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영어발음법 또는 대한유사
땅끝
2025-05-09 07:09
95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75회 연결
본문
미국 영어발음법

도서명 : 미국 영어발음법
저자/출판사 : 전기선, 이다새
쪽수 : 224쪽
출판일 : 2012-10-09
ISBN : 9788960512412
정가 : 12000
- 오렌지? 어린쥐? 콩글리쉬 발음을 잉글리쉬 발음으로 5
- 우리는 왜 말하기와 듣기에서 약한 모습을 보일까 7
- 영어 발음 잘하기 위한! 이 책 활용법 9
- 노트처럼 쉽고 간단명료한! 이 책의 구성 12
- 발음 공부에 앞서! 기본 용어 살펴보기 17
(Step 1) 모음만 잡아도 80%는 들린다
발음 원리 1 a에서는 먼저 [에]와 [애]를 구별하세요 22
발음 원리 2 e는 [에] 소리만 나는 게 아니라고요 32
발음 원리 3 kite와 kit - i 발음 잡기 40
발음 원리 4 오렌지? 어륀쥐? o 때문에 대략난감 47
발음 원리 5 u는 [우]가 아니에요 54
발음 원리 6 단어 내에 2개의 모음이 연속으로 존재해요 61
발음 원리 7 모음의 기능을 하는 자음이 존재해요 66
발음 원리 8 강세가 없는 모음은 약하게 발음해야 해요 74
발음 원리 9 영어 단어에는 e(le)로 끝나는 단어가 많아요 78
발음 원리 10 단어 내에 2개의 자음이 연속으로 존재해요 82
발음 원리 11 단어 내에 1개의 모음만 존재해요 85
(Step 2) 알 듯 말 듯 쉽고도 어려운 자음
발음 원리 12 단음 자음은 발음이 하나만 존재해요 90
발음 원리 13 1개 이상의 음가를 가진 자음들 99
발음 원리 14 혀 굴리는 소리라고요? 플랩 현상을 모르시는군요 104
발음 원리 15 h를 이용해 자음을 만들어 내요 108
(Step 3) 강세를 알아야 진정한 영어 고수
발음 원리 16 명사형 접미사로 강세의 위치를 알아내요 116
발음 원리 17 동사형 접미사로 강세의 위치를 알아내요 121
발음 원리 18 어원의 강세와 동일한 형용사형 접미사 124
발음 원리 19 접미사 직전의 모음에 강세가 존재하는 형용사형 접미사 128
발음 원리 20 접미사의 2번째 앞 모음에 강세가 존재하는 형용사형 접미사 131
발음 원리 21 접미사를 포함한 음절 앞의 철자에 따라 강세의 위치가 변해요 138
(Step 4) 발음 현상만 알아도 입과 귀가 트인다
발음 원리 22 비슷한 자음끼리 발음이 동화돼요 154
발음 원리 23 상황에 따라 d, t 발음이 변화해요 157
발음 원리 24 자연스럽게 연음으로 발음하세요 160
발음 원리 25 경음을 사용해 억센 발음을 하세요 163
발음 원리 26 자음을 생략하고 발음해요 168
발음 원리 27 반모음 r의 위치가 바뀌어 발음돼요 172
(Exercise) 귀에 쏙쏙 들리는 잉글리쉬 문장 읽기 176 (부록) 영어 단어_ 단어 외우고! 발음 익히고! 192
대한유사

도서명 : 대한유사
저자/출판사 : 박영수, 살림FRIENDS
쪽수 : 326쪽
출판일 : 2011-07-29
ISBN : 9788952215987
정가 : 12000
머리말
제1장 구한말
▶ 연줄 값으로 연줄을 만든 김병국
[문화 이야기] 연날리기 풍속의 유래와 의미
▶ 이용익, 금덩어리를 캐서 나라에 바치다
[문화 이야기] 노다지의 어원
▶ 일본이 1876년 강화도에서 군함으로 시비 건 이유
[문화 이야기] 조일 수호 조규의 의미
▶ 요지경과 성냥 그리고 개화파
[문화 이야기] 성냥의 어원과 유래
▶ 신사유람단과 태극기 탄생 배경
[문화 이야기] 태극기의 유래와 의미
▶ 임오군란과 양복 그리고 친일파의 유래
[문화 이야기] 신작로의 어원
▶ 무녀 이씨가 진령군에 봉해진 사연
[문화 이야기] 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점을 쳤을까
▶ 최초의 영어 통역사 윤치호
