟁
‘부의 복음’: 앤드루 카네기의 두 얼굴
제5장 조선의 비극
‘지상낙원을 찾아서’: 한국인의 하와이 노동이민
‘하늘은 날고 땅은 뚫고’: 비행기와 파나마운하
“미국은 필리핀, 일본은 한국을 먹다”: 가쓰라·태프트 비밀협약
“각하의 ‘스퀘어 딜’을 원합니다!”: 이승만의 루스벨트 면담
“일본은 한국에 지배적인 권리가 있다”: 포츠머스 조약
“미국은 우리에게 맏형처럼 느껴진다”: 알렌과 루스벨트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