[문화 이야기]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자전거를 탄 사람
▶ 한국 최초의 근대 신문 「한성순보」
[문화 이야기] ‘간에 기별도 안 가다.’의 어원
▶ 김옥균의 계책과 드라마 같은 갑신정변
[문화 이야기] 갑신정변은 왜 삼일천하로 끝났을까
▶ 알렌, 서양 의술로 조선 왕실의 마음을 사로잡다
[문화 이야기] 유성기와 우리나라 최초의 디제이
▶ 자객과의 두뇌 싸움
[문화 이야기] 우리나라 최초의 프랑스 유학생
▶ 조선 최초의 해외 비자금 밀반출 사건
[문화 이야기] 왜 고려인삼이 유명할까
▶ 조선 후기 농민들이 동학에 적극 동참한 이유
[문화 이야기] 전봉준이 ‘녹두장군’으로 불린 까닭
▶ 손병희의 배짱과 기지
[문화 이야기] 최초로 자동차를 탄 민간인
▶ 여우 사냥
[문화 이야기] 민비와 명성 황후의 호칭 문제
▶ 차라리 내 목을 자르시오
[문화 이야기] 구한말에 집집마다 초상 사진을 걸어 놓은 연유
▶ 러시아의 치밀한 음모, 아관파천
[문화 이야기] 신부용 가마에 호랑이 가죽을 씌운 까닭
제2장 대한제국
▶ 고종은 왜 나라 이름을 ‘대한제국’으로 바꿨을까
[문화 이야기] 옥새의 유래
▶ 고종 커피 독살 미수 사건
[문화 이야기]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커피를 마신 사람
▶ 치하포 사건과 고종의 전화 한 통
[문화 이야기] ‘전화 걸다’라는 말의 어원
▶ 매국노 송병준과 이용구의 정략적 만남
[문화 이야기] 구한말 일진회와 학생 폭력 조직 일진회
▶ ‘을사조약’이 아니라 ‘을사늑약’인 까닭
[문화 이야기] ‘을사늑약’과 관계없는 ‘을씨년스럽다’의 유래
▶ 우리나라 최초의 세계일주와 피를 먹고 자란 대나무
[문화 이야기] 처음으로 명함을 사용한 우리나라 사람
▶ 금연 아이디어로 시작된 국채 보상 운동
[문화 이야기] 대중목욕탕과 ‘목간하다’의 유래
▶ 돌아오지 못한 헤이그 밀사
[문화 이야기] 내탕금 유래와 용도
▶ 일제의 고종 하야 음모와 군대 해산
[문화 이야기] ‘해산하다’와 ‘미역국 먹다’의 어원
▶ 안중근은 왜 위대한가
[문화 이야기] 혈맹 혹은 혈서의 유래
제3장 일제 강점기
▶ 경술국치일 막전막후 이야기
[문화 이야기] 신소설의 선구자에 대하여
▶ 고종 해외 망명 시도와 독살
[문화 이야기] ‘기미 보다’의 뜻
▶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과 의친왕 망명 사건
[문화 이야기] 망명 정부와 임시 정부는 어떻게 다를까
▶ 조선 최고 요릿집 명월관
[문화 이야기] 우리나라 최초의 요정
▶ 한국 최초의 여배우, 복혜숙
[문화 이야기] 한국 최초의 미장원
▶ 성격파 배우의 원조, 나운규
[문화 이야기] 인력거의 유래와 초창기 풍경
▶ 대중가요 ‘사의 찬미’를 발표한 윤심덕
[문화 이야기] 연애라는 말을 처음 쓴 사람
▶ 이봉창과 윤봉길의 의거가 대단한 까닭
[문화 이야기] 비슷한 듯 다른 도시락과 벤또
▶ 창가와 애국가 유행
[문화 이야기] 안익태의 애국가 작곡 이야기
제4장 해방 이후
▶ 아, 광복군 특공대
[문화 이야기] 광복군 창설 과정
▶ 해방인가, 광복인가
[문화 이야기] 악극의 유래
▶ 누가 임시 정부의 귀국을 막았나
[문화 이야기] 기생 파티와 모윤숙
▶ 여운형 암살 사건
[문화 이야기] ‘TK’의 원조 장택상
▶ 원맨쇼 개척자이자 국내 최초 개그맨, 윤부길
[문화 이야기] 대중가요 ‘처녀 뱃사공’의 유래
▶ 서윤복, 보스턴 마라톤 대회 우승
[문화 이야기] 또 다른 마라톤 영웅 남승룡
▶ 미군정이 민족 반역자 처벌을 반대한 까닭
[문화 이야기] 흐지부지와 유야무야의 어원
▶ 제헌 국회와 대통령 중심제 탄생 비화
[문화 이야기]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는 말의 유래
▶ 스탈린은 왜 김일성을 택했을까
[문화 이야기] ‘낙점’ 혹은 ‘점찍다’의 어원
▶ 아, 대한민국!
댓글목록